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전된 시간

도서명:장전된 시간
저자/출판사:조연정/한국문학사
쪽수:520쪽
출판일:2024-04-07
ISBN:9791159056499
목차
책머리에
제1부 ‘문학주의’시대, 1990년대의 비평장
제1장_ 『문학동네』의 1990년대와 ‘386세대’의 한국문학
제2장_ ‘문학주의’의 자기동일성-1990년대 『문학동네』의 비평 담론
제3장_ ‘문학주의’시대의 포스트모더니즘-1990년대 비평이 포스트모더니즘과 접속하는 방식
제4장_ 기형도와 1990년대-‘환멸’이라는 형식과 ‘선언’을 대신한 ‘잠언’
제2부 계간지시대, 1960~1970년대의 비평장
제1장_ 세속화하는 지성-『문학과지성』의 지성 담론 재고
제2장_ 김현 비평에서 ‘이론적 실천’의 의미와 비평의 역할
제3장_ 주변부문학의 (불)가능성 혹은 문학 대중화의 한계-백낙청의 ‘시민/민족/민중문학론’ 재고
제3부 시와 정치 혹은 김수영과 김춘수
제1장_ 번역체험이 김수영 시론에 미친 영향-침묵을 번역하는 시작 태도와 관련하여
제2장_ 시민으로서 말할 자유, 시인으로서 말하지 않을 자유-김수영의 탈민족주의적 자유
제3장_ 추상 충동을 실현하는 시적 실험-김춘수의 무의미시론에 나타난 언어의 부자유와 시의 존재론
제4장_ ‘반(反)재현’의 불가능성과 무의미시론의 전략
제4부 한국문학의 풍경들
제1장_ ‘독서 불가능성’에 대한 실험으로서의 「지도의 암실」
제2장_ 평양의 경향-김동인과 최명익의 소설을 중심으로
제3장_ 1920년대의 시조부흥론 재고再考-‘조선’문학의 표상과 근대‘문학’의 실천 사이에서
참고문헌
초출일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