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 인문학 산책 1

도서명:섬 인문학 산책 1
저자/출판사:홍석준 , 송기태 , 김경옥 , 최성환 , 오창현 ,/민속원
쪽수:272쪽
출판일:2023-05-30
ISBN:9788928518593
목차
머리말
1부. 섬다움에 다가서기
‘섬과 바다’로 세상 뒤집어보기
섬과 섬사람에 대한 인식
섬 사람의 삶과 섬 정체성
섬사람들의 야생성
섬의 자연이 주는 의미
섬에서 자연과 인간의 관계
섬과 바다의 자원은 누구의 것인가?-현명한 이용에 대한 고뇌
살기 좋은 섬의 최소조건
2부. 섬에 새겨진 개척자들의 삶
불로초의 전설, 제주에서 만나다
슬기로운 섬 생활, 해도입보(海島入保)
섬과 육지의 아름다운 동거, ‘교군(僑郡)’
섬과 표류의 역사
문순득의 「표해시말」을 통해 본 섬의 가치
섬과 유배문화콘텐츠
섬사람, 공간을 기획하다
섬은 소나무 배양지였다
‘수국 천국’ 신****도초도
섬 항일농민운동의 횃불, 암태도 소작쟁의
섬과 근대문화유산
완도 군내리에 가리포진 객사가 있다
서남해 민중들의 임진왜란 승전가, ‘강강술래’
3부. 바다의 풍요를 건져올린 황금그물
소금과 섬
영호남을 잇는 물고기, 조기
한국과 일본을 잇는 물고기, 삼치
숭어 이야기-그 많던 숭어는 다 어디로 갔을까?
육지와 낙도를 잇는 해조, ‘미역’
김양식 기술의 우연과 필연
파시에 담긴 침탈 역사
파시(波市)-지명에서 시장으로
근대 한일 해조류 교역과 도서 지방
해산물의 이름과 동아시아 헤게모니
서남해 남자 무레꾼의 소멸과 제주해녀의 고무옷
고령화된 섬, 어업문화 장인이 사라진다
바다 물때지식의 두 체계와 현대적 활용의 혼돈
일반인은 잘 모르는 물때지식의 세계
바다 문명의 변화물결, ‘어렵(漁獵)’에서 ‘어경(漁耕)’으로
뱃기의 분화과정과 풍어(豊漁) 관념 속에 스며든 대어(大漁)
4부. 자연과 문화가 공존하는 지혜의 유산
시ㆍ공간 이어주는 돌(石) 문화
섬의 돌 문화 다양성-독살, 노두, 우실, 그리고 돌담
돌문화의 섬
섬 숲의 문화적 특징과 의미
허모란, 오방색을 품다
탐라국 입춘맞이
섬마을에 얽힌 이팝나무 전설의 의미
유랑연희와 섬민속의 교우, 생일도 발광대놀이
자연자원의 소유권과 지속가능한 이용
바뀌는 농작물 지도
살아있는 유산, 해녀문화
유네스코 세계복합문화유산 가능성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