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과학과 인공지능

도서명:데이터과학과 인공지능
저자/출판사:박성현 , 박태성 , 이영조/자유아카데미
쪽수:316쪽
출판일:2024-08-20
ISBN:9791158086275
목차
1부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1장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시대의 도래
1.1 4차 산업혁명이란
1.2 4차 산업혁명이 주는 충격
1.3 데이터 마이닝
1.4 빅데이터 시대의 도래와 정보통계학의 발전
1.5 우리나라 빅데이터 도입률과 시장 규모
1.6 인공지능
1.7 인공지능 시대에 대비하는 우리의 현실과 과제
2장 인공지능의 발전과 미래
2.1 컴퓨터의 발전
2.2 인공지능의 발전
2.3 챗GPT
2.4 무한히 발전하는 인공지능의 영역 확장
2.5 인공지능 기계가 인간을 초월하는 특이점이 올 것인가?
2.6 인공지능의 발전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인가?
3장 빅데이터 시대
3.1 빅데이터의 크기와 본질
3.2 눈부신 비즈니스 플랫폼의 발전
3.3 새로운 산업을 창출하는 빅데이터
3.4 우리 생활 속에 파고드는 빅데이터
3.5 빅데이터 강국이 되려면
2부 통계학과 생물통계학의 발전
4장 통계학의 태동과 발전
4.1 초기 통계학은 어떻게 생겨났나?
4.2 죽음을 생명으로 바꾼 나이팅게일의 데이터 분석
4.3 현대통계학의 태동과 발전
4.4 국내 통계학의 도입과 현황
4.5 컴퓨터적 사고와 통계적 사고
4.6 현대통계학의 영역 확장과 데이터 기술의 출현
5장 생물통계학의 발전과 역할
5.1 생물통계학이란?
5.2 임상시험, 생물통계학과 AI
5.3 유전학과 생물통계학, 그리고 빅데이터
5.4 유전체 정보의 빅데이터 분석 사례
5.5 정밀의학과 AI
6장 통계의 매력과 함정
6.1 여론조사는 국민의 마음을 얼마나 정확히 읽는가?
6.2 통계적 검정과 추정의 비밀
6.3 통계로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매력
6.4 성경 속에 나오는 통계 숫자와 인공지능의 비밀
6.5 정치에 사용되는 통계의 왜곡과 오용
6.6 일상생활에서 발견되는 통계의 함정과 부작용
3부 데이터 과학의 발전과 데이터로 예측하는 미래 사회
7장 데이터 과학
7.1 데이터 과학이란?
7.2 데이터 과학 교육
7.3 데이터 과학자와 통계학자는 얼마나 인기가 있나?
7.4 데이터 마인드가 중요하다
7.5 통계학과 데이터 과학의 미래
8장 인공지능 시대를 위한 미래형 창의적 인재
8.1 우리나라의 글로벌 교육 경쟁력은?
8.2 미래형 인재의 주요 능력
8.3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지 못하는 교육 정책
8.4 미래형 교육의 핵심적 사고와 추진 방****
8.5 교육 재창조를 위한 교육개혁의 추진 방향
9장 과거와 현재 데이터로부터 미래를 예측하기
9.1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모습과 미래 인구 추이
9.2 2030년의 기대수명, 한국인이 가장 오래 살 수 있을까?
9.3 데이터는 ‘21세기 석유’인가?
9.4 데이터 경제 시대는 어떤 모습일까?
9.5 치매 환자 수 급증 추세, 어르신 10명 중 1명
9.6 자살률 세계 1위, 오명 벗을 수 있을까?
10장 인공지능과 데이터 기반 과학기술로 보는 미래 사회
10.1 우리나라는 노벨과학상을 언제쯤 받을 수 있을까?
10.2 인공지능 기계가 인간을 초월하는 시대가 올 것인가?
10.3 인공지능 글로벌 패권 경쟁의 향방
10.4 데이터로 본 미국과 중국의 패권 전쟁
10.5 과학기술과 역사와의 만남이 주는 교훈
10.6 대한민국은 세계 선도 국가로 부상할 수 있을까?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