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거버넌스: 도전과 과제

도서명:글로벌 거버넌스: 도전과 과제
저자/출판사:Thomas G. Weiss , Wilkinson, /명인문화사
쪽수:484쪽
출판일:2023-07-25
ISBN:9791161930701
목차
간략목차
1장 글로벌 거버넌스의 미래를 이해하기
1부 지구적 차원
2장 글로벌 거버넌스와 인류세: 글로벌 위기의 확산에 대한 설명
3장 전쟁: 폭력에 대한 거버넌스와 거버넌스의 폭력
4장 지정학: 공유하는 글로벌 위협의 시대에서의 경쟁
5장 문명: 융합 혹은 충돌?
6장 지역과 지역주의: 새로운 형태의 연결성에 대응하기
7장 글로벌 도시 거버넌스의 이해
2부 분열과 격차
8장 탈서구의 인권: 그 모든 것이여 안녕
9장 2050년의 이주 거버넌스: 유토피아, 디스토피아, 아니면 헤테로토피아?
10장 빈곤과 불평등의 글로벌 거버넌스 220
11장 인종: 글로벌 규모의 새로운 아파르트헤이트
12장 인민: 누가 통치하고 누가 통치받는가?
3부 도전
13장 식량: 덥고 배고픈 지구의 거버넌스가 직면한 도전
14장 글로벌 보건 거버넌스의 미래: 글로벌, 보건, 거버넌스 각 개념에 대한 성찰
15장 기후 행동: 파리협정 이후
16장 생물다양성: 지구 생명의 연결망 보호
17장 원조: 코로나19 위기와 그 이후
18장 데이터: 글로벌 거버넌스가 직면한 도전들
19장 불법****물:****물금지와 국제약물통제레짐
세부목차
역자서문
약어
1장 글로벌 거버넌스의 미래를 이해하기
글로벌 거버넌스의 미래: 사고의 틀
글로벌 거버넌스의 역사
글로벌 거버넌스의 공간적 측면
글로벌 거버넌스의 부침
당면 과제
1부 지구적 차원
서론
2장 글로벌 거버넌스와 인류세: 글로벌 위기의 확산에 대한 설명
인류세의 황폐화
환경 거버넌스의 취약한 설계
기업의 자율 거버넌스의 가치에 대한 과대평가
신기술의 가치에 대한 과대평가
결론: 2050년을 바라보며 위기에 대응하기
3장 전쟁: 폭력에 대한 거버넌스와 거버넌스의 폭력
전쟁 거버넌스의 제도들
전쟁과 거버넌스의 차원
전쟁 거버넌스의 미래
결론
4장 지정학: 공유하는 글로벌 위협의 시대에서의 경쟁
지정학적 패러다임
미국과 중국
다극체제와 지역화
지정학과 글로벌 거버넌스
결론
5장 문명: 융합 혹은 충돌?
새로운 현실의 무시
다자적 리더십의 통제
일방주의의 증가
결론
6장 지역과 지역주의: 새로운 형태의 연결성에 대응하기
용어 정의와 그 역할에 대한 평가ㆍ
현대의 지역 연결성의 대안적 형태
결론
7장 글로벌 도시 거버넌스의 이해
글로벌 도시 거버넌스의 부상
글로벌 도시 거버넌스의 네트워크화
글로벌 도시 거버넌스의 광범위한 시각
국제적 도시이주와 코로나19
결론
2부 분열과 격차
서론
8장 탈서구의 인권: 그 모든 것이여 안녕
인권의 간단한 역사
도덕적, 정치적 인권
국가체제의 변형
자유주의 사회계약의 붕괴
인권의 정치화
결론
9장 2050년의 이주 거버넌스: 유토피아, 디스토피아, 아니면 헤테로토피아?
이주의 추세
거버넌스 시나리오
결론: 유토피아, 디스토피아, 아니면 헤테로토피아?
10장 빈곤과 불평등의 글로벌 거버넌스
글로벌 거버넌스와 빈곤
글로벌 거버넌스와 불평등
결론: 빈곤과 불평등의 글로벌 거버넌스의 미래 탐구
11장 인종: 글로벌 규모의 새로운 아파르트헤이트
제1부 미셸 들라니
제2부 조이스 모요
제3부 테드로스 마코넨
제4부 씨시 반구, 부디 반구
12장 인민: 누가 통치하고 누가 통치받는가?
포용적인 21세기와 그 ‘새로운’ 이야기
‘국내’와 ‘해외’에서의 폭력에 의한 민주주의 ‘외부’의 생성
통치받는다는 것
결론
3부 도전
서론
13장 식량: 덥고 배고픈 지구의 거버넌스가 직면한 도전
기아, 영양실조, 식량시스템의 위기
미래 거버넌스 수요를 형성할 주요 식량시스템의 추세
코로나19와 식량시스템에 대한 충격
미래 글로벌 식량 거버넌스에 대한 경쟁하는 비전
결론ㆍ316
14장 글로벌 보건 거버넌스의 미래: 글로벌, 보건, 거버넌스 각 개념에 대한 성찰
‘글로벌리티’의 도전
‘보건’의 한계
글로벌 보건 ‘거버넌스’
결론
15장 기후 행동: 파리협정 이후
우리는 어디에 있는가?
기후 거버넌스와 변화하는 세계질서
기후 관련 세 가지 공백: 적응, 삼림, 이주
결론
16장 생물다양성: 지구 생명의 연결망 보호
육상 생명체
생물다양성을 위한 법적 레짐: 생태계, 종, 이용, 혜택
환경협약과 SDG15
지속가능발전의 이행
결론
17장 원조: 코로나19 위기와 그 이후
글로벌 개발원조와 코로나19: 개발의 잃어버린 10년?
코로나19와 새로운 부채 함정
글로벌 개발원조의 미래
결론
18장 데이터: 글로벌 거버넌스가 직면한 도전들
데이터 흐름의 중요성
미국의 접근: 데이터 농장으로서의 개인
중국의 접근: 데이터를 통한 통치
EU의 접근: 불가능한 일
글로벌 데이터 거버넌스의 미래
결론
19장 불법****물:****물금지와 국제약물통제레짐
약물금지 이전의 삶
약물금지와 국제약물통제레짐: 우리는 어떻게 여기까지 왔는가?
약물금지와****물통제의 어두운 면
타성의 힘
변화의 힘
결론
찾아보기
저자소개
역자소개
도해목차
도표
5.1 세계 GDP 점유 비율
9.1 글로벌 불경기가 실향민 발생의 원인, 결과, 대응에 미치는 영향
10.1 국가별/지역별 빈곤 인구 비율 1981~2015년
10.2 빈곤 축소 관련 AIIB 투자, 2015~2019년
10.3 상위 인구의 부의 점유 비율, 미국 대 유럽, 1810~2010년
10.4 글로벌 불평등과 성장의 코끼리 커브, 1980~2016년
10.5 젠더 불평등 지수
표
16.1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환경협정
16.2 생물다양성협약들로부터의 전략적 장치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