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NGO > 사회문제/복지

본문 바로가기
쇼핑몰 검색
  • 회원가입
    2000

    로그인

    다양한 서비스와 이벤트 혜택을 누리실 수 있습니다.

    아이디 비밀번호
정부와 NGO > 사회문제/복지

정부와 NGO 요약정보 및 구매

기본설명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제조사 대영문화사
원산지 국내산
브랜드 대영문화사
시중가격 26,000원
판매가격 26,000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최소구매수량 1 개
최대구매수량 999 개

선택된 옵션

  • 정부와 NGO
    +0원
위시리스트

관련상품

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

  • 상품정보
  • 사용후기 0
  • 상품문의 0
  • 배송정보
  • 교환정보
  • 상품정보

    상품 기본설명

    기본설명

    상품 상세설명

    정부와 NGO

    9788976448774.jpg

    도서명:정부와 NGO
    저자/출판사:임승빈/대영문화사
    쪽수:354쪽
    출판일:2023-02-20
    ISBN:9788976448774

    목차
    제5판 머리말 3
    제4판 머리말 5
    제3판 머리말 7
    개정판 머리말 8
    초판 머리말 10
    1장 제도ㆍ문화ㆍ 사회적 자본

    2장 시민사회와 NGO의
    개념과 범주

    제1 절 제도ㆍ문화ㆍ사회적 자본의 상관성 19
    1. 제도ㆍ문화ㆍ사회적 자본의 상관성 19
    2. 사회적 자본의 개념과 의의 24
    3. 사회적 자본에 관한 학자들의 견해 26
    4. 요약 30
    제 2 절 국정관리와 사회적 자본 32
    1. 정부와 사회적 자본과의 관계 32
    2. 국정관리에서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 34
    제 3 절 사회적 자본의 측정과 우리나라의 수준 37
    1. 사회적 자본은 어떻게 측정하는가? 37
    2. 한국 사회에서 사회적 자본의 확충 방안과 그 효과 39
    3. 정부와 시민사회단체와의 바람직한 파트너십 형성 43
    제 1 절 서유럽에서 시민사회 개념의 등장 46
    제 2 절 NGO와 유사 용어의 정의 51
    1. 국가별 개념의 차이 51
    2. 이 책에서 NGO의 범위 60
    제 3 절 NGO의 성장 배경과 특성 62
    1. NGO의 2대 성장 배경 62
    2. NGO의 일곱 가지 특성 64
    3. NGO의 4대 기능 67

    3장 한국의 시민사회 형성 과정과 NGO

    4장 한국의
    사회운동과
    정책 과정에서의 제도화

    제 1 절 정부와 시민사회의 형성 71
    1. 조선의 신분제 사회와 차별 사회 71
    2. 일제강점기(1910년~1945년) 73
    3. 1945년~1980년 78
    4. 1980년~1986년 79
    5. 1987년~문민정부 80
    6. 김대중 정부(1998~2003) 81
    7. 노무현 정부(2003~2008) 82
    8. 이명박 정부(2008~2013) 84
    9. 박근혜 정부(2013~2017) 87
    10. 문재인 정부(2017~2022) 88
    11. 윤석열 정부(2022~2027) 89
    제 2 절 시민단체의 연혁과 NGO의 급성장 90
    1. 주요 시민단체의 연혁 90
    2. 한국에서 NGO의 급성장에 대한 여덟 가지 요인 95
    제 1 절 노동운동 101
    1. 개념과 태생 101
    2. 정부의 정책 과정에서의 노동운동단체
    (NGO)들의 역할 102
    3. 정부의 정책 과정에서 제도화로의 정착 과정 104
    제 2 절 환경운동 107
    1. 개념과 태생 107
    2. 정부의 정책 과정에서의 환경운동단체
    (NGO)들의 역할 108
    제 3 절 소비자운동 112
    1. 개념과 태생 112
    2. 정부의 정책 과정에서의 소비자운동단체
    (NGO)들의 역할 113
    3. 정부의 정책 과정에서 제도화로의 정착 과정 120
    제 4 절 여성운동 125

