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CI 3.0

도서명:HCI 3.0
저자/출판사:김진우 , 연세대학교 HCL Lab/안그라픽스
쪽수:480쪽
출판일:2024-07-16
ISBN:9791168230750
목차
머리글
감수자 서평
디지털 프로덕트
이해하기
1장 | HCI 3.0의 개념:
HCI와 인공지능과 디지털 헬스의 관계
1. HCI의 의미
2. 인공지능과 HCI 3.0
3. 디지털 헬스의 개념
디지털 바이오마커
디지털 치료 기기
4. 디지털 헬스와 HCI
5. HCI 3.0과 사용자 경험
6. HCI 3.0의 방법론
분석
기획
설계
평가
7. HCI 3.0과 사회적 가치
2장 | HCI 3.0과 사용자 경험:
사용자 경험에 초점을 맞춘 디지털 프로덕트
1. 경험 기반의 HCI 3.0
2. 감각적 경험
3. 판단적 경험
4. 구성적 경험
5. 사용자 경험과 외부 환경의 관계
경험의 3차원 모형
외부 환경 분석
6. 사용자 경험을 위한 목표 경험 설정
3장 | 유용성의 원리:
사람들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프로덕트의 요소
1. 유용성의 의미
2. 유용성을 위한 공간 개념
문제 공간
솔루션 공간
3. 심성 모형
수단적 가치
경험적 가치
4. 유용성의 조건
유효성
환경 적합성
5. 유효성과 환경 적합성의 상충 관계
4장 | 사용성의 원리:
사람들이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프로덕트의 요소
1. 사용성의 의미
2. 사용 적합성
3. 사용성의 속성
기본적 속성
부수적 속성
4. 사용 오류
5장 | 신뢰성의 원리:
사람들이 믿고 의지할 수 있는 디지털 프로덕트의 요소
1. 신뢰성의 의미
2. 감성과 신뢰성
3. 신뢰성의 조건
안전성
보안성
안정성
4. 신뢰성 향상 가이드라인
5. HCI 3.0의 신뢰감
책임지는 인공지능
믿음직한 인공지능
분석하기
6장 | 관계자 분석:
다양한 관계자에게 최적의 경험을 제공하는 방법
1. 관계자 분석의 의미
2. 관계자 분석 준비
관계자 파악
관계자의 특성 구분
관계자에게 미치는 영향 파악
분석의 우선순위
3. 관계자 분석
4. 사회기술 모형
5. 페르소나 모형
7장 | 과업 분석:
관계자의 시스템 사용 의도와 방식을 분석하는 방법
1. 과업 분석의 의미
2. 과업 분석의 대상
사용자
제공자
인공지능 전문가
3. 과업 분석 준비
맥락 질문법의 정의
맥락 질문법의 원칙
맥락 질문법의 장점 및 유의 사항
4. 과업 분석 방법론
사용자 여정 지도
시나리오 분석
스토리텔링 기법
8장 | 맥락 분석:
다양한 실제 사용 환경을 효율적으로 분석하는 방법
1. 맥락 분석 의미
2. 디지털 프로덕트의 맥락 분석
물리적 맥락
사회 문화적 맥락
기술적 맥락
3. 맥락 자료 수집 방법
4. 맥락 자료 분석 방법
물리적 맥락 모형
사회 문화적 맥락 모형
기술적 맥락 모형
기획하기
9장 | 콘셉트 모형 기획:
사용자 입장에서 새로운 디지털 프로덕트를 기획하는 방법
1. 콘셉트 모형
2. 콘셉트 도출
3. 콘셉트 선정
4. 콘셉트의 구체화
메타포
시스템 제원
메타포 모형
10장 | 비즈니스 모델 기획:
제공자 입장에서 새로운 디지털 프로덕트를 기획하는 방법
1. 비즈니스 모델
2. 비즈니스모델의 종류
웰니스 모델
메디컬 모델
3. 비즈니스 모델 관계자와 핵심 가치
4.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전통적인 구성 요인
확장된 구성 요인
5. HCI 3.0의 비즈니스 모델
6. 비즈니스 모델과 콘셉트 모형
설계하기
11장 | 아키텍처 설계:
사람들이 쉽게 이해하고 기억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조를 설계하는 방법
1. 아키텍처 설계의 의미
2. 제원 데이터의 유형
일반 제원 데이터 유형
인공지능과 제원 데이터
3. 제원 데이터의 분류
4. 제원 데이터의 범주 관계
순차적 관계
그리드 관계
계층 관계
네트워크 관계
혼합 관계
인공지능이 생성하는 관계
5. 아키텍처 설계 도면
ER 다이어그램
아키텍처 설계 도형
12장 | 인터랙션 설계:
사람들이 몰입해서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의 기능을 설계하는 방법
1. 인터랙션 설계의 의미
2. 최적의 경험을 위한 인터랙션 조건
3. 투명성 향상을 위한 인터랙션 설계 가이드라인
4. HCI 3.0의 인터랙션 가이드라인
5.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6. 시퀀스 모형 디자인
개별 시퀀스 모형
결합 시퀀스 모형
13장 | 인터페이스 설계:
시스템의 구조와 기능을 사람들에게 정확하게 표현하는 방법
1. 인터페이스 설계의 의미
2. 시각 인터페이스
시각 디자인 요소
시각적 구성
시각적 효과
관계자별로 다르게 적용되는 시각 설계 요소
3. 청각 인터페이스
음성 인터페이스
대화형 인터페이스
4. 촉각 인터페이스
5. 인터페이스 설계 가이드라인
시각 인터페이스
청각 인터페이스
촉각 인터페이스
6. 인터페이스 설계 방법
평가하기
14장 | 통제된 실험 평가:
통제된 환경에서 디지털 프로덕트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방법
1. 통제된 실험 평가의 개념
2. 통제된 실험 평가의 종류
탐색적 평가와 확증적 평가
디지털 헬스 프로덕트의 평가
인공지능을 활용한 실험 평가
3. 무작위 대조 시험의 개념
4. 무작위 대조 시험의 설계
5. 무작위 대조 시험의 절차
6. 무작위 대조 시험의 분석
7. 무작위 대조 시험의 결과 보고
15장 | 실사용 현장 평가:
실세계 환경에서 디지털 프로덕트의 환경 적합성을 평가하는 방법
1. 현장 평가의 개념
실사용 데이터
실사용 증거
2. 실세계 성능 분석
3. 디지털 시스템의 유용성 평가
유효성 평가
환경 적합성 평가
4. 디지털 시스템의 사용성 평가
사용 적합성 평가
사용자 만족도 평가
사용자 피드백 채널 평가
문제 해결 평가
사용자 참여도 평가
5. 디지털 시스템의 신뢰성 평가
안전성 평가
보안성 평가
안정성 평가
내다보기
16장 | HCI 3.0과 사회적 가치:
개인을 위한 최적의 경험뿐 아니라 사회 전체를 위한 가치를 제공하는 디지털 프로덕트
1. 디지털 프로덕트의 사회적 가치
2. 사회적 가치의 기본 원칙과 고려 사항
책무성
투명성
윤리성
3. 사회적 가치를 위한 디지털 프로덕트의 글로벌 전략
4. 인공지능의 사회적 가치와 HCI 3.0의 역할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