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혼학

도서명:영혼학
저자/출판사:정영부/지식과감성
쪽수:1116쪽
출판일:2023-08-01
ISBN:9791139212280
목차
자천사(自薦辭)
저자 서문
1 머리말
2 표준이론의 필요성과 자명한 사실
2.1. 표준이론의 필요성
2.2. 표준이론이 궁구한 자명한 사실
2.3. 영혼학의 정의와 범위
3 표준이론
3.1. 영혼육 삼원론
3.1.1. 인간의 구성요소
3.1.2. 영혼육 삼원론인 이유
3.1.3. 일반적인 삼원론과 표준이론
3.1.4. 영과 혼을 구분하지 않는 사람들
3.2. 영과 혼의 기원론
3.2.1. 표준이론의 영과 혼의 기원(起源)
3.2.2. 영과 혼의 기원에 대한 여러 가지 주장
3.2.3. 주요 종교의 영혼개념의 기원
3.2.4. 표준이론과 유사한 동양의 기론(氣論)
3.3. 영과 혼의 삶과 윤회
3.4. 영과 혼의 관계
4 자아(自我)에 대하여
4.1. 자아(自我)의 정의
4.2. 자아와 영 그리고 혼의 관계
4.3. 자아의 발전단계
4.3.1. 표준이론의 자아의 발전단계
4.3.2. 자아의 수준(水準)
4.3.3. 자아의 방, 사랑방 이야기
4.3.4. 표준이론에서의 영(靈)의 수효
4.3.5. 참자아의 개념
4.3.6. 영이 없는 사람의 발전단계
4.3.7. 자신의 자아수준 판별
4.3.8. 자아수준에 따른 영혼의 수준과 사후세계
4.3.9. 표준이론과 유사한 자아의 수준 이론
4.4. 자의식(自意識)
5 영(靈)에 대하여
5.1. 영이란 무엇인가
5.1.1. 영의 정의(定義)
5.1.2. 영의 합일
5.1.2.1. 합일의 사전적 의미
5.1.2.2. 표준이론에서의 합일
5.1.2.3. 여러 사상과 종교에서의 합일
5.1.2.3.1. 신비주의 사상과 합일
5.1.2.3.2. 영지주의와 합일
5.1.2.3.3. 기독교 신비주의와 합일
5.1.2.3.4. 이슬람 신비주의 수피즘의 합일
5.1.2.3.5. 힌두교의 합일
5.1.2.3.6. 유대교 신비주의 카발라와 합일
5.1.2.3.7. 불교의 합일사상
5.1.2.3.8. 유교의 합일사상
5.1.2.3.9. 도가의 합일사상
5.1.2.3.10. 우리나라의 합일사상
5.1.2.3.11. 신지학의 합일
5.1.2.3.12. 헤르메스주의와 합일
5.1.2.3.13. 기타 최근의 사상가들과 뉴에이저들
5.2. 영 따로 혼 따로
5.3. 하느님의 영의 불(靈火)
5.4. 영의 의무
5.5. 저승에 대해서
5.5.1. 우리나라의 민속 저승관
5.5.2. 불교의 저승관
5.5.3. 유교의 저승관
5.5.4. 도교의 저승관
5.5.5. 기독교의 저승관
5.5.6. 이슬람교의 저승
5.5.7. 힌두교의 저승관
5.5.8. 고대이집트의 저승관
5.5.9. 심령학의 저승관
5.5.10. 신지학의 저승관
5.5.11. 표준이론의 저승
5.6. 영에 대한 기타 담론
6 혼(魂)에 대하여
6.1. 혼의 정의
6.2. 영과 혼의 유래와 전생횟수
6.2.1. 영의 탄생시기와 유래
6.2.2. 지구 혼의 유래와 전생횟수
6.2.3. 영과 혼의 전생(轉生)횟수와 출신
6.3. 혼의 구성
6.3.1. 생기체
6.3.2. 마음의 구성요소
6.3.3. 정신체
6.3.4. 양심체
6.4.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와 혼
6.5. 자율신경과 혼
