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바구니0

공자와 미국의 건국(하) > 철학

상품간략정보 및 구매기능

공자와 미국의 건국(하)

기본설명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제조사 한국문화사
원산지 국내산
브랜드 한국문화사
시중가격 69,000원
판매가격 69,000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최소구매수량 1 개
최대구매수량 999 개
  • 공자와 미국의 건국(하)
    +0원

관련상품

등록된 관련상품이 없습니다.

  • 상품 정보

    상품 상세설명

    공자와 미국의 건국(하)

    9791169191128.jpg

    도서명:공자와 미국의 건국(하)
    저자/출판사:황태연/한국문화사
    쪽수:882쪽
    출판일:2023-04-10
    ISBN:9791169191128

    목차
    ▶머리말
    ▶서론

    상권

    제1장 공자와 미국의 국부들

    제1절 “유교적 혁명가” 벤저민 프랭클린의 공자 학습과 중국연구
    1.1. 프랭클린의 유교적 수신과 공자철학의 보급 활동
    ■ 프랭클린의 중국학습 노력
    ■ 프랭클린의 「자유와 필연, 쾌락과 고통에 관한 논고」
    ■ 프랭클린의 최초의 유교적 수신 시도
    ■ 「중국철학자 공자의 도덕(The Morals of Confucius, a Chinese Philosopher)」의 내용분석
    ■ 자기도야를 위한 프랭클린의 13개 덕목 리스트
    ■ 식민지 주민에 대한 프랭클린의 도덕·정치철학 교육과 수신기술의 보급
    ■ 유교적 덕성주의에 대한 프랭클린의 확신과 덕성철학의 보급 노력
    ■ ‘미국유생’ 프랭클린의 ‘효제·효자’·‘신상紳商’으로서의 삶
    1.2. 공자의 “정자정야政者正也”와 프랭클린의 “정직은 최선의 정치다”
    ■ “Honesty is the best policy”의 유교적 전의: ‘진실’에서 ‘도의’로
    ■ “Honest is the best policy”는 개신교 윤리인가?
    1.3. 프랭클린의 중국통치제도 연구와 활용
    ■ 「중국으로부터의 편지(A Letter from China)」(1788)
    ■ 중국사법司法에 대한 프랭클린의 관심과 중국법전 입수를 위한 외교 구상
    ■ 중국의 국가통계제도에 대한 프랭클린의 관심과 통계제도 도입 촉구
    ■ 중국의 영예상향 원칙을 활용한 프랭클린의 ‘귀족공화국’의 저지
    ■ 중국의 경제정책에 대한 프랭클린의 관심과 도입 노력
    ■ 노예해방의 원칙수립과 관철노력
    1.4. 프랭클린의 중국농업·산업기술 연구와 보급
    ■ 프랭클린의 중국식물 도입
    ■ 도자기와 도예기술에 대한 프랭클린의 관심과 연구
    ■ 중국 양잠기술의 연구와 도입
    ■ 중국식 난방시스템의 도입과 개량
    ■ 중국 항해·제지기술의 연구와 만리장성의 축성 계획 및 중국 연鳶의 모방

    제2절 토마스 제퍼슨의 공자철학과 시누아즈리
    2.1. 토마스 제퍼슨의 공자철학과의 접촉
    ■ 토마스 제퍼슨의 정치철학과 공자철학의 연속성과 친화성
    ■ 제퍼슨과 공자철학의 이른 조우와 활용
    2.2. 공자철학과 제퍼슨의 계몽철학 간의 구체적 연관
    ■ 공자의 “정자정야”와 제퍼슨의 “통치의 전 기술은 정직함의 기술에 있다”
    ■ 대통령 취임연설에서 개진된 유교적 도덕원칙
    ■ 제퍼슨의 유교적 종교관
    ■ 제퍼슨의 유교적 종교자유론
    ■ “A Benign Religion”의 정체
    ■ 제퍼슨의 유교적 선정善政 개념
    ■ 제퍼슨의 유교적 행복국가론
    ■ 대통령 제퍼슨의 스크랩북과 「아주 오래된 중국 송시」
    2.3. 중국 신사제도와 제퍼슨의 ‘자연적 귀족’ 개념 및 교육이론
    ■ 중국의 ‘신사’와 제퍼슨의 ‘자연적 귀족’
    ■ 신시내티협회의 귀족제 도입 기도에 대한 제퍼슨의 저지
    ■ 제퍼슨의 중국식 근대 교육제도 법안
    ■ 제퍼슨의 버지니아대학교 설립
    ■ 제퍼슨의 근대적 학교제도 법안의 전위적 성격과 사후적 실현
    2.4. 봉건적 장원 청산과 노예제 폐지를 위한 제퍼슨의 분투
    ■ 제퍼슨이 읽은 르콩트와 뒤알드의 중국론: “노비 없는 소농사회”
    ■ 17-18세기 중국의 “노예 없는 소농사회”, 그 형성과 발전
    - 노비해방과 이중소유권: 소농경제와 경자유전 원칙의 확립
    ■ 버지니아 토지개혁과 소농체계 수립을 위한 제퍼슨의 분투
    ■ 노예제 폐지를 위한 제퍼슨의 입법화 투쟁
    2.5. 제퍼슨의 시누아즈리와 중국정원의 애호
    ■ 제퍼슨의 시누아즈리 건물과 정원
    ■ 시누아즈리 농작물 코친차이나산 산도(밭벼)의 도입

