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국화

도서명:초국화
저자/출판사:루드거 프리즈/한국문화사
쪽수:288쪽
출판일:2023-02-28
ISBN:9791169190961
목차
저자의 말
Ⅰ. 이론적 토대 놓기
1. 초국화 - 유행개념인가 아니면 진지한 연구프로그램인가?
1.1 개념의 혼란과 개념 정의를 위한 제안
1.2 방법론적 국가주의와 국제화 유형
1.3 분석단위, 기준단위 및 조사단위
1.4 초국적 관계, 초국적 네트워크 그리고 초국적 사회공간
II. 일상적 생활세계
2. 초국적 가족과 이주
2.1 세 가지 필수적인 관점의 확장
2.2 이주에서 가족 - 가족에서 이주
2.3 가족 이주의 영향
3. 초국적 네트워크에서 노령화
3.1 노동이주민 그리고 ‘세계들 사이에서의‘ 노령화
3.2 독일인 은퇴자의 노령화와 진자 이주
4. 초국적 소속성과 이주민 유형
4.1 국가적 경계를 넘어서는 이주의 네 가지 이념형
4.2 초국적 이주민과 그들의 사회공간적 결합
4.3 초국적 이주민과 ‘이방인’의 다른 유형들
III. 초국화와 조직
5. 초국적 조직으로서 유럽연합 노동자평의회(EBR)
5.1 유럽 차원의 초월국민국가화의 표현으로서 EBRs
5.2 국가적 경계를 넘어서는 조직으로서 EBRs
5.3 제너럴 모터스(GM)의 초국적 EBR
6. 국가적 경계를 넘어서는 이주민 조직
6.1 이주민 조직에 대한 연구
6.2 복합적 조직으로서 이주민 단체
6.3 도착국가와 출신국가 사이의 이주민 단체
6.4 초국적 이주민 조직에 대한 연구
7. 초국적 조직으로서 국제연합(UN)?
7.1 국제연합 및 다른 국가적 경계를 넘어서는 조직들
7.2 국제노동기구(ILO) 최소기준과 국제 거버넌스 구조
IV. 사회적 제도
8. 노동시장의 초국화
8.1 취업이동성 패턴의 국제화
8.2 노동시장 사회학과 이주 사회학의 통합
9. 사회 불평등의 초국화
9.1 초국적 이주와 사회 불평등
9.2 초국화와 불평등 연구
V. 결론
10. 사회공간 이론의 분화를 위한 모색
10.1 국제 비교 관점과 세계사회 관점
10.2 사회적인 것의 공간결합: 사회공간
10.3 마이크로 분석적, 메소 분석적 그리고 매크로 분석적 사회공간 유형
10.4 사회공간의 초국화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