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조사와 한국적인 것의 탄생

도서명:사회조사와 한국적인 것의 탄생
저자/출판사:김인수 , 이영진/소명출판
쪽수:279쪽
출판일:2024-01-20
ISBN:9791159058080
목차
제1장 ‘한국적인 것’에 관한 질문의 출현-1950~1970년대
1. 사회조사론 재고
2. 해방 이후 초기의 사회조사와 ‘한국적인 것’ 의 재점화
3. ‘한국적인 것’의 압박과 사회조사에의 반영-현실적합성의 추구
4. 가족계획사업에서의 ‘사회조사의 한국화’ 기획
제2장 연구 대상으로서의 촌락사회
1. 초기 사회학의 촌락사회 연구
2. 초기 인류학의 촌락사회 연구-브란트와 한상복
제3장 종족-가장 전통적인, 하지만 여전히 중요한 정치집단
1. 분석대상으로서의 종족
2. 동족촌락의 형성과 변화-조선시대
3. 촌락재편성 정책과 종족-일제강점기
4. 토지개혁, 산업화, 도시화에 따른 변화-해방 이후부터 현재까지
5. 종족은 여전히 중요한 정치적 단위인가
제4장 한국 ‘마을’ 연구의 초기 경향을 통해 본 ‘마을’ 개념의 계보학적 탐구
1. 연구의 분석단위로서 ‘촌락 / 부락’, ‘마을’, ‘공동체’, ‘지역사회’는 서로 일치하는가
2. 자연촌이라는 자장
3. 1960년대 한국 농촌사회학의 응답
4. 남은 질문들-소용돌이 vs. 자연촌
5. 논점과 연계된 향후의 과제
제5장 무속-문화체계로서의 종교와 실천으로서의 종교
1. 들어가며
2. 분석대상으로서의 종교
3. 초기 인류학의 한국 무속 연구
4. 무속을 바라보는 한국 인류학의 새로운 시각
제6장 해보면 알게 되는 것들-출산력 조사와 사회조사의 한국화 기획(1960~1970년대)
1. 연구의 목적과 범위
2. 사회조사 지식의 특성과 냉전기 사회조사의 재인식
3. 동조화-미국 사회조사방법론의 수용
4. 현장화-‘한국적인 것’에 대한 관심과 ‘융기하는 현실’
5. 제도화경쟁-의사집단의 출산력조사에 대한 비판
6. 질문지를 다시 열어보다-인구연구의 사회학적 전환
7. 망각된 유산으로서의 ‘사회조사의 한국화’
제7장 메커니즘으로서의 ‘한국적인 것’에 관한 응시
1. 탈식민 / 근대화 여정 속에서의 ‘한국적인 것’의 추출
2. 가족 연구의 지층
3. 사회의식 조사를 통한 ‘한국적인 것’의 체계적인 검증
맺으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