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제도문화의 악의적 취사모방 > 사회학

본문 바로가기
쇼핑몰 검색
  • 회원가입
    2000

    로그인

    다양한 서비스와 이벤트 혜택을 누리실 수 있습니다.

    아이디 비밀번호
검찰 제도문화의 악의적 취사모방 > 사회학

검찰 제도문화의 악의적 취사모방 요약정보 및 구매

기본설명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제조사 지식과감성
원산지 국내산
브랜드 지식과감성
시중가격 23,000원
판매가격 23,000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최소구매수량 1 개
최대구매수량 999 개

선택된 옵션

  • 검찰 제도문화의 악의적 취사모방
    +0원
위시리스트

관련상품

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

  • 상품정보
  • 사용후기 0
  • 상품문의 0
  • 배송정보
  • 교환정보
  • 상품정보

    상품 기본설명

    기본설명

    상품 상세설명

    검찰 제도문화의 악의적 취사모방

    9791139217254.jpg

    도서명:검찰 제도문화의 악의적 취사모방
    저자/출판사:최영주/지식과감성
    쪽수:490쪽
    출판일:2024-03-30
    ISBN:9791139217254

    목차
    서문
    알고 가기
    들어가는 글
    1. 한·일 관보(官報) 검색 사이트
    2. 일왕 연호와 형사소송법 표기
    3. 관보 발췌 법령자료 소개 방식(가: 표지 및 공포, 나: 조항)

    제1부
    한국 검찰 무소불위의 요람과 변천

    제1편
    검찰 지배의 원칙

    제1장
    검사(檢事)와 검찰청(檢察廳)

    들어가는 글
    1. 검사(檢事)
    가. 일제 사법직무정제(司法職務定制)
    나. 검사의 직무
    2. ‘검사국(檢事局)’에서 ‘검찰청(檢察廳)’까지
    가. 검사국(檢事局)
    1) 1890년 일제 「재판소구성법」
    2) 1895년 대한제국 「재판소구성법」
    3) 1909년 10월 일제 「통감부재판소령」
    4) 1909년 11월 대한제국 「통감부재판소령」
    5) 1910년 일제 「통감부재판소령 중 개정」
    나. 검찰청(檢察廳)
    1) 1947년 일본 「검찰청법」
    2) 1949년 대한민국 「검찰청법」

    제2장
    형사사법 노예 문서

    들어가는 글
    1. 일제 ‘상명하복’ 제도
    가. 1890년, 일제 「재판소구성법」 제84조
    나. 1912년 「조선형사령」 제5조 제2항
    2. 일본, 1947년 ‘상명하복’ 제도 폐지
    가. 1947년 「재판소법」
    나. 1947년 「검찰청법」
    3. 대한민국, 1949년 ‘상명하복’ 제도 계승
    가. 1949년 「검찰청법」 제35조
    나. 1986년 「검찰청법개정법률」 제53조
    4. 대한민국, 2011년 ‘상명하복’ 제도 폐지

    제3장
    검사의 수사권 독점 제도

    들어가는 글
    1. 일제, 검사의 수사권 독점 제도
    가. 1880년 「치죄법」 제33~34조, 제92조
    나. 1890년 「명치 형사소송법」 제46조
    다. 1922년 「대정 형사소송법」 제246조
    2. 일본, 1948년 수사권 독점 제도 폐지
    3. 대한민국, 1954년 일제의 수사권 독점 제도 계승
    4. 대한민국, 2020년 수사권 독점 제도 폐지

    제2편
    검사의 형사사법 아바타

    제1장
    경찰의 검사에 대한 수사사무보고 제도

    들어가는 글
    1. 일제, 경찰의 수사보고 의무 제도
    가. 1896년 「사법경찰관집무수속」 제1조
    나. 1912년 「사법경찰관집무규정」 제9조
    다. 1923년 「사법경찰관집무규정」 제6조
    라. 1925년 「사법경찰직무규범」 제31조
    2. 일본, 1947년 수사사무보고 제도 폐지
    가. 1947년 「경찰법」 제정·공포
    나. 1948년 「경찰관등직무집행법」 제정·공포
    3. 대한민국, 일제 수사사무보고 제도 계승
    가. 1959년 「사법경찰관리 집무규정」 제11조
    나. 1975년 「사법경찰관리 집무규정개정령」 제11조
    4. 대한민국, 수사사무보고 의무 제도 폐지
    가. 2011년 「사법경찰관리 집무규칙 폐지령」
    나. 2011년 「검사의 사법경찰관리에 대한 수사지휘 및 사법경찰관리의 수사준칙에 관한 규정」 제74조
    다. 2020년 「검사와 사법경찰관의 상호협력과 일반적 수사준칙에 관한 규정」

