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상, 전통과 현재의 대화

도서명:교육사상, 전통과 현재의 대화
저자/출판사:김상섭 , 곽덕주 , 김회용 , 박주병 , 정경화/학지사
쪽수:272쪽
출판일:2024-09-30
ISBN:9788999732263
목차
서문
제1장 형이상학적 사유와 극복으로서의 근대교육: 플라톤의 교육론을 중심으로
도입
1. 형이상학적 사유와 기원
2. 형이상학적 사유의 극복과정-철학사적 관점에서
3. 플라톤 이론의 핵심 개념인 이데아론과 비판적 논의
4. 플라톤의 형이상학적 교육론의 의미와 논의
5. 플라톤의 사유와 교육이론의 전개: 보수주의와 자유주의의 맥락에서
생각해 보기
읽을거리
제2장 교육철학의 질문과 함께 루소의 『에밀』 읽기
도입
1. 루소에게 끌리는 이유
2. 교육이 따라야 할 자연은 어떤 의미인가?
3. 소극적 교육의 의미는 무엇인가?
4. 『에밀』은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
5. 요약 및 의의
생각해 보기
읽을거리
제3장 가상현실은 정말 교육혁명을 일으킬 수 있는가?: 듀이의 관점에서 본 가상현실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도입
1. 가상현실은 정말 교육혁명을 일으킬 수 있는가?
2. 문자중심교육을 비판하는 진보주의 교육철학자 존 듀이
3. 존 듀이의 경험중심교육 이론의 핵심 개념들
4. 듀이의 관점에 비추어 본 가상현실 교육
생각해 보기
읽을거리
제4장 감춰진 교육철학, 드러****육철학, 적용된 교육철학: 푸코의 자기배려로서 교육을 중심으로
도입
1. 푸코의 철학에 ‘감춰져 있는’ 교육적 관심
2. 푸코의 ‘드러난’ 교육철학: ‘자기배려로서 교육’의 이론화
3. 자기형성과 변형에 ‘적용된’ 푸코의 철학하기
4. 요약과 의의: 자기연마와 자기배려로서 교육
생각해 보기
읽을거리
제5장 새로운 교육적 관계의 가능 조건: 랑시에르의 ‘무지한 스승’ 개념을 중심으로
도입
1. 왜, 지금 우리 사회에서 랑시에르인가?
2. 해방교육의 전통에서 랑시에르의 위치
3. 랑시에르 교육론의 재구성
4. 랑시에르 해방교육론의 교육적 적용의 의미
5. 결론: 교실 ****치안의 질서에 균열을 내는 교사 역할의 평범함
생각해 보기
읽을거리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