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신박한 정리

도서명:한국사 신박한 정리
저자/출판사:박영규/김영사
쪽수:640쪽
출판일:2024-08-30
ISBN:9788934934844
목차
들어가며_신선하고 박식한 한국사를 위하여
1부 고조선과 단군신화
1장 고조선의 역사와 기록
1 고조선 사람들이 남긴 발자취
2 고조선이라는 용어는 언제부터 사용했을까?
3 조선이라는 명칭은 어디서 유래한 것일까?
2장 역사 사료를 통해 본 단군조선
1 《산해경》에 기록된 고조선의 위치와 영토
2 《삼국유사》와 《제왕운기》에 나타난 단군조선
3 두 단군신화의 가장 큰 차이점은?
4 왜 《삼국사기》엔 단군신화가 기록되지 않았을까?
5 단군의 조선 건국 연대는 언제 확정되었을까?
3장 역사 사료를 통해 본 기자조선
1 진수의 《삼국지》에 기록된 기자조선
2 기자동래설과 한씨조선설
4장 역사 사료를 통해 본 위만조선
1 위만조선의 성립과 팽창
2 위만조선과 한나라의 세력 다툼
3 위만조선의 몰락
2부 삼국시대와 남북국시대
1장 고구려
1 주몽의 고구려 건국과 왕위를 이은 유리
2 후한과 대립하며 성장을 지속하다
3 백제에 일격을 당하다
4 영토를 확대하며 전성기를 구가하다
5 내분과 외침으로 700년 사직이 무너지다
6 고구려를 풍미한 인물들
2장 백제
1 소서노의 망명과 온조의 백제 건국
2 신라와 대립하며 영토를 확대하다
3 마한을 통일하고 전성기를 구가하다
4 국력이 쇠락해 몰락으로 치닫다
5 백제의 대륙 진출
6 백제를 풍미한 인물들
3장 신라
1 신라를 건국한 박혁거세와 박씨 왕실
2 영토 확장에 주력한 석씨 왕실
3 삼한 통일의 대업을 이룬 김씨 왕실
4 남북국시대를 연 통일신라
5 신라를 풍미한 인물들
4장 가야
1 건국시조 김수로왕과 가야국의 출현
2 가야 연맹의 우두머리 왕 수로
3 가야의 역대 왕
4 가야라는 국호의 뜻과 유래
5 가야의 건국 설화가 둘이 된 까닭
5장 발해
1 대조영의 발해 건국
2 고구려의 옛 땅을 수복해 동방의 종주국이 되다
3 북방의 최강국으로 군림한 해동성국
4 발해의 몰락과 부흥 운동
3부 고려와 조선
1장 고려
1 고려를 세워 후삼국을 통일한 왕건
2 목숨을 건 왕위 다툼과 광종의 공포정치
3 내외의 환란을 이겨내고 안정을 일궈낸 성장기
4 태평성대를 구가한 고려의 번영기
5 거듭된 반란으로 왕의 친정 시대가 끝난 혼란기
6 100년 동****지속된 무신 정권기
7 부마국으로 전락한 원나라 복속기
8 고려의 국권 회복과 왕조의 몰락
9 고려를 풍미한 인물들
2장 조선
1 변방 장수에서 조선의 국조로 거듭난 이성계
2 혼란상을 딛고 건설된 유학의 나라
3 반란과 섭정을 거쳐 일군 태평성대
4 반복되는 사화와 사림의 정권 장악
5 붕당의 치열한 정쟁과 전란의 소용돌이
6 전란 후유증 극복과 연속되는 환국정치
7 혁신과 번영, 제2의 르네상스
8 외척의 전횡에 민란으로 맞선 백성들
9 쇄국과 개화, 그리고 왕조의 몰락
10 조선을 풍미한 인물들
4부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
1장 일제강점기
1 일제의 대한제국 국권 강탈 과정
2 무자비한 폭압통치와 치열한 항거
3 3·1 운동의 전개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탄생
4 봉오동과 청산리의 대승, 그리고 경신참변
5 기만적인 문화통치와 혼란에 빠진 독립운동
6 전쟁광이 된 일제의 민족말살 정책
7 일제의 마지막 발악과 안타까운 분단
2장 대한민국
1 해방과 함께 시작된 미 군정과 분단
2 제1공화국과 이승만 정부
3 4·19 혁명과 제2공화국의 장면 정부
4 5·16 쿠데타와 박정희 군부 정권의 제3공화국과 제4공화국
5 12·12 쿠데타와 전두환 신군부의 제5공화국
6 제6공화국의 첫 장을 연 노태우 정부
7 김영삼 정부
8 김대중 정부
9 노무현 정부
10 이명박 정부
11 박근혜 정부
12 문재인 정부
인명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