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장애 학생의 이해와 교육

도서명:중도장애 학생의 이해와 교육
저자/출판사:Diane M. Browder , Fred Spoon/교육과학사
쪽수:624쪽
출판일:2024-05-30
ISBN:9788925418841
목차
■역자 서문 _ 3
■저자 서문 _ 5
제1부 교육적 기초
제1장 중도장애 학생 교육 ……… 17
1. 중등도 및 중도장애 학생은 누구인가? _ 19
2. 양질의 교육 프로그램 특성 _ 23
3. 중도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법적 요구사항 _ 36
4. 요약 _ 40
■마무리 활동 _ 41
제2장 다문화 관점: 문화, 가족 관계, 교수 ……… 43
1. 다문화 관점 수용하기 _ 44
2. 다문화 가족과 긍정적 관계를 맺기 위한 요소: 실제적 접근 _ 48
3. 중등도 및 중도장애 학생의 문화적 및 교육적 요구 평가하기 _ 58
4. 다문화 가족 중등도 및 중도장애 학생을 위한 문화적 감응체계 _ 60
5. 요약 _ 69
■마무리 활동 _ 70
제3장 의사소통 역량 강화 ……… 73
1. 의사소통 개요 _ 74
2. 의사소통 체계 _ 78
3. 의사소통 내용과 기능 증진하기 _ 95
4. 요약 _ 99
■마무리 활동 _ 100
제4장 성취기준 기반 개별화교육 프로그램 평가 ……… 103
1. 개별화교육계획 수립을 위해 연방정부 및 주 규정 따르기 _ 105
2. 대안평가 _ 120
3. 성취기준 기반 개별화교육계획을 위한 지침 _ 122
4. 개별화교육계획 수립 계획하기 _ 124
5. 요약 _ 144
■마무리 활동 _ 145
제5장 학생 진보 점검 및 증진: 자료의 적극적 활용 ……… 147
1. 행동의 변화로서의 학습 _ 148
2. 자료 수집 방법 _ 150
3. 요약 _ 172
■마무리 활동 _ 172
제6장 효과적인 교수 실행: 증거기반실제 ……… 173
1. 증거기반실제 판별하기 _ 174
2. 체계적 교수 _ 178
3. 전반적인 교수지원 계획하기 _ 201
4. 사례연구 _ 206
5. 요약 _ 207
■마무리 활동 _ 208
제2부 학업 교과
제7장 초기문해와 읽기 기술 개발 ……… 211
1. 문해란 무엇인가? _ 212
2. 읽기의 과학 _ 215
3. 문해의 개념 모델 _ 217
4. 문학에 대한 접근 _ 219
5. 이야기 및 문학 기반 수업 _ 224
6. 읽기 위한 학습 _ 230
7. 문해력을 위한 자료 _ 232
■마무리 활동 _ 233
제8장 국어과 교수 ……… 235
1. 문해력의 개념 모델 _ 237
2. Bloom의 교육목표 분류체계-개정판 _ 238
3. 이해력 교수 _ 243
4. 국어과 앵커 성취기준 _ 254
5. 이야기 구성 요소 및 의미지도 _ 256
6. 이해력 향상을 위한 수업계획 단계 _ 259
7. 지문 이해를 위한 수업실행 단계 _ 265
8. 요약 _ 275
■마무리 활동 _ 276
제9장 작문 기술 개발 ……… 277
1. 쓰기의 행동주의적 관점 _ 280
2. 학생의 작문 현행수준 평가하기 _ 281
3. 공학 지원 고려하기 _ 284
4. 학생 진보 평가하기 _ 285
5. 동기 _ 287
6. 새로운 글쓰기에 대한 고려사항 _ 289
7. 요약 _ 301
■마무리 활동 _ 302
제10장 초기 수학 및 문제해결 증진 ……… 303
1. 초기 수학 기술 _ 304
2. 문제해결 _ 312
3. 초기 수학 및 문제해결 교수를 위한 지원 _ 332
4. 사례연구 _ 332
5. 요약 _ 333
■마무리 활동 _ 334
제11장 수학과 교수 ……… 337
1. 수학 성취기준 _ 339
2. 중도장애 학생에 대한 성취기준과 수학 연구 _ 343
3. 수학교수법 _ 344
4. 구체적 내용 교수하기 _ 354
5. 수학교수를 위한 자료 _ 365
■마무리 활동 _ 366
제12장 과학과 교수 ……… 369
1. 중등도 및 중도장애 학생이 과학 및 공학 실제에 참여하도록 가르치는 이유가 무엇인가? _ 371
2. 실제로서의 과학 _ 373
3. 과학교수 방법 _ 380
4. 사례 연구 _ 394
■마무리 활동 _ 395
제13장 사회과 교수 ……… 397
1. 사회과 교수의 개념적 기초 _ 400
2. 중등도 및 중도장애 학생을 위한 사회과 교수 _ 403
3. 사례 연구 _ 424
4. 요약 _ 425
■마무리 활동 _ 426
■그림 이미지 출처 _ 427
제3부 관련 기술 및 지원
제14장 사회성 기술 향상 및 긍정적 행동지원 ……… 431
1. 사회적 관계 형성하기 _ 432
2. 사회성 기술 교수 _ 436
3. 긍정적 행동지원 _ 442
4. 사례 연구 _ 454
5. 요약 _ 456
■마무리 활동 _ 457
제15장 감각, 신체, 건강 관리 요구 지원 ……… 459
1. 지체장애 관리 _ 460
2. 요약 _ 485
■마무리 활동 _ 487
제16장 자기관리 및 일상생활 기술 교수 ……… 489
1. 가족과 함께 자기관리 및 일상생활 기술 교수 계획하기 _ 491
2. 일상생활 안에서 학생의 자기결정 및 자기관리 촉진하기 _ 493
3. 체계적 교수를 활용하여 개인 및 일상생활 기술 교수하기 _ 497
4. 필요에 따라 부분참여 및 비간섭 지원 계획하기 _ 501
5. 가정 및 개인생활 교육과정의 예시 _ 502
6. 사례 연구 _ 522
7. 요약 _ 523
■ 마무리 활동 _ 524
제17장 성인기 삶을 위한 계획과 교수 ……… 525
1. 전환계획: 미래로 가는 길 _ 527
2. 성인기 삶으로의 전환을 지원하기 위한 계획 및 교육 _ 535
■ 마무리 활동 _ 555
■참고문헌 _ 557
■찾아보기 _ 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