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 성호학파의 자연학

도서명:조선후기 성호학파의 자연학
저자/출판사:구만옥/혜안
쪽수:488쪽
출판일:2023-07-25
ISBN:9788984947009
목차
책머리에
제1장 서론
제2장 성호학파 자연학의 사상적ㆍ학문적 기초
1. 도리(道理)와 물리(物理)의 분리
2. 천관(天觀)의 분화와 자연천(自然天)의 탐구
3. 치의(致疑)와 자득(自得)의 학문관
4. 명물도수(名物度數)와 불치하문(不恥下問)
제3장 서학(西學)에 대한 인식과 수용의 논리
1. 조선후기 서학 수용의 문제
2. 성호학파의 서학 인식과 수용의 논리
3. ‘존사위도(尊師衛道)’를 위한 변론(辨論)
제4장 전통적 자연지식에 관한 성호학파 내부의 담론 ‘기삼백론(朞三百論)’과 ‘칠윤지설(七閏之說)’에 대한 논의
1. 이익의 기삼백론(朞三百論)
2. 이익과 이병휴의 ‘칠윤지설(七閏之說)’에 대한 논의
제5장 새로운 자연지식에 관한 성호학파 내부의 담론 윤동규와 안정복의 자연학 논의
1. 세차법(歲差法)
2. 서양역법(西洋曆法)과 일전표(日躔表)
3. 조석설(潮汐說)
제6장 전통적 자연학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학설의 전개(1)
1. 중천설(重天說)
2. 일월식론(日月蝕論)
3. 「방성도(方星圖)」와 ‘****미곤(首艮尾坤)’론의 전개
제7장 전통적 자연학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학설의 전개(2)
1. ‘지리(地理)’에 대한 관심과 담론
2. 지구설(地球說)과 봉침설(縫針說)
3. 조석설(潮汐說)과 동해무조석론(東海無潮汐論)
4. 수리론(水利論)
제8장 성호학파 자연학의 특징과 학문적 지향
1. 유자(儒者)의 실학(實學):자연학에 대한 인식의 전환
2. 물리(物理)에 대한 관심과 박학(博學)
3. 수학(數學)과 실측(實測)의 강조
제9장 성호학파 자연학의 계승과 굴절(屈折)
1. 성호학파의 분기(分岐)와 보수화(保守化)
2. 성호학파 자연학의 계승:정약용(丁若鏞)의 경우
3. 허전(許傳)의 천지관(天地觀)과 재이설(災異說)
제10장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