본문 바로가기
장바구니0

알기 쉬운 재무행정론 > 행정/정책

상품간략정보 및 구매기능

알기 쉬운 재무행정론

기본설명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제조사 대영문화사
원산지 국내산
브랜드 대영문화사
시중가격 27,000원
판매가격 27,000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최소구매수량 1 개
최대구매수량 999 개
  • 알기 쉬운 재무행정론
    +0원

관련상품

등록된 관련상품이 없습니다.

  • 상품 정보

    상품 상세설명

    알기 쉬운 재무행정론

    9788976449177.jpg

    도서명:알기 쉬운 재무행정론
    저자/출판사:윤광재/대영문화사
    쪽수:382쪽
    출판일:2024-01-10
    ISBN:9788976449177

    목차
    머리말/2

    제1편
    재무행정의 서설
    제1장 재무행정의 기본용어 및 개념 19
    제1절 재무행정 및 예산관련 용어 20
    1. 재무행정관련 용어/20 2. 예산관련 용어/21
    3. 예산과 가계부의 비교/23
    제2절 재무행정이란? 24
    1. 행정학과 재무행정학 간의 관계/24
    2. 재무행정학과 재정학 및 재무관리론 간의 차이/26
    제3절 재무행정의 의의 및 개념 27
    1. 재무행정의 의의/27 2. 재무행정의 개념/28
    3. 국민계정체계상의 공공부문 범위/30
    제4절 재무행정의 기능 31
    1. 재무행정의 기능: 재정의 기능/31
    2. 자원배분의 조정기능/32
    3. 소득의 분배기능/33
    4. 경제의 안정적 성장 및 유지기능/34

    제2장 재무행정의 주요 법적 근거와 재정계획 37
    제1절 재무행정과 법률 간의 연계 38
    1. 법적 근거의 의의/38 2. 헌법규정/39
    제2절 헌법 및 기타 법률규정 43
    1. 헌법의 규정/43
    2. 국가재정 관계법/47
    3. 정부기업예산법과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49
    4. 국가회계법/52
    제3절 재정계획의 의의 54
    1. 재정계획의 개념 및 특징/54 2. 국가재정운용계획의 운영/55
    3. 중기재정계획의 장점/59

    알기 쉬운 재무행정론



    제2편
    정부예산론
    제3장 예산의 개념ㆍ기능 및 원칙 65
    제1절 예산의 개념과 변천 66
    1. 예산의 개념/66 2. 예산개념의 변천/67
    3. 예산의 정치적 성격/69
    제2절 예산의 기능 71
    1. 예산기능의 다양성/71 2. 예산의 정치적 기능/71
    3. 예산의 법적 기능/73 4. 예산의 경제적 기능/74
    5. 예산의 행정적 기능/76
    제3절 예산원칙의 의의 77
    1. 예산원칙의 개념 및 수정 필요성/77
    2. 전통적 예산원칙/78
    3. 전통적 예산원칙에 대한 수정의 필요성/82
    제4절 현대적 예산원칙 84
    1. 현대적 예산원칙의 의의/84 2. 행정부 계획의 원칙/85
    3. 행정부 책임의 원칙/85 4. 보고의 원칙/86
    5. 예산수단구비의 원칙/86 6. 다원적 절차의 원칙/86
    7. 행정부 재량의 원칙/87 8. 시기신축성의 원칙/87
    9. 예산기구 상호성의 원칙/88
    10. 전통적 원칙과 현대적 원칙의 조화/88


    차례

    제4장 예산이론의 모색과 탐색 89
    제1절 세입예산과 세출예산 90
    제2절 예산이론의 다양성 91
    1. 세입예산: 조세부담의 원칙/91
    2. 세출예산: 예산규모와 예산결정관련 논의/92
    3. 정부예산의 결정이론/95
    4. 예산결정이론의 평가/101
    제3절 미시적 예산결정과 거시적 예산결정 101
    1. 하향적 예산과정의 부각/101
    2. 미시적 예산결정과 거시적 예산결정론의 등장/102
    제4절 예산연구와 공공선택론 102


    제5장 예산의 종류와 분류 105
    제1절 예산의 종류 106
    1. 일반회계예산과 특별회계예산의 존재/106
    2. 기금의 설치/108
    3. 수정예산과 추가경정예산/109
    4. 잠정예산ㆍ가예산ㆍ준예산/111
    제2절 예산의 분류 113
    1. 예산의 분류개념과 목적/113
    2. 세입예산과 세출예산의 과목분류/115
    3. 품목별 분류/116
    4. 기능별 분류/119
    5. 조직별 분류/122
    6. 경제성질별 분류/123