    1. 개념과 태생 125
    2. 정부의 정책 과정에서의 여성운동단체
    (NGO)들의 역할 126
    3. 정부의 정책 과정에서 제도화로의 정착 과정 128

    5장 NGO의
    주요 활동과 이념 갈등

    6장 우리나라 NGO의 활동 방식과
    정책 영향력

    제 1 절 21세기 NGO의 변화 135
    1. 시민사회 내부의 변화 135
    2. 새로운 다중매체(SNS) 시대에서의 변화 136
    제 2 절 2000년대 이후 NGO의 주요 활동 138
    1. 2000년 총선시민연대의 ‘낙천ㆍ낙선운동’ 138
    2. SOFA 개정운동 141
    3. 2003년의 파병 반대, 여성과 환경운동의 분출 143
    4. 한반도 대운하 반대운동 147
    5. 평택 미군기지 이전 반대운동 150
    6. 한ㆍ미 FTA 협정 반대운동 152
    7. 태****기름 유출사고 154
    8. 광우병 파동 156
    9. 세월호 참사 160
    10. 광화문 촛불집회 163
    제 3 절 시민사회단체 간 이념 갈등의 확장 167
    1. 진보적 NGO 내부에서의 신사회운동과 구사회운동 168
    2. 진보단체와 보수단체의 갈등 분출 168
    제 1 절 정부의 정책 과정 참여 171
    1. 정책 과정에의 참여 의의 171
    2. 정부와 NGO와의 관계 변화 174
    3. 정책 과정에서 정부와 NGO 176
    제 2 절 정부와 NGO 간의 파트너십 178
    1. 등장 배경 및 개념 178
    2. 파트너십형 사회구조로의 전환 180
    3. 파트너십의 의의 180

    4. 파트너십의 유형 183
    제 3 절 NGO 활동 현황 분석 189
    1. 활동 영역별 분류 189
    2. 유형별 민간단체 지원사업 선정 현황 189
    3. 법적 자격에 의한 분류 190
    제 4 절 우리나라 NGO들의 정책 영향력 191
    1. 배경 191
    2. NGO의 영향력에 대한 이론적 논의 192
    3. 우리나라 NGO의 정책 영향력 행사에 관한 논쟁점 194

    7장 NGO의
    내부 거버넌스, 재정과 기부

    8장 공유재의 확장과 중간 지원조직

    제 1 절 조직 및 인력관리 198
    1. 조직관리 198
    2. NGO의 인적자원 관리 200
    3. NGO의 의사결정 구조 202
    제 2 절 NGO의 재정자율성과 의존성 204
    1. 현황 204
    2. 재정 자립을 둘러싼 두 가지 견해 205
    제3 절 기부 212
    1. 개념 212
    2. 기부의 의의 213
    3. 기부의 유형 214
    제 1 절 공유재의 확장과 NGO 역할 217
    1. 공유재의 개념 217
    2. 공유재의 확장을 위한 중간 지원조직의 개념과 역할 220
    3. 공유재 확장 활동 사례: 영국과 한국 223
    제 2 절 정책 과정에서의 공론화제도 운영의
    의의와 평가 227
    1. 공론화의 개념과 추진 방법 227
    2. 우리나라에서의 시민배심원제 활용 사례 228
    3. 평가와 전망 229

    제 3 절 중간 지원조직: 영국과 일본 사례 231
    1. 영국 231
    2. 일본 233
    3. 영국과 일본 사례에서의 시사점 236
    4. 우리나라에의 적용 238

