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정치와 언택트 문학

도서명:정동정치와 언택트 문학
저자/출판사:나병철/문예출판사
쪽수:560쪽
출판일:2023-06-30
ISBN:9788931023176
목차
머리말
제1장 정동과 정동정치
1. 정동이란 무엇인가
2. ****스와 혐오 - 능동과 수동
3. 편재하는 젤리와 정동정치
4. 시각적 차별과 정동의 식민화 - 미시권력과 정동권력
5. 캐슬 사회에 대한 반격 - 총체성을 대신하는 내재원인과 대상 a
6. 추방된 타자의 회생과 언택트 윤리 - 《용균이를 만났다》와 ‘소낙눈 사진’
제2장 평등과 정동정치
1. 평등의 이름 - 윤리의 정치화
2. 고착성과 유동성 - 피케티를 넘어선 존재론적 정치
3. 정동의 물결과 정동정치 - 우영우의 고래
4. 자연과 자유의 조화, 대상 a에 대한 열망으로서의 평등
5. 부재와 존재, 위험천만한 언택트 사랑 - 시와 ‘동백꽃’과 ‘사랑의 불시착’
6. 평등과 사랑, 반세습의 은유 - 타자의 회생과 《거짓말의 거짓말》
7. 수동적 정동을 유포하는 자본주의와 정동정치 - 피케티를 넘어서는 타자의 서사
8. 무증상의 증상과 언택트 문학 - 제2의 증상에 대응하는 새로운 윤리
제3장 역사의 미로와 여성 타자의 정동
1. 역사의 미로와 추방된 타자
2. 일신상의 진리와 여성 시점 소설 - 김남천의 소설들
3. 여성 타자의 육체적 절박성 - 이중주의 대화
4. 사회와 심리의 분열과 윤리적 정동 - 《낭비》
5. 여성 타자의 대화성과 능동적 정동의 소망 - 〈경영〉, 〈맥〉
6. 역사의 미로와 여성적 정동의 감염력
제4장 변혁운동의 황금시대와 비천한 타자의 정동
1. 변혁의 시대와 타자의 서사
2. 왜 계급적 자각 대신 능동적 정동인가 - 《윤리21》을 넘어서
3. 타자와 내재원인 - 실천의 윤리
4. 타자와 앱젝트, 대상 a
5. 이데올로기 시대의 타자의 서사 - 조선작의 〈성벽〉, 〈영자의 전성시대〉
6. 선물의 은유와 비천한 타자의 정동 - 황석영의 〈몰개월의 새〉
제5장 변두리의 정동과 지식인의 위치
1. 민중 소설에서 변두리 소설로 - 떨어짐과 다가섬
2. 변두리 소설과 존재론적 정동정치의 출발 - 재현 불가능한 서발턴의 재현
3. 가슴의 반복운동을 통한 정동적 감염 - 양귀자의 〈원미동 시인〉, 〈비 오는 날이면 가리봉동에 가야 한다〉
4. 떨어진 채 다가서는 더 큰 세계 - 〈한계령〉
5. 폭력과 돈벌이의 세계에 저항하는 ‘인간의 근본’ - 김소진의 〈개흘레꾼〉
6. 출고될 수 없는 서발턴의 순수 기억 - 〈그리운 동방〉, 〈비운의 육손이 형〉
7. 별과 똥의 카니발 - 〈별을 세는 남자들〉
제6장 감성적 불평등성과 침묵의 권력에 대한 반격
1. 헤게모니에서 정동정치로 - 타자에게 다가섬의 문제
2. 정동의 영역에서의 최초의 싸움 - 침묵의 권력과의 전쟁
3. 미시권력의 젤리와의 싸움 - 정세랑의 《보건교사 안은영》
4. 침묵을 강요하는 감성적 차별에 대한 반란 - 정진영의 《침묵주의보》
제7장 존재의 오류와 싸우는 언택트 미학
1. 존재의 오류와 제2의 증상 - 은유적 대응과 언택트 문학
2. 젤리의 세계에서 금빛 전류를 발생시키는 방법 - 얼굴을 넘어선 정동
3. 감성적 차별에 저항하는 레몬의 정동 - 권여선의 《레몬》
4. 존재의 오류를 견디는 아름다운 포옹 - 한강의 〈작별〉
5. 감성의 오류에 저항하는 새로운 연대 - 이재웅의 〈안내자〉
제8장 캐슬 사회와 비장소의 반격
1. 변두리에서 비장소로
2. 과잉 네트워크 사회와 비장소의 은유적 반격
3. ‘외진 곳’에서의 은유적 연대의 생성 - 장은진의 〈외진 곳〉
4. 이질적 타자들의 고통의 공명 - 이재웅의 〈월드 피플〉
5. 재난 시대의 비장소와 정동적 반격 - 장은진의 〈빈집을 두드리는 이유〉
6. 가슴을 두드리는 은유적 리얼리즘 - 김탁환의 〈할〉
7. 비장소의 시대와 비대면의 윤리 - 제3의 비장소와 ‘길 없는 길’로서의 은유적 윤리
제9장 비장소의 시대에서 정동적 시간의 회생으로
1. 미시권력과 정동권력의 결합 - 《사이렌》의 경고
2. 비장소의 시대와 좀비의 서사 - 《지금 우리 학교는》
3. 타자와 재회하는 순수 기억의 드라마 - 한강의 《작별하지 않는다》
4. 비장소와 비대면을 넘어서 - 김초엽의 〈관내분실〉
5. 평등을 실천하는 정동정치 - 문화의 정치화와 내재원인의 네트워크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