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미생물학

도서명:화장품 미생물학
저자/출판사:김보라/자유아카데미
쪽수:준비중
출판일:2024-02-28
ISBN:9791158085629
목차
"
Part 1 화장품과 미생물학
Chapter 01 화장품 개론
1.1. 화장품의 정의
1.2. 화장품 원료
1.3. 화장품 제형기술과 유형
1.4. 화장품 품질 특성
1.5. 피부과학 및 위해평가
1.6. 화장품 미생물학 역사
Chapter 02 미생물 구조와 기능
2.1. 원핵세포
2.2. 진핵세포
Chapter 03 미생물 대사와 증식
3.1. 이화작용
3.2. 동화작용
3.3. 미생물 성장
Chapter 04 미생물실험의 기초
4.1. 미생물 배양 및 분리
4.2. 미생물 배지
4.3. 미생물 제어
Part 2 화장품 미생물 오염
Chapter 05 화장품 산업에서 중요한 미생물
5.1. 제조 현장에서 나타나는 미생물 특징
5.2. 화장품 오염에서 검출되는 미생물
Chapter 06 원료, 제조환경 및 화장품에서의 미생물 오염
6.1. 1차 오염
6.2. 2차 오염
6.3. 화장품의 미생물 오염 사례
Part 3 화장품 미생물 관리
Chapter 07 국내외 화장품 미생물 규제와 법규
7.1. 화장품법 체계
7.2. 국내외 화장품 미생물 규제
Chapter 08 제조소의 미생물 품질관리
8.1. 제조환경의 미생물 평가
8.2. 제조환경의 미생물 제어
8.3. 미생물 오염원에 대한 대책
Chapter 09 우수화장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CGMP)
9.1. 용어의 정의
9.2. 조직구성 및 직원의 위생
9.3. 건물 및 시설 작업소의 위생
9.4. 물의 품질
9.5. 기준서
9.6. 칭량, 공정관리, 포장 작업
9.7. 품질시험 관리
9.8. 문서관리 및 CGMP 판정 절차
Chapter 10 화장품의 보존제
10.1. 보존제의 필요성
10.2. 보존제의 분류
Chapter 11 화장품의 보존전략
11.1. 보존제 선택 요소
11.2. 화장품의 방부시스템
Part 4 화장품 미생물 시험법
Chapter 12 제조환경에서의 미생물 관리 시험법: 미생물한도 시험법
12.1. 생균수시험법
12.2. 화장품 미생물 신속 측정법
12.3. 미생물검사의 한계
Chapter 13 완제품에서의 미생물 관리 시험법: 보존력 시험
13.1. 보존력 시험의 필요성
13.2. 보존력 시험법 종류
부록
1. 우수화장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2. 화장품 미생물한도 시험법 가이드라인(민원인 안내서)
3. 화장품 보존력 시험법 가이드라인(민원인 안내서)
4. 맞춤형화장품(소분·리필)의 품질·안전 및 판매장 위생관리 가이드라인(민원인 안내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