    9장 사회적 기업의 등장과 의의

    10장 국제화 시대
    NGO의 역할

    11장 일본
    시민사회의 변화

    제 1 절 사회적 기업의 등장 242
    1. 배경 242
    2. 개념 243
    제 2 절 사회적 기업의 의의 244
    1. 등장 배경 244
    2. 사회적 기업의 개념과 특성 245
    3. 사회적 경제와 사회적 기업 249
    4. 사회적 기업의 역할 250
    5. 사회적 기업의 유형 250
    6. 우리나라 정부의 사회적 기업에 관한 지원 형태 251
    7. 사회적 기업에 대한 비판 254
    제 1 절 글로벌 시민사회의 도래 256
    1. 지구시민으로서의 개념 256
    2. 글로벌 시민사회에서 NGO의 역할과 방향 258
    제 2 절 글로벌 NGO 사례 263
    1. 월드비전(World Vision) 263
    2. 그린피스(Greenpeace) 266
    제 1 절 일본 시민사회의 형성과 변화 269
    1. 전후 태동 시기(1945년 이후) 269
    2. 시민사회의 발전 270
    3. 지역사회의 변화 271
    제 2 절 정부 주도형에서 새로운 파트너십으로 274
    1. 행정 주도형의 자원봉사 구축 274
    2. 1990년 이후 정부와 시민사회단체와의

    새로운 파트너십 274
    3. 정부와 시민사회단체와의 파트너십 276
    4. 재난관리에서의 민-관 협력체제의 강화 277
    제 3 절 주민조직과 NPO 조직 279
    1. 주민조직 279
    2. 일본 NPO와 특징과 개념 282
    3. 전통적 주민조직과 NPO의 구분 286
    제 4 절 공익법인 제도 도입 287
    1. 사단법인ㆍ재단법인의 진화 287
    2. 공익법인 개혁의 배경 288
    3. 신공익법인 제도의 도입과 변화 291
    4. 공익사단법인ㆍ공익재단법인 292

    12장 영국과
    미국의 시민사회 변화

    13장 사회적 자본의
    위기와 협치적 공동체주의

    제1 절 영국 298
    1. 20세기 영국 시민사회의 변화 299
    2. 제도적 지원 체계 300
    제2 절 미국 303
    1. 형성과 성장 303
    2. 미국 시민사회의 영역별 활동 유형 305
    3. 미국 시민사회의 특징 307
    4. 미국 시민단체에 대한 지원 제도 310
    제 1 절 참여 민주주의의 위기 314
    1. 시민참여와 민주주의 314
    2. 시민참여의 허와 실 315
    제 2 절 사회적 자본의 위기와 협력적 거버넌스를
    통한 극복 317
    1. 사회적 관용성이 미흡한 사회적 자본의 위기 317
    2. 지역공동체 붕괴와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321
    참고문헌 327
    찾아보기 349
    delivery.jpg
  • 사용후기

    등록된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 배송정보

    배송정보

    배송업체 : 한진택배 (1588-0011)
     배송비
     2,500원 (2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배송/일부상품제외) 군부대 및 도서산간 지역은 추가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배송기간
     : 평일 오전 7시 이전 주문 시 당일 발송 (2~3일 소요) : 단, 공휴일, 연휴, 천재지변 등으로 인해 발송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배송추적
     : 당일 발송건에 한해 익일 오전 9시 이후 확인 가능합니다.


  • 교환정보

    교환/반품

     ◆반품/교환을 원하는 경우 반드시 고객센터로 연락 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반품/교환은 상품 수령일로 부터 7일 이내에만 가능합니다. 단, 상품이 훼손되지 않았거나, 속 비닐이 있는 경우 듣지 않았을    때 가능합니다.
     •고객님의 변심 또는 잘못 주문하신 경우에는 왕복 배송비는 고객님의 부담입니다.
     ◆오배송, 파본, 불량 상품에 대해서는 고객센터로 연락주시면 상담 후 교환해 드립니다.
     ◆오배송, 파본, 불량상품의 배송비는 환불처에서 부담합니다.
     교환/반품
     ◆환불은 상품이 환불에 도착 시 처리됩니다. (카드 취소는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장바구니

오늘본상품

오늘 본 상품

  • 정부와 NGO
    정부와 NGO 26,000
  • 낙태죄에서 재생산권으로
    낙태죄에서 재생산권 30,000

위시리스트

  • 보관 내역이 없습니다.
회사명 경기책방 주소 경기도 파주시 조리읍 장미꽃길 157-161
사업자 등록번호 6829601269 대표 오주봉 전화 02-356-5779 팩스 02-356-5779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21-경기파주-1335호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오주봉

Copyright © 2001-2013 경기책방.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