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사회계약

도서명:신사회계약
저자/출판사:김면회 , 공진성 , 오수웅 , 김만권 , 홍원표 ,/HUINE
쪽수:324쪽
출판일:2024-06-28
ISBN:9791171992447
목차
서문
제1장 신사회계약론에 대한 이론적 고찰: 새로운 계약인가, 새로운 서사인가
1. 머리말
2. 사회계약은 그 자체로 체결될 수 있을까
3. 사회계약은 지구적으로 확장될 수 있을까
4. 사회계약인가, 계약이라는 서사인가
5. 맺음말
제2장 루소의 사회계약론이 ‘신사회계약론’과 유럽 사회에 주는 함의
1. 머리말
2. 사회계약 관념의 본질: '일반의지의 행위'
3. 사회계약 '행위'의 필요성
4. 사회계약 '행위'의 타당성
5. 맺음말
제3장 한나 아렌트와 ‘포스트 베스트팔렌’ 세계를 위한 사회 (간) 계약
1. 머리말: '포스트' 베스트팔리아의 새로운 요구
2. 전통적 사회계약론과 '주권의 절대성'
3. 베스트팔렌 체제 아래 새로운 사회계약론의 대두
4. 포스트 베스트팔렌 체제와 새로운 사회계약론의 필요성
5. 한나 아렌트의 사회계약론
6. 맺음말: '새로운 시작'을 위한 현실적 사회 (간) 계약론
제4장 자연 개념에 대한 한나 아렌트의 역사적·현상학적 사유
1. 머리말: 현재와 미래의 정치를 생각하며
2.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자연 개념: Physis/Natura
3. 근대의 자연 개념: 노동하는 동물과 제작인(homo faber)의 입장
4. 전체주의와 유사 과학: 자연 개념의 '초인간적' 정치화
5. 현대 세계와 자연 과정: 당면한 난제와 해결책은?
6. 맺음말: 자연과 인간의 공존 문제
제5장 탄소인간에서 퇴비인간으로의 생태적 전환: 해러웨이 인구론에 대한 비판적 접근
1. 머리말: 기후변화와 인구 증가 - 탄소인간의 전지구화
2. 가이아에서 테라로: 인류세에서 쑬루세로
3. 자식 낳기에서 친척 만들기로: 공-산생산의 (탈)정치성
4. 카밀 이야기: 공생발생(symbiogenesis)으로 이룬 퇴비공동체
5. 맺음말: 현실적 실천으로서의 생태적 퇴비인간 되기
제6장 미노슈 샤피크의 신(新)사회계약론 탐구: 내용 분석과 유럽그린딜
1. 머리말
2. 사회계약과 신(新)사회계약 그리고 미노슈 샤피크
3. 샤피크 신사회계약론의 특징과 유럽그린딜
4. 맺음말
제7장 유럽그린딜, 유럽을 위한 새로운 사회계약의 기반이 될 수 있는가?
1. 머리말
2. 새로운 유럽의 사회계약에 대한 요구
3. 사회계약적 사고의 전통
4. 지속가능한 발전과 사회계약적 사고
5. EGD의 주요 특징
6. EGD와 유럽의 사회계약
7. 맺음말
제8장 두 번의 이중위기에 대한 유럽연합의 대응: 유럽에서 신자유주의적 경제적 지구화의 기원 · 발전 · 위기 · 전환
1. 머리말
2. 이중위기에 대한 이해와 접근
3. 첫 번째 이중위기에 대한 유럽연합의 대응
4. 두 번째 이중위기에 대한 유럽연합의 대응
5.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