    제3절 다른 국부들의 공자숭배와 시누아즈리
    3.1. 조지 워싱턴과 존 애덤스의 중국애호심과 시누아즈리
    ■ 조지 워싱턴의 대對중국 직접교역과 중국모방적 고립주의 및 시누아즈리
    ■ 위싱턴의 중국적 미감과 시누아즈리
    ■ 존 애덤스의 중국애호주의와 공자철학 지식
    3.2. 존 제이와 알렉산더 해밀턴의 중국중시론과 공자숭배
    ■ 존 제이의 은연한 공자숭배와 중국관심
    ■ 알렉산더 해밀턴의 중국중시론
    3.3. 제임스 매디슨, 토마스 페인과 벤저민 러시의 중국열광
    ■ 제임스 매디슨의 중국지식과 공자 추앙
    ■ 토마스 페인의 공자 숭배
    ■ 벤저민 러시의 공자숭배와 중국애호

    제4절 건국 전후 미국 철학자·과학자·문인들의 공자추앙
    4.1. 바트램, 로건, 발로우, 모스, 드링커의 공자숭배
    ■ 식물학자 바트램의 공자숭배
    ■ 책을 사랑한 철학자 제임스 로건의 공자숭배
    ■ 시를 쓴 법조인 조엘 발로우의 공자 존숭
    ■ 인문지리학자 제디디아 모스의 공자 찬양
    ■ 엘리자베스 드링커의 공자 찬양
    ■ 익명 또는 가명 필자들의 공자숭배
    4.2. ‘미국의 공자’ 랄프 왈도 에머슨의 유교철학
    ■ 랄프 에머슨의 초월주의와 공자철학의 결합
    ■ 공맹철학과 중국 정치제도에 대한 에머슨의 찬양과 추종
    ■ 에머슨의 최초의 저서 「자연본성」에 스며있는 공자 논지들
    ■ 에머슨의 공자주의적 우정友情 이론
    ■ 에머슨의 총괄적 공자상
    4.3. ‘미국 유자’ 헨리 데이비드 소로와 공자철학
    ■ ‘미공간 초고’ 속의 96개 공맹어록의 영역문에 대한 분석
    ■ 시민불복종」의 유교적 본질: ‘무도은둔無道隱遁’으로서의 ‘시민불복종’

    제2장 공자철학과 미국 독립사상의 형성

    제1절 공맹의 자유·평등·혁명철학과 귀천 없는 중국사회
    1.1. 공자의 태생적 자유철학과 극동의 백성자치 사회
    ■ 치자의 ‘무위이치無爲而治’ 이념: 백성의 소극적 자유의 전제
    ­ 공자의 ‘덕치’로서의 ‘무위이치’와 노자의 ‘무위자연’의 차이
    ■ 백성의 적극적 자유로서의 ‘백성자치’ 이념과 자치제도
    ■ 무위無爲경제와 자유교역: 자유시장의 이념과 제도
    1.2. 공자의 태생적 평등철학과 귀천 없는 중국사회
    ■ 공자의 자연적·태생적 평등이념(무생귀자無生貴者·무류균등無類均等)
    ■ 교육과 관직의 기회균등(有敎無類·士無世官) 원칙
    ■ 노비제의 철폐와 완전 평등사회의 구현
    ■ 남녀·부부·부자·군신 간의 구별과 평등
    ■ 선후관계·상하관계·지배관계의 구분
    ■ 경제적 불평등 문제와 균제均齊정책


    하권

    제2장 공자철학과 미국 독립사상의 형성

    1.3. 공맹의 민유방본·득민득국론과 반정·혁명론
    ■ 민유방본론과 득민득국론
    ■ 공맹의 왕권민수론王權民授論과 반정·역성혁명론
    1.4. 공자와 중국의 자유·평등 이념과 제도의 서천西遷
    ■ 명대 중국에 대한 포르투갈·스페인·이탈리아인의 보고
    ■ 퍼채스에서 뒤알드까지 자유·평등한 중국문화의 확산
    ■ 공자경전의 출판과 공자철학의 확산

