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줄국가 북한: 구석기·인류·인종

도서명:피줄국가 북한: 구석기·인류·인종
저자/출판사:이형우/박영사
쪽수:304쪽
출판일:2024-09-06
ISBN:9791130318950
목차
시작에 앞서 / 1
글을 시작하며 / 5
01 피줄 ㆍ 13
1. 이해하기 어려운 북한 15
2. 5가지 대표어 17
1) 유격대국가, 대체 불가능한 이미지 _ 18
2) 극장국가, 기억의 재현: 과거의 현재형화 _ 22
3) 순수인종 _ 31
4) 가족국가 _ 35
5) 피줄국가 _ 41
3. 피줄국가의 전개 45
02 구석기 ㆍ 51
1. 남한의 시각에서 북한의 구석기시대를 보기 53
2. 1930년대 만주, 유격대국가의 시작과 구석기 62
3. 일탈된 시기의 북한의 구석기 71
4. 1960년대 북한 구석기 96
5. 교시와 구석기시대 108
6. ‘합법칙성’과 구석기 고고학 114
7. 구석기 고고학의 정립 121
8. 2000년대 이후의 구석기 연구 134
9. 석기제작과 관련된 용어와 개념 137
1) 용어의 전개 _ 137
2) 분류의 문제 _ 141
10. 현재 북한의 구석기시대의 주요 내용 144
11. 북한의 구석기시대를 읽는다는 의미 149
03 인류 ㆍ 153
1. 다윈을 사랑하는 북한, 북한의 인류 진화 그 스토리 155
2. 용어의 유래 158
3. 인류 진화의 학문적 장르 161
4. 〈남방원숭이〉, 〈능인〉, 〈원인〉, 〈고인〉, 〈신인〉의 정의 168
1) 〈남방원숭이〉는 종(species), 아족(subtribe) 아니면 속(genus)? _ 169
2) 시작으로 보기엔 아쉬운 〈능인〉 _ 176
3) 〈원인〉, 그 무한한 의미 _ 181
4) 脫네안데르탈인으로서 〈고인〉 _ 189
5) 면면히 이어지는 〈신인〉 _ 203
5. 북한만의 고유한 인류진화 212
04 인종 ㆍ 215
1. 순수한 이어짐의 중간자, 인종 217
2. 남과 북이 서로 다르게 쓰는 단어, 인종 219
3. 인종의 이미지 222
4. 집단을 분류하는 단위들 225
1) 인류 _ 227
2) 씨족 _ 228
3) 종족 _ 230
4) 족(겨레) _ 231
5) 민족 _ 232
5. 인종, 그 개념화 과정 235
1) 인종의 의미와 확장 _ 235
2) 조선옛류형사람 _ 240
6. 특별한 인종, 순수인종 245
1) 특별함은 바로 순수함 _ 245
2) 순수함의 정당화, 체질인류학 _ 250
3) 순수함의 전개, 사회진화론 _ 254
7. 이어짐, 그리고 인종 259
글을 마치며 ㆍ 265
참고문헌 / 273
저자 소개 / 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