6.6. 양자역학과 표준이론
6.7. 혼의 장기(臟器)
6.8. 혼의 물성(物性)
6.9. 유학(儒學)의 ‘마음’에 대한 담론
6.10. 업(業)에 대하여
6.11. 강시(殭屍, zombie)
6.12. 의식상태별 혼의 활동
6.12.1. 의식의 종류
6.12.2. 표준이론의 의식구분
6.12.3. 표준이론의 의식과 신지학
6.12.4. 최면과 의식
6.12.5. 신지학의 초능력적 의식개발
6.12.6. 유체이탈과 의식
6.13. 집단무의식
7 육(肉)에 대하여
7.1. 육체와 혼의 관계
7.2. 육체의 진화와 혼의 진화
7.3. 육체의 부활
7.4. 신지학의 육체
7.5. 육체가 영에 미치는 영향
8 주요 인간론(人間論)
8.1. 그리스 철학과 「영언여작」의 삼혼설
8.2. 기독교의 인간론
8.3. 불교의 인간론
8.4. 원불교의 영기질 인간론
8.5. 자이나교의 혼육이원의 인간론
8.6. 힌두교의 인간론
8.7. 정기신(精氣神)의 인간론
8.8. 도교의 인간론
8.9. 도가의 인간론
8.10. 우리나라의 민속적 인간론
8.11. 영지주의의 인간론
8.12. 성리학의 이기론(理氣論)
8.13. 대종교의 인간론
8.14. 정신분석학의 인간론
8.15. 동의보감의 인간론
8.16. 카발라의 인간론
8.17. 헤르메스주의의 인간론
8.18. 신지학적 인간론
8.19. 뉴에이지의 인간론
8.19.1. 유란시아서의 인간론
8.19.2. 닐 도날드 월쉬의 인간론
8.19.3. 이차크 벤토프의 인간론
8.19.4. 엘리자베스 퀴블러-로스의 인간론
8.19.5. 뉴에이지의 외계인론
8.20. 통합적 인간론
8.21. 기타 여러 가지 인간론
9 수면과 영혼육
9.1. 수면의 정의
9.2. 수면의 목적과 과정
9.3. 수면과 의식
9.4. 수면 중 영혼의 활동
9.5. 꿈은 누가 꾸는가
10 기(氣)에 대하여
10.1. 氣란 무엇인가
10.2. 기와 관련된 실험들
10.3. 기(氣)의 물질화
10.4. 성령(聖靈)과 기
10.5. 호흡과 기
10.6. 여러 종교와 사상에 나타나는 기
10.6.1. 노자의 도와 기
10.6.2. 아낙시메네스와 아낙사고라스
10.6.3. 도교의 기철학
10.6.4. 성리학의 기
10.6.5. 한의학(韓醫學)의 정기신(精氣神)
10.6.6. 천도교(天道敎)의 기
10.6.7. 대종교(大倧敎)의 기
10.6.8. 수련적 도교인 우리나라 기철학
10.6.9. 켄 윌버의 기론(氣論)
10.6.10. 요가와 신지학의 기
10.7. 기에 대한 나머지 이야기
11 영혼육에 대한 나머지 이야기들
11.1. 영매에 대하여
11.2. 최면에 대하여
11.3. 윤회에 대하여
11.3.1. 윤회와 윤회사상의 역사
11.3.2. 윤회의 필연성과 그 증거
11.3.3. 영과 혼이 각자 윤회하는 표준이론
11.3.4. 윤회의 경로
11.3.5. 환생자 찾기
11.3.6. 환생에 소요되는 시간
11.3.7. 환생 교육
11.3.8. 환생재단
11.3.9. 윤회혼의 개성(個性) 공식
11.4. 구도의 표준이론
12 기타
12.1. 임종명석현상
12.2. 기시감에 대하여
12.3. 귀신에 대하여
12.4. 명상에 대하여
12.5. 삶 속의 죽음
12.6. 여러 사상에 나타나는 우주주기론
12.7. 의식과 기억
12.8. 시간에 대해서
13 結
結詩
尾註
附錄
전체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