    제2절 「독립선언문」과 유교적 자유·평등·혁명권의 선언
    2.1. 영국 청교도혁명과 왕정복고기 자유·평등·관용이념의 왜곡과 망실
    ■ 서구 자유·평등사상과 폭군방벌론의 발아
    ■ 청교도혁명과 그 한계
    ■ 뷰캐넌·벨라르민·수아레즈·밀턴에 대한 격렬한 반동
    2.2. 명예혁명과 그 한계, 그리고 로크의 위선적 자유·평등론
    ■ 명예혁명의 의미와 그 역사적·정치적 한계
    ■ 로크의 위선적 자유·평등론
    2.3. 무왕의 혁명선언문 「태서」와 「독립선언문」 간의 논법적 일치
    ■ 중국과 미국의 법철학적 친화성
    ■ 「미국 독립선언문」은 ‘네덜란드 독립선언문들’(1320, 1581)의 모방작?
    ■ 「독립선언문」과 「태서」의 논변구조의 동일성과 유사성
    2.4. 「독립선언문」과 유교적 평등·자유·행복·혁명론
    ■ 유교적 만인평등의 선언: 성서의 불평등창조론에 대한 부정
    ­ 자연발생적(진화적) 자연창조론을 통한 기독교적 불평등창조론의 분쇄
    ■ 유교적 자유권
    ■ 백성의 혁명권(저항권)
    ■ 유교적 행복추구권의 선언

    제3장 유교적 민주공화국 미국의 탄생

    제1절 흄과 매디슨의 대국大國민주주의 기획과 미국의 건국
    1.1. 중국 영토·인구의 방대성과 절제·자유 간의 연관에 대한 인식
    ■ 소국=민주정, 대국=군주정이라는 유럽의 전통적 정치공식
    ■ 영토와 인구가 방대한 대국에서의 인민결사체들의 중도적 절제와 자유
    1.2. 흄의 「완벽한 공화국의 이념」과 북미 민주공화국연합의 기획
    ■ 「완벽한 공화국의 이념」의 내용분석
    ■ 작은 공화국들의 연합으로서의 대국민주공화국론과 역사적 의미
    1.3. 제임스 매디슨의 방대한 민주공화국연합 기획과 미국의 건국
    ■ 매디슨의 「제10 페더럴리스트 페이퍼」 분석
    ■ 방대한 민주공화국연합에 관한 이론의 세계사적 의미와 역할

    제2절 건국 초 미국의 정치위기와 중국의 평등모델을 통한 극복
    2.1. 독립전쟁 참전장교들의 귀족칭호 요구와 ‘민주공화국’의 위기
    ■ 신시내티 장교단의 쿠데타 기도와 신시내티의 귀족제 창설 ****
    ■ 시민사회의 민감한 반발과 워싱턴의 고민
    2.2. ‘귀족 없는 중국’ 모델을 통한 귀족제 요구의 분쇄
    ■ 중국의 평등모델을 통한 프랭클린의 신시내티 ****의 분쇄
    ■ 프랭클린과 제퍼슨에 의한 신시내티협회의 귀족제 창설 기도의 분쇄
    ■ 유럽에서 귀족제 폐지의 어려움과 귀족제의 끈질긴 잔존: 프랑스의 경우
    2.3. 노예제와 미국의 정치적 위기: ‘민주정’이냐, ‘참주정’이냐?
    ■ 미주 노예제의 개관
    ■ 흑백분리(세그리게이션)제도
    ■ 혁명프랑스의 노예제 문제
    ■ 천민 없는 중국 평등사회 모델과 미국의 노예제 철폐

    제3절 중국과의 직접통상과 미국 경제위기의 타개
    3.1. 미국의 파산위기와 구명선 Empress of China 호의 출항
    ■ 엠프리스 오브 차이나호의 출항
    ■ 엠프리스호의 제원과 선원 구성, 그리고 선적화물
    3.2. 대對중국 직접무역의 타개와 경제파탄 상태의 미국의 구조
    ■ 미중무역의 번창과 미국경제의 회복
    ■ 제퍼슨과 중국무역의 지속적 확대

