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울신학(A Theology of Paul and His Letters)

도서명:바울신학(A Theology of Paul and His Letters)
저자/출판사:더글러스 무/부흥과개혁사
쪽수:807쪽
출판일:2024-08-01
ISBN:9788960929869
목차
추천사
시리즈 서문
저자 서문
약어
1부 서론적 쟁점
1장 바울 신학 방법론
1 성경신학
2 바울 신학
2장 바울 사상의 모습
1 방법론적 쟁점
2 초기의 영향
3 개념적 범주
2부 바울서신의 신학
3장 선교사와 신학자 바울
1 생애
2 바울의 서신
4장 갈라디아서
서신의 기록 시기와 장소
주요 쟁점
논증 분석
1 서론: 십자가와 새 시대(1:1~10)
2 복음의 진리(1:11~2:21)
3 복음을 위한 방어(3:1~5:12)
4 복음의 삶(5:13~6:10)
5 맺음말: 십자가와 새 창조(6:11~18)
5장 데살로니가전서
서신의 기록 시기와 장소
주요 쟁점
논증 분석
1 바울과 데살로니가 교인들(1:1~3:13)
2 거룩한 삶을 위한 권면(4:1~12)
3 그리스도 재림에 비추어 살기(4:13~5:11)
4 최종 권면과 서신의 결론부(5:12~28)
6장 데살로니가후서
서신의 기록 시기와 장소
주요 쟁점
논증에 대한 분석
1 하나님의 응당한 심판(1:1~12)
2 주의 날(2:1~12)
3 택하신 자들에 대한 하나님의 신실하심(2:13~3:5)
4 심각하게 게으른 자들을 향한 책망과 서신의 결론(3:6~18)
7장 고린도전서
서신의 기록 시기와 장소
주요 쟁점
논증 분석
1 새로운 정체성: 분파, 지혜, 십자가 메시지(1:1~4:21)
2 새로운 정체성과 새로운 생활 방식(5:1~6:20)
3 결혼과 성을 위한 새 정체성의 함의(7:1~40)
4 새 정체성: 자유와 사랑(8:1~11:1)
5 새 정체성과 남녀 역할(11:2~16)
6 새 정체성과 새 공동체: 주의 만찬을 기념하기(11:17~34)
7 새 정체성과 새 공동체: 한 성령, 한 몸, 많은 은사(12:1~14:40)
8 새로운 정체의 미래: 부활(15:1~58)
9 마지막 당부(16:1~24)
8장 고린도후서
서신의 기록 시기와 장소
주요 쟁점
논증 분석
1 담대하게 사역하는 바울(1:1~7:16)
2 모금(8:1~9:15)
3 바울과 거짓 사도들(10:1~12:13)
4 방문을 준비하는 바울(12:14~13:14)
9장 로마서
서신의 기록 시기와 장소
주요 쟁점
논증 분석
1 서신 머리말(1:1~17)
2 서신 본문(1:18~15:13)
3 서신 맺음말(15:14~16:27)
10장 골로새서
서신의 기록 시기와 장소
주요 쟁점
논증 분석
1 서신 머리말: “너희가 예수 그리스도를 주로 받은 것처럼”(1:1~2:5)
2 서신 본문: “그 안에서 행하라”(2:6~4:6)
3 서신 맺음말: 문안, 계획, 지침(4:7~18)
11장 빌레몬서
서신의 기록 시기와 장소
주요 쟁점
논증 분석
12장 에베소서
서신의 기록 시기와 장소
주요 쟁점
논증 분석
1 “그리스도 안에” 있는 혜택(1:1~3:21)
2 그리스도 안의 삶(4:1~6:24)
13장 빌립보서
서신의 기록 시기와 장소
주요 쟁점
논증 분석
1 바울, 빌립보 교인, 복음(1:1~26)
2 복음 중심의 삶을 살기(1:27~4:1)
3 복음의 마지막 쟁점(4:2~23)
14장 디모데전서
서신의 기록 시기와 장소
주요 쟁점
논증 분석
1 거짓 교사(1) (1:1~20)
2 회중 생활(1) (2:1~3:16)
3 거짓 교사(2) (4:1~16)
4 회중 생활(2) (5:1~6:2a)
5 거짓 교사(3) (6:2b~21)
15장 디도서
서신의 기록 시기와 장소
주요 쟁점
논증 분석
1 정황: 거짓 가르침(1:1~16)
2 “바른 교훈”을 지키라는 교훈(2:1~3:8)
3 거짓 교사와 몇 가지 요청(3:9~15)
16장 디모데후서
서신의 기록 시기와 장소
주요 쟁점
논증 분석
1 디모데와 바울(1) (1:1~2:13)
2 디모데와 거짓 교사(2:14~3:9)
3 디모데와 바울(2) (3:10~4:22)
3부 바울의 신학
17장 새 영역의 중심
1 복음
2 예수: 하나님의 아들, 메시아, 주
3 명칭
4 예수와 하나님
18장 새 영역의 시작
1 하나님의 우선성
2 새 영역을 시작한 사건들
3 예수의 죽음의 의미
4 결론
19장 옛 영역: 좋은 소식의 배경
1 옛 영역의 기본 속성
2 옛 영역의 이야기: 기저를 이루는 내러티브
3 인간의 속성
20장 새 영역의 복
1 접근 방법과 관점
2 새 영역의 상공을 비행
3 새 영역의 기본 특징
4 새 영역의 세부 풍경
5 결론
21장 새 영역에 들어가기
1 하나님의 우선성: 부르심과 선택
2 은혜
3 인간의 반응: 믿음
4 하나님 행위와 인간 행위의 상호 작용
22장 새 영역의 완성
1 주 그리스도의 날
2 ‘파루시아’
3 부활과 휴거
4 시점에 대한 질문: “임박성”
5 심판
6 이스라엘
7 ‘파루시아’ 너머에?
8 새 창조
23장 새 영역의 백성
1 “하나님의 이스라엘”
2 “제3 종족”
3 교회의 본질
4 교회 생활
24장 새 영역의 삶
1 새 영역의 틀
2 도덕적 지침을 위한 원천
3 새 영역의 본질적 가치
4 새 영역에서 살아가는 삶의 몇 가지 구체적 양상
4부 마지막 문제
25장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