    제2장
    검사의 경찰 지배적 수사지휘권 제도

    들어가는 글
    1. 일제, 검사의 지배적 수사지휘권 제도
    가. 1880년 「치죄법」 제60조
    나. 1890년 「명치 형사소송법」 제47조
    다. 1912년 「조선형사령」 제4조, 제5조 제1항
    라. 1922년 「대정 형사소송법」 제247조, 제248조
    2. 일본, 1948년 검사의 지배적 수사지휘권 제도 폐지
    3. 대한민국, 1954년 검사의 지배적 수사지휘권 제도 계승
    4. 대한민국, 2020년 검사의 지배적 수사지휘권 제도 폐지

    제3장
    검사실 검사의 아바타 제도

    들어가는 글
    1. 참여수사관으로서 저자가 절감한 문제점
    2. 일제, 검사실 참여 제도
    가. 1880년 「치죄법」 제151조
    나. 1890년 「명치 형사소송법」 제95조
    다. 1922년 「대정 형사소송법」 139조
    3. 일본, 1948년 검사실 참여 제도 폐지
    4. 대한민국, 1954년 일제 검사실 참여 제도 계승

    제4장
    영장청구권 독점에 깃든 검사의 아바타

    들어가는 글
    1. 일제, 강제수사권 행사 대역 제도
    가. 1912년 「조선형사령」 제12조
    나. 「명치 형사소송법」 경찰 강제수사권 조항
    다. 1922년 「조선형사령 중 개정의 건」 제12조
    2. 일본, 경찰의 영장청구권 인정 제도
    가. 1946년 「日本國憲法」 제33조, 제35조
    나. 1948년 「소화 형사소송법」 제199조, 제218조
    3. 대한민국, 경찰의 영장청구권 일시 인정
    가. 1948년 「대한민국헌법」 제9조
    나. 1954년 「형사소송법」 제201조, 제215조
    4. 대한민국, 1961년 검사의 영장청구권 독점 제도
    가. 1961년 「형사소송법 중 개정법률」 제201조, 제215조
    나. 1962년 「헌법 개정의 건」 제10조
    다. 1987년 「헌법개정안」 제12조 제3항
    라. 영장청구권 독점 제도의 폐지 필요성

    제5장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 차별 제도

    들어가는 글
    1. 일제, 조서의 증거능력 포괄 인정
    가. 1880년 「치죄법」 제146조 제2항
    나. 1890년 「명치 형사소송법」 제90조
    다. 1922년 「대정 형사소송법」 제343조 제1항
    2. 일본, 조서의 증거능력 엄격 제한
    가. 1948년 「소화 형사소송법」 제320조
    나. 전문법칙 예외 조항(제321조 내지 제328조 번역문)
    3. 대한민국,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 차별 제도
    가. 1954년 「형사소송법」 제312조
    나. 1961년 「형사소송법 개정법률」 제312조
    4. 대한민국, 검경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 차별 폐지

    제2부
    위안(慰安) 그리고 재갈

    제1장
    전관예우

    들어가는 글
    1. 일제, 「전관예우」 제도
    가. 1889년 황실 내규 「궁정녹사(宮廷錄事)」
    나. 1926년 「전관예우」 법제화
    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전관예우 보도
    2. 일본, 1947년 전관예우 제도 폐지
    가. 1947년 「황실령 및 부속법령 폐기의 건」
    나. 원조국 일본에 없는 우리의 「전관예우」
    3. 대한민국, 일제 「전관예우」의 관습법적 계승과 창궐

    제2장
    일제 특혜 제도 계승 집행관 임명제도

    들어가는 글
    1. 일제, 「집달리」 제도
    가. 1890년 「집달리 등용규칙」 제1조, 제11조
    나. 1912년 「조선민사령」 제4조, 제6조
    2. 일본, 일제 본토의 임명제도 장점 계승
    가. 1947년 「재판소법」 제62조
    나. 1966년 「집행관법」 공포
    다. 「재판소법」 제62조
    라. 집행관 채용 선고 시험 안내
    3. 대한민국, 식민지 조선의 특혜 제도 계승
    가. 1961년 「집달리법」 제3조
    나. 1981년 「집달리법중 개정법률」
    다. 1995년 「집달관법 개정 법률」 제3조
    라. 인터넷 기사

    제3부
    일제 검찰 수괴(首魁)의 훈시와 검찰 원리주의

    들어가는 글

    제1장
    식민지 조선을 호령한 검찰 수괴(首魁)