    제3편
    알기 쉬운 재무행정론

    예산과정론
    제6장 세입예산과 세출예산의 구성 129
    제1절 예산의 구성 130
    제2절 국세와 세외수입의 의의 및 규모 132
    1. 조세의 의의/132 2. 세외수입의 의의/133
    제3절 세출예산과 기능별지출 135
    1. 세출예산의 의의 및 중요성/135
    2. 세출예산의 현황 및 규모/136


    제7장 예산****편성과 심의ㆍ의결 139
    제1절 예산편성의 의의 140
    1. 예산편성의 개념/140 2. 예산편성의 중요성/141
    제2절 예산편성의 절차 141
    1. 예산편성절차의 개요/141
    2. 중기사업계획서의 작성 및 제출/143
    3. 예산안편성지침 작성 및 기준시달/143
    4. 예산사정 및 예산안편성/144
    5. 예산안의 입법부 제출/145
    차례

    제3절 예산심의의 의의 146
    1. 예산심의의 개념/146 2. 예산심의의 기능/147
    제4절 예산심의의 제도 148
    1. 예산심의제도의 특성/148
    2. 대통령중심제와 내각책임제/148
    3. 단원제와 양원제의 경우/149
    4. 위원회제도/150
    5. 예산불성립 시의 예산운영/151
    제5절 예산심의의 절차 151
    1. 대통령의 시정연설/151
    2. 상임위원회의 예비심사/152
    3.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 종합심사/153
    4. 본회의 의결/154


    제8장 예산집행과 결산 157
    제1절 예산집행의 의의 158
    1. 예산집행의 개념/158 2. 예산집행 목표의 배타성/158
    3. 예산집행의 원칙/164
    제2절 예산집행의 절차 165
    1. 예산의 배정/165 2. 자금의 배정/166
    3. 예산의 재배정/166 4. 지출사무/167
    제3절 결산의 의의 167
    1. 결산의 의의와 목적/167 2. 결산제도/168
    제4절 회계검사란? 173
    1. 회계검사의 의미 및 목적/173
    2. 전통적 회계검사와 새로운 경향/174
    3. 회계검사의 유형/176
    제5절 회계검사기관의 특성 178
    1. 유형론/178
    2. 우리나라의 감사원/179



    제4편
    알기 쉬운 재무행정론

    예산개혁론
    제9장 예산개혁 185
    제1절 예산개혁의 역사적 배경 186
    1. 예산편성의 권한여부/186 2. 예산개혁의 역사/186
    3. 예산개혁의 시작/187
    제2절 초기의 다양한 예산제도 189
    1. 일괄총액예산 및 목표예산/189
    2. 품목별예산제도/190
    제3절 성과주의예산제도 192
    1. 성과주의예산의 개념 및 시작/192
    2. 기능의 목표와 목표달성을 위한 대안/194
    3. 업무단위 및 측정/194
    4. 성과주의예산의 사례(I)/195
    5. 성과주의예산의 경험 및 시사점/198
    제4절 계획예산제도 201
    1. 계획예산의 의의/201 2. 계획예산의 사례/203
    3. 계획예산의 시사점/205
    차례

    제5절 목표에 의한 관리제도 206
    1. 목표관리제의 개념 및 특징/206
    2. 목표에 의한 관리제도의 장점/207
    3. 목표에 의한 관리제도의 사례/207
    4. 목표에 의한 관리의 시사점/209
    제6절 영기준예산제도 210
    1. 영기준예산의 도입 및 개념/210
    2. 영기준예산 적용상의 어려움/211
    3. 영기준예산의 사례/211
    4. 영기준예산이 남긴 시사점/213
    제7절 예산개혁의 공통적 시사점 215
    1. 기본사항/215
    2. 예산회계정보시스템의 필요/215
    3. 품목별예산의 우월성/216
    4. 정치적 과정으로서의 예산/216
    5. 기업예산제도의 실패/216
    6. 최고지도자의 의지와 국민의 관심/217
    7. 예산이론의 필요/217
    8. 이론ㆍ실무에 대한 균형감각 필요/217
    제10장 우리나라의 예산개혁 219
    제1절 예산개혁의 전개 220
    1. 전통적인 예산제도의 문제/220
    2. 예산편성과정의 문제와 지출한도의 비결정/220
    3. 장기적 전략의 부재와 복잡한 재정체계/221
    제2절 새로운 3+1 예산제도의 도입 222
    1. 예산제도의 개혁작업/222
    2. 구체적인 개혁의 내용/224

