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도서명:도덕경
저자/출판사:정홍양재오,번역/파랑새미디어
쪽수:291쪽
출판일:2023-03-20
ISBN:9791157211777
목차
* 서문 - 노자 사상의 새로운 해석에 대하여 / 탕더강(唐德剛)
들어가며
노자 개관
1. 역사 배경
2. 노자 - 그 사람과 그의 책
3. 노자가 후대 철학자에 미친 영향
4. 유학과 선불교와 도교에 영향을 준 노자
▶▶ 제1편 우주의 시작에 대한 사색(우주론) ㆍ 도와 만물
제1장 ‘도’와 ‘이름’
제4장 도는 비어있다
제6장 하늘과 땅의 근원
제7장 하늘과 땅은 영원하다
제11장 ‘있음’과 ‘없음’
제14장 ‘없음’의 정의 ㆍ 도의 원리
제21장 태초의 우주는 오직 도를 따를 뿐이다
제25장 하늘과 땅의 어머니 ㆍ 네 가지 위대한 현실
우주의 시작에 대한 사색의 요점
제32장 도는 영원하고 이름이 없다
제39장 ‘하나’를 부여함
제40장 도의 순환 ㆍ ‘없음’에서 비롯된 ‘있음’
제42장 도와 만물 ㆍ 음과 양
제51장 도 ㆍ 덕 그리고 깊은 덕
제62장 도에 만물의 비밀이 담겼다
제34장 크나큰 도가 온 세상에 넘친다
제35장 큰 형상을 확고히 파악한다
제47장 성인은 원리를 안다
* ‘도’와 ‘만물’에 대한 사색의 요점
▶▶ 제2편 변증법
제2장 변증법 ㆍ 성인의 선택
제22장 내맡겨서 온전히 보전할 수 있다
▶▶ 제3편 순환론
제16장 생명의 순환
제58장 세상사의 주기적 변화
▶▶ 제4편 덕
제10장 도의 실행 ㆍ 깊은 덕
제28장 자연과의 조화 ㆍ 무사무욕 ㆍ 소박한 덕
제38장 덕 ㆍ 인 ㆍ 의 그리고 예
제54장 덕의 평가
제55장 갓난아기를 통해서 보는 덕
제56장 깊이있는 조화
제63장 덕으로 원수를 갚는다
* ‘덕’의 요점
▶▶ 제5편 '하늘의 도’와 ‘사람의 도’의 비교
제9장 극단과 오만을 피하기
제41장 인간 지능의 한계
제45장 인식과 실재 - 외적 인상과 내적 현실 -
제70장 세상으로부터 이해받지 못함
제71장 품격의 흠결
제73장 하늘의 도
제77장 ‘하늘의 도’와 ‘사람의 도’
제79장 하늘의 도는 중립이다
제81장 ‘하늘의 도’와 ‘성인의 도’
* ‘하늘의 도’와 ‘사람의 도’를 비교한 요점
▶▶ 제6편 상반철학
제8장 최상의 선은 물과 같다
제20장 도학자와 보통사람의 비교
제76장 상반철학의 몇 가지 사례
제78장 반어적으로 실재를 드러냄
* 상반철학의 요점과 추론
▶▶ 제7편 전쟁 ㆍ 방어전 ㆍ 위장
제30장 전쟁과 평화
제31장 병기와 전쟁
제36장 전략적 상식
제69장 위장과 유격전
제46장 전쟁의 주요한 원인
제67장 세 가지 보배
제68장 하늘의 이치를 따른다
* 전쟁 ㆍ 방어전과 위장에 대한 요점
▶▶ 제8편 정치철학
가. 부패한 정권
제53장 부패한 정권
제72장 통치자에 대한 경고
제74장 극형으로 다스림
제75장 부패한 정권의 최후
* 부패한 정권의 요점과 추론
나. 이상 사회 ㆍ 함이 없이 다스림
제15장 현명한 통치자의 모습
제17장 통치자 ㆍ 함이 없이 다스림
제37장 도는 영원히 함이 없다
제43장 말이 없이 가르치고, 함이 없이 얻는다
제48장 배움의 추구와 도의 실천
제80장 하나의 이상 사회
* ‘이상 사회’와 ‘함이 없이 다스림’의 요점
다. 정치철학 ㆍ 민주사상 ㆍ 서로 돕고 함께 번영하는 외교
제3장 현명한 통치자는 함이 없이 다스린다
제18장 사회의 쇠퇴 현상
제19장 덕이 있는 사회의 기초
제26장 자연의 교훈
제29장 세상은 복잡한 생물이다
제49장 민주사상
제57장 공정한 다스림 ㆍ 기발한 병법 ㆍ 함이 없이 세상을 얻음
제59장 절약으로 얻은 자원
제60장 도가 세상에 널리 퍼지면
제61장 서로 돕고 함께 번영하는 외교
제66장 백곡의 왕과 백성의 왕
제64장 통치자에게 주는 충고
제65장 국가 경영의 예술
* 정치철학의 주체를 다룬 요점
▶▶ 제9편 인생철학
제5장 중심에 머물라
제12장 유혹
제13장 근심 걱정들
제23장 자연은 거의 말하지 않는다 ㆍ 신심
제24장 자연스럽고 객관적이고 겸손하라
제27장 탁월한 성취
제33장 지혜에서 나온 격언
제44장 삶에 대한 태도 - 인생철학
제50장 삶과 죽음의 개연성
제52장 자연의 이치에 따른다
* 인생철학의 요점
참고 자료
감사의 글
역자 후기 - 노자는 단순한 ‘형이상학자’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