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론

도서명:평생교육론
저자/출판사:김신일 , 강대중 , 최돈민 , 양흥권 , 김현수 ,/교육과학사
쪽수:480쪽
출판일:2024-09-10
ISBN:9788925419800
목차
머리말 / 3
제 1 장 평생학습시대 / 11
1. 교육제도의 확장과 유연화 11
2. 문명단계별 학습관리 16
3. 교육과 학습 26
4. 학습활동 관리 30
5. 평생학습론 35
제 2 장 평생교육의 발전 과정 / 43
1. 사회교육에서 평생교육으로 44
2. 성인교육에서 평생교육으로 51
3. 담론의 확장과 평생교육 67
제 3 장 성인학습과 평생학습 / 75
1. 동물의 학습과 인간의 학습 75
2. 페다고지에서 안드라고지로 79
3. 성인학습의 이론적 지형 86
4. 자생적 평생학습 이론을 향하여 99
제 4 장 평생교육의 법령, 행ㆍ재정과 시설 / 105
1. 평생교육제도 유형 106
2. 평생교육 관련 법률 109
3. 평생교육 행정체제 110
4. 평생교육 추진기구 121
5. 평생교육시설과 기관 129
6. 평생교육 재정지원 제도 137
7. 쟁점과 향후 과제 143
제 5 장 평생교육사와 평생교육 현장 전문가 / 145
1. 평생교육 현장 전문가의 다양성 145
2. 평생교육사 자격제도 152
3. 평생교육 현장 전문가의 실태 168
4. 평생교육 현장 전문가의 발전 과제 172
제 6 장 평생학습 결과 인정과 대학평생교육 / 177
1. 학습결과인정의 논거 178
2. 우리나라의 평생학습 결과 인정제도 187
3. 평생학습 결과 인정을 확장하기 위하여 203
제 7 장 문해교육 / 213
1. 평생학습사회에서 문해교육의 의미 213
2. 문해 개념의 변화 214
3. 비문해 발생 요인 220
4. 문해의 정책 담론 225
5. 문해학습자의 이해 230
6. 문해교육 지원정책 및 제도 235
7. 문해교육의 과제 241
제 8 장 직업진로교육 / 247
1. 직업진로 평생교육의 배경 247
2. 주요 개념과 담론 250
3. 직업진로 평생교육의 역사적 변천 259
4. 직업진로 평생교육의 쟁점 266
5. 향후 과제 270
제 9 장 시민참여교육 / 277
1. 시민참여교육의 배경 277
2. 시민성과 시민참여교육의 의미 280
3. 시민참여교육의 유형 및 현황 283
4. 시민참여교육의 한계와 과제 298
제10장 인문ㆍ예술교육 / 309
1. 평생학습의 토대로서 인문교양교육의 개념 309
2. 평생학습 맥락에서 인문교양교육의 새로운 맥락화 311
3. 평생학습 맥락에서 인문교양교육의 재설정 316
4. 문화예술교육과 평생학습 320
5. 문화예술교육 정책기조의 변화: 시민문화권의 보장과 평생학습 가치의 확대 325
6. 평생학습 맥락에서 문화예술교육의 의미와 과제 333
제11장 장애인 평생교육 / 341
1. 장애인과 평생교육 342
2. 장애인 평생교육의 참여 현황과 정책 355
3. 장애인의 요구 특성과 평생교육 방****360
4. 장애인 평생교육의 발전 과제 370
제12장 이주배경자와 평생교육 / 377
1. 서론: 왜 ‘이주배경자’이고 왜 ‘평생학습’인가? 377
2. 초국가 자본주의와 이주의 다층적 풍경 379
3. 이민사회 평생교육: ‘적응’을 넘어 ‘공존’으로 388
4. 한국 이주배경자 평생교육: 현실진단과 발전 과제 396
제13장 노년기 평생교육 / 409
1. 노인교육의 등장 409
2. 노인학습자의 특징과 학습 참여 412
3. 노인교육 정책과 제도 421
4. 노인교육의 발전 과제 430
제14장 평생학습과 평생교육의 미래 / 439
1. 한국 사회의 현 단계 440
2. 지속 가능한 마을공동체 444
3. 지역에 뿌리내리는 평생학습 451
4. 공동체 강화를 위한 평생학습의 과제 458
5. 평생학습과 평생교육의 미래를 향하여 463
찾아보기 / 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