    알기 쉬운 재무행정론


    제11장 재정성과관리제도 231
    제1절 성과관리제도란? 232
    1. 성과관리제도의 의의/232 2. 성과관리제도의 연혁/233
    제2절 재정성과관리제도의 내용 235
    1. 재정성과목표관리제도/235 2. 재정사업성과관리제도/236
    3. 재정사업자율평가제도/237 4. 재정사업심층평가제도/239
    5. 기타 부가제도/241


    제12장 정부회계의 특성 243
    제1절 재정과 정부회계와의 관계 244
    1. 재정의 정의/244
    2. 재정절차 및 재정의 순환/245
    3. 정부회계의 의의 및 특징/245
    4. 정부회계와 기업회계의 비교/246
    제2절 우리나라 정부회계의 변천 247
    1. 새로운 회계제도의 도입/247 2. 정부회계의 기준/249
    3. 정부회계의 형식/251 4. 정부회계의 재무제표/254



    차례

    제5편
    정부예산 실체와 공기업
    제13장 우리나라의 정부예산 실체 263
    제1절 정부예산의 규모변화 추이 264
    1. 정부예산의 지속적 증가/264 2. 분야별 예산규모/265
    제2절 예산원칙과 다양한 예산제도의 활용 266
    1. 국가재정법상의 원칙/266 2. 총액계상사업제도/267
    3. 프로그램예산제도/268 4. 성인지예산제도/270
    5. 조세지출예산제도/272 6. 국민참여예산제도/273
    7. 예비타당성조사제도/275 8. 온실가스감축인지예산제도/276
    제3절 국가채무의 의의 및 추이변화 278
    1. 국가채무와 국가부채의 구분/278
    2. 국가채무의 구성 및 추이변화/281
    3. GDP 대비 국가채무 및 부채의 추이변화/283
    4. 국가채무의 관리/286


    제14장 통합재정의 도입 및 중요성 289
    제1절 총수입ㆍ총지출과 통합재정의 개념 290
    1. 총수입과 총지출의 개념/290
    2. 통합재정의 도입배경 및 개념/292
    3. 우리나라에서의 활용/293
    4. 공공부문의 범위/294
    제2절 통합재정의 포괄범위와 작성기준 295
    1. 통합재정의 포괄범위 및 작성기준/295
    2. 통합재정수지의 개념/296
    3. 통합재정의 유용성과 한계/299
    제3절 통합재정수지와 관리재정수지 간의 비교 300

    알기 쉬운 재무행정론


    제15장 공기업과 예산회계 303
    제1절 공기업의 의의와 특성 304
    1. 공기업의 의의 및 개념/304 2. 공기업의 특성/305
    3. 유사개념과의 구별/306 4. 공기업의 설립동기와 분야/308
    제2절 공기업의 예산회계 및 결산검사 310
    1. 공기업예산의 성격/310 2. 예산회계의 운영/310
    3. 경영평가의 실시/312 4. 결산검사의 적용/314

    부록/319
    참고문헌/365
    찾아보기/371
    delivery.jpg
  •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 배송/교환정보

    배송정보

    배송업체 : 한진택배 (1588-0011)
     배송비
     2,500원 (2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배송/일부상품제외) 군부대 및 도서산간 지역은 추가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배송기간
     : 평일 오전 7시 이전 주문 시 당일 발송 (2~3일 소요) : 단, 공휴일, 연휴, 천재지변 등으로 인해 발송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배송추적
     : 당일 발송건에 한해 익일 오전 9시 이후 확인 가능합니다.


    교환/반품

     ◆반품/교환을 원하는 경우 반드시 고객센터로 연락 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반품/교환은 상품 수령일로 부터 7일 이내에만 가능합니다. 단, 상품이 훼손되지 않았거나, 속 비닐이 있는 경우 듣지 않았을    때 가능합니다.
     •고객님의 변심 또는 잘못 주문하신 경우에는 왕복 배송비는 고객님의 부담입니다.
     ◆오배송, 파본, 불량 상품에 대해서는 고객센터로 연락주시면 상담 후 교환해 드립니다.
     ◆오배송, 파본, 불량상품의 배송비는 환불처에서 부담합니다.
     교환/반품
     ◆환불은 상품이 환불에 도착 시 처리됩니다. (카드 취소는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고객센터 1234-5678

회사명 경기책방 주소 경기도 파주시 조리읍 장미꽃길 157-161
사업자 등록번호 6829601269 대표 오주봉 전화 02-356-5779 팩스 02-356-5779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21-경기파주-1335호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오주봉

Copyright © 2001-2013 경기책방.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