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평화된 한일관계

도서명:수평화된 한일관계
저자/출판사:국중호,윤희찬,기미야,다다시,하코다,테츠야,오구라,기/박영사
쪽수:350쪽
출판일:2023-08-04
ISBN:9791130317984
목차
ㆍ 프롤로그 i
ㆍ 편저자의 말 iv
서장 한일관계의 여러 문제 1
1 일본경제의 침체 요인과 전망 3
2 외교정책에 있어서의 한일협조 가능성 4
3 수평관계로 바뀌고 있는 한일 간의 구조적 변화 5
4 관리(management)해 온 ‘한일모델’ 6
5 일본군‘위안부’ 문제의 정치적 책무 7
6 문화교류 가교로서의 한류 콘텐츠 8
7 한일 사고방식의 차이와 세 가지 축 9
8 한국과 일본의 인식 차이와 한일관계 10
제1장 일본경제의 침체 요인과 향후 전망 13
1 한국에 추월당한 일본의 소득수준 15
2 일본경제의 위상 저하 19
3 정책평가로 본 일본경제 침체 요인 24
4 일본경제의 과제와 전망 34
5 일본의 특징과 한일협업의 모색 41
제2장 제20대 대통령선거, 윤석열 정권과 한국외교, 그리고 한일관계 47
1 제20대 대통령선거 개요 49
2 한일 간 정치 및 선거 비교 50
3 문재인 정권의 업적 투표로 본 제20대 대선 54
4 보수와 진보 진영 간의 정치적 균열 56
5 한국 정치에서의 사회적 균열: 지역 · 세대 · 젠더 63
6 윤 정권의 내정(內政) 과제 71
7 윤석열 정권의 외교: 무엇이 어디까지 바뀔 것인가? 73
8 한일관계에 변화를 가져올 것인가? 79
9 한일관계의 재고 83
제3장
오늘날 한일관계에서 우리가 배워야 할 것 -구조적 변화와 인재(人災)로 드러난 근린외교- 85
1 정치지도자가 부른 ‘인재(人災)’ 87
2 한일 간 구조적 변용 89
3 무지와 악의로 채색되었던 한일 갈등 92
4 유효한 카드가 없었던 한국 102
5 서로 다른 미래상을 그리는 한국과 일본 105
6 관계 악화에 책임져야 할 정치 110
제4장 21세기를 혁신하기 위한 한일철학 113
1 가까스로 성립하고 있는 한일관계 115
2 ‘병합식민지’란 무엇인가? 118
3 ‘한일모델’이란 무엇인가? 121
4 화해는 프로세스다 125
5 새로운 가치를 향하여 129
6 마무리 130
7 질의 응답: 코멘트에 답한다 133
제5장 생존자 없는 시대의 피해 〮 생존자 중심주의: 일본군‘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치의 책무 145
1 ‘생존자 없는 시대’를 바라보며 147
2 정치적 현실주의가 시도하는 화해 정책의 문제 149
3 다시, ‘피해자 중심주의’란 무엇인가? 152
4 다시, 정치적 책무란 무엇인가? 155
5 ‘화해의 국제정치’와 피해자 중심주의 159
6 한일관계에서 ‘피해자 중심주의’의 등장과 전개 161
7 ‘2015년 합의’의 재검토: 피해자 중심주의 해결을 열어가기 위해 167
8 현실적 해법의 출발점으로서 ‘2015년 합의’와 그 이행의 조건들 170
9 포스트-피해자 시대, 2015년 합의를 어떻게 할 것인가? 173
제6장 문화교류와 콘텐츠 비즈니스의 변모 177
1 한일 문화교류의 가교(架橋), ‘콘텐츠’ 179
2 세계를 석권하는 한국 콘텐츠, 국가 이미지에 미친 영향 181
3 문화교류 20년, 한류의 저력 192
4 콘텐츠 비즈니스의 변천과 성장 200
5 또 하나의 한류, ‘혐한’ 207
6 한일 협업을 통한 문화교류의 노력 211
제7장 한일 사고방식 비교와 보완성 215
1 한일 사고방식의 세 축 217
2 플로우의 한국 vs. 스톡의 일본 219
3 디지털의 한국 vs. 아날로그의 일본 228
4 ‘넓고 얕게’의 한국 vs. ‘좁고 깊게’의 일본 236
5 지향점은? 245
제8장 한일 인식의 차이와 한일관계 구축 255
1 인식 차이 및 일본 역사교육의 실태 257
2 한일 간 역사 배경 및 가치관의 차이 261
3 아베 · 스가 및 기시다 정권에서의 한일관계 270
4 국제정세와 한일관계 277
5 한일관계 대응과 상호활용 전략 282
6 시시비비와 중용 288
종장 제언 293
ㆍ에필로그 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