    제4장 미국의 유교적 국가제도와 시장경제

    제1절 중국의 3단계 학교제도와 근대적 미국 학교의 탄생
    1.1. 중국의 교육제도와 3단계 교육제도의 서천西遷
    ■ 중국의 공립초등학교 사학社學과 사립 초등교육기관 사숙私塾(학숙學塾)
    ■ 중고등학교로서의 부학府學·주학州學·현학縣學
    ■ 대학교로서의 국자감
    ■ 중국의 신사제도
    ■ 중국 학교제도의 서천西遷
    ■ 토마스 제퍼슨의 근대적 교육혁명 시도
    ■ 제퍼슨에 의한 버지니아대학교의 창립과 운영
    ■ 버지니아주의 3단계 교육제도의 확립

    제2절 중국 민병제도와 미국 민병대 및 시민의 총기소유권
    2.1. 중국의 농병일치農兵一致 민병제도
    ■ 공자의 민병일치 군제
    ■ 중국의 병농일치 징병제
    ■ 조선의 오가작통제와 병농일치 징병제
    2.2. 미국의 민병대와 개인의 총기소유권
    ■ 중국 민병제도의 정치적 중요성에 대한 흄의 분석과 민병대 강화방안
    ■ 흄의 중국 민병대 분석과 강화방안에 대한 토마스 제퍼슨의 숙지
    ■ 흄의 민병대론과 상비군 비판의 미국적 적용

    제3절 미국의 중국식 관료제와 문관우위 군사원칙의 확립
    3.1. 중국식 관료제의 도입
    ■ 관료제는 서양 고유의 제도인가?
    ■ 필기시험의 도입
    ■ 중국 과거제와 영국 공무원임용고시의 도입
    ■ 미국의 중국식 관료제의 도입
    3.2. 중국식 문관우위(문민통제) 군사원칙의 확립
    ■ 군軍에 대한 문민통제 군사원칙의 중국적 기원
    ■ 영국으로의 중국식 문관우위·문민통제 군사원칙의 이식
    ■ 미국의 중국식 문관우위·문민통제 군사원칙의 전면적 관철

    제4절 유럽의 유교적 ‘계몽군주정’을 본뜬 미국 대통령제
    4.1. 중국 황제정의 유럽적 리메이크로서의 계몽군주정의 발전
    ■ 중국의 제한군주정에 대한 유럽인들의 인지와 중국의 철인치자론
    ■ 신新존왕주의와 절대주의(절대군주제)
    ■ 중국 제한군주정을 모방한 절대군주제 개혁 모델로서의 계몽군주제
    4.2. 유럽 계몽군주제의 공화제적 리메이크로서의 미국 대통령
    ■ 미국의 공화제적 신존왕주의: 대통령제의 확립
    ■ 프랑스 대통령제

    제5절 공자의 ‘무위이치無爲而治’와 미국의 자유시장제도
    5.1. 공맹의 무위시장론과 중농주의적 자유방임경제론의 미국 전파
    ■ 공맹의 무위시장론과 다르장송의 중농주의적 자유방임경제론의 확산
    ■ 벤저민 프랭클린과 조지 웨이틀리: 프랑스 자유방임경제론의 도입
    5.2. 미국헌법의 자유교역 규정과 미국정부의 자유방임 시장경제론
    ■ 미국헌법의 자유경제 조항들
    ■ 토마스 제퍼슨의 자유방임경제론


    ▶결어
    ▶참고문헌
    ▶찾아보기
    delivery.jpg
  •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 배송/교환정보

    배송정보

    배송업체 : 한진택배 (1588-0011)
     배송비
     2,500원 (2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배송/일부상품제외) 군부대 및 도서산간 지역은 추가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배송기간
     : 평일 오전 7시 이전 주문 시 당일 발송 (2~3일 소요) : 단, 공휴일, 연휴, 천재지변 등으로 인해 발송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배송추적
     : 당일 발송건에 한해 익일 오전 9시 이후 확인 가능합니다.


    교환/반품

     ◆반품/교환을 원하는 경우 반드시 고객센터로 연락 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반품/교환은 상품 수령일로 부터 7일 이내에만 가능합니다. 단, 상품이 훼손되지 않았거나, 속 비닐이 있는 경우 듣지 않았을    때 가능합니다.
     •고객님의 변심 또는 잘못 주문하신 경우에는 왕복 배송비는 고객님의 부담입니다.
     ◆오배송, 파본, 불량 상품에 대해서는 고객센터로 연락주시면 상담 후 교환해 드립니다.
     ◆오배송, 파본, 불량상품의 배송비는 환불처에서 부담합니다.
     교환/반품
     ◆환불은 상품이 환불에 도착 시 처리됩니다. (카드 취소는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고객센터 1234-5678

회사명 경기책방 주소 경기도 파주시 조리읍 장미꽃길 157-161
사업자 등록번호 6829601269 대표 오주봉 전화 02-356-5779 팩스 02-356-5779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21-경기파주-1335호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오주봉

Copyright © 2001-2013 경기책방.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