    1. 『고등법원검사장훈시통첩유찬(高等法院檢事長訓示通牒類纂)』
    가. 서적의 존재
    나. 1942년 발간(제3권) 서적 표지 및 범례
    2. 고등법원검사장
    가. 어떤 벼슬인가?
    나. 고등법원검사장 5명
    3. 中村竹藏(나카무라 다케조)의 행적
    가. 일제 본토에서의 행적
    나. 식민지 조선에서의 행적(출처: 한일 관보 자료 등)
    다. 식민지 조선 진출 이후

    제2장
    훈시(訓示)의 역사적 배경과 검찰 원리주의

    1. 훈시의 역사적 배경
    2. 일제 경찰의 고문과 검찰의 책임
    3. 훈시 내용에서 본 검찰 원리주의

    제3장
    경찰부장에 대한 고등법원검사장 훈시 원문 및 번역

    1. 경찰부장에 대한 中村 고등법원검사장 훈시(1921년 4월 29일)
    2. 헌병대장에 대한 中村 고등법원검사장 훈시(1921년 5월 27일)
    3. 경찰부장에 대한 中村 고등법원검사장 훈시(1922년 5월 12일)
    4. 경찰부장에 대한 中村 고등법원검사장 훈시(1923년 5월 23일)
    5. 경찰부장에 대한 中村 고등법원검사장 훈시(1924년 6월)
    6. 경찰부장에 대한 中村 고등법원검사장 훈시(1925년 5월)
    7. 경찰부장에 대한 中村 고등법원검사장 훈시(1926년 7월)
    8. 경찰부장에 대한 中村 고등법원검사장 훈시(1927년 5월)
    9. 경찰부장에 대한 中村 고등법원검사장 훈시(1928년 5월)
    10. 경찰부장에 대한 中村 고등법원검사장 훈시(1929년 5월)
    11. 경찰부장에 대한 松寺 고등법원검사장 훈시(1931년 8월)
    12. 경찰부장에 대한 境 고등법원검사장 훈시(1932년 7월)
    13. 경찰부장에 대한 境 고등법원검사장 훈시(1933년 4월)
    14. 경찰부장에 대한 境 고등법원검사장 훈시(1934년 4월)
    15. 경찰부장에 대한 笠井 고등법원검사장 훈시(1935년 4월)
    16. 경찰부장에 대한 笠井 고등법원검사장 훈시(1936년 6월)
    17. 경찰부장에 대한 笠井 고등법원검사장 훈시(1937년 5월)
    18. 경찰부장에 대한 增永 고등법원검사장 훈시(1938년 5월)
    19. 경찰부장에 대한 增永 고등법원검사장 훈시(1939년 4월)
    20. 경찰부장에 대한 增永 고등법원검사장 훈시(1940년 5월)
    21. 경찰부장에 대한 增永 고등법원검사장 훈시(1941년 5월 5일)

    맺음말(진정한 광복을 위하여)
    delivery.jpg
  • 사용후기

    등록된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 배송정보

    배송정보

    배송업체 : 한진택배 (1588-0011)
     배송비
     2,500원 (2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배송/일부상품제외) 군부대 및 도서산간 지역은 추가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배송기간
     : 평일 오전 7시 이전 주문 시 당일 발송 (2~3일 소요) : 단, 공휴일, 연휴, 천재지변 등으로 인해 발송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배송추적
     : 당일 발송건에 한해 익일 오전 9시 이후 확인 가능합니다.


  • 교환정보

    교환/반품

     ◆반품/교환을 원하는 경우 반드시 고객센터로 연락 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반품/교환은 상품 수령일로 부터 7일 이내에만 가능합니다. 단, 상품이 훼손되지 않았거나, 속 비닐이 있는 경우 듣지 않았을    때 가능합니다.
     •고객님의 변심 또는 잘못 주문하신 경우에는 왕복 배송비는 고객님의 부담입니다.
     ◆오배송, 파본, 불량 상품에 대해서는 고객센터로 연락주시면 상담 후 교환해 드립니다.
     ◆오배송, 파본, 불량상품의 배송비는 환불처에서 부담합니다.
     교환/반품
     ◆환불은 상품이 환불에 도착 시 처리됩니다. (카드 취소는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장바구니

오늘본상품

오늘 본 상품

  • 검찰 제도문화의 악의적 취사모방
    검찰 제도문화의 악 23,000

위시리스트

  • 보관 내역이 없습니다.
회사명 경기책방 주소 경기도 파주시 조리읍 장미꽃길 157-161
사업자 등록번호 6829601269 대표 오주봉 전화 02-356-5779 팩스 02-356-5779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21-경기파주-1335호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오주봉

Copyright © 2001-2013 경기책방.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