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시민교육

도서명:다문화시민교육
저자/출판사:이해주 , 이로미/에피스테메
쪽수:412쪽
출판일:2024-01-05
ISBN:9788920049033
목차
1장 다문화사회의 등장과 다문화시민교육_11
1. 서론_12
2. 다문화사회의 특징과 현상_15
3. 다문화사회의 의미와 핵심 가치_18
4. 다문화시민교육의 개념과 필요성_25
5. 맺는말_35
2장 시민성과 시민교육_41
1. 서론_42
2. 시민성과 시민교육_46
3. 현 시민교육의 문제점과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_53
4. 평생교육 차원에서의 시민교육 재구조화 전략_55
5. 맺는말_61
3장 세계시민교육과 인권교육_67
1. 서론_68
2. 인권교육의 의미와 내용_72
3. 시민교육의 패러다임과 세계시민성_78
4. 세계시민교육의 내용과 방법_81
5. 맺는말_88
4장 한국의 다문화 현상과 특징_93
1. 서론: 누가 한국인인가?_94
2. ‘다문화사회’로의 변화_95
3. 다문화 시민사회의 과제_115
4. 맺는말: ‘함께 사는 사회’를 향한 시민의 과제_120
5장 다문화사회의 주요 특징과 시민교육: 미국과 캐나다_127
1. 서론: 전통 이민국가 미국과 캐나다의 ‘함께 살기’_128
2. 다문화사회로서의 미국사회_129
3. 다문화사회로서의 캐나다사회_141
4. 맺는말: 모두가 동등한 권리를 누리는 사회를 향한 과제 154
6장 다문화사회의 주요 특징과 시민교육: 영국과 프랑스_159
1. 서론: 선발 이민국가 영국과 프랑스의 ‘함께 살기’_160
2. 다문화사회로서의 영국사회_161
3. 다문화사회로서의 프랑스사회_174
4. 맺는말: ‘다름’으로 인한 갈등 극복의 과제_187
7장 다문화사회의 주요 특징과 시민교육: 일본과 대만_193
1. 서론: 후발 이민국가 일본과 대만의 ‘함께 살기’_194
2. 다문화사회로서의 일본사회_195
3. 다문화사회로서의 대만사회_206
4. 맺는말: ‘서로 이웃 되기’의 선주민과 이주민의 과제_219
8장 가정에서의 다문화시민교육_225
1. 서론: 가정 다문화시민교육의 의미와 중요성_226
2. 가정에서 시작하는 다문화시민교육_228
3. 자녀를 위한 부모의 실천_235
4. 이주배경 가정의 특별한 노력_242
5. 맺는말: 가정에서 시작되는 다문화시민교육의 과제_247
9장 학교에서의 다문화시민교육_253
1. 서론: 학교 다문화시민교육의 중요성_254
2. 학교 다문화시민교육의 필요성과 목표_258
4. 교사의 중요성과 전문성_270
5. 맺는말: 학교 다문화시민교육을 위한 과제_274
10장 지역사회에서의 다문화시민교육_279
1. 서론: 지역사회 중심 다문화시민교육의 의미와 중요성_280
2. 지역사회 다문화교육의 실태와 문제점_283
3. 지역사회 중심 다문화교육의 실천방****모색_288
4. 지역사회 중심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예시_292
5. 맺는말: 다문화교육의 지역화를 통한 지역공동체 형성_301
11장 인종과 차별_307
1. 서론: 우리 안의 인종주의_308
2. 미국과 캐나다의 인종주의_310
3. 우리 사회의 인종주의_316
4. 인종주의에 대항하는 다문화시민교육의 해법_320
5. 맺음말: 공존을 위한 숙의(熟議)_327
12장 여성과 차별_331
1. 서론: 여성이라는 렌즈를 통해 본 차별_332
2. 여성과 교육_335
3. 여성주의 교육의 의미와 필요성_340
4. 여성주의 관점에서 본 시민성 논의_344
5. 맺는말: 성평등적 관점의 교육방****모색_350
13장 장애와 차별_355
1. 서론: 장애, 우리 모두의 문제_356
2. 장애의 이해_358
3. 장애인의 인권과 시민권_365
4. 장애 이해를 둘러싼 시민교육_373
5. 맺음말: 역지사지를 통한 시민 되기_380
14장 글로벌 사회를 위한 다문화시민교육의 방향과 과제_385
1. 서론: 이제 우리는?_386
2. 다문화사회의 현실과 문제_389
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교육(ESD)과 인권_395
4. 다문화시민교육의 방향과 과제_402
5. 맺는말: 다문화시민교육을 위한 평생교육적 노력_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