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진단 이야기

도서명:수목진단 이야기
저자/출판사:김홍중 , 정유용 글/사진/자연과생태
쪽수:216쪽
출판일:2024-07-22
ISBN:9791164500635
목차
머리말 나무에 기대어 보는 세상
비생물적 피해
복토(覆土, filled soil)와 석축(石築, masonry) 장기간에 걸쳐 서서히 나타나는 피해
과습(過濕, excess soil water) 나무 질식사 원인
답압(踏壓, soil compaction) 또 다른 질식사 원인
동해(凍害, freezing injury) 나무도 동상을 입습니다.
심식(深植, deep planting) 나무도 숨 좀 쉬게 해 주세요.
상열(霜裂, frost crack)과 동계피소(冬季皮燒, winter sunscald) 찢어지고 갈라지는 상처투성이 나무들
건조해(乾燥害, injury due to dryness) 나무도 피곤합니다.
약해(藥害, phytotoxicity) 말 ****해도 아는 수가 있지요.
침수(沈水, submersion) 백 년도 참았는데 뭘.
풍해(風害, wind damage) 바람 잘 날 없는 나무들
포장(鋪裝, packaging) 뻔한 걸 왜 물어요?
뿌리조임(girdling) 나무 몸통 조르기 기술?
만상(晩霜, late frost) 흔히 쓰면서도 헷갈리는 용어 1
상주(霜柱, ice column) 흔히 쓰면서도 헷갈리는 용어 2
설해(雪害, snow damage) 눈 오는 소리를 아시나요?
세척제 피해(detergents) 이런, 말도 ****되는 피해가?
생물적 피해 : 병해 생물적 피해: 병해생물적 병해
향나무 녹병(Rust) 얘들 보이면 비상입니다.
개나리 가지마름병 증상(영명 없음) 꽃이 예쁘다고 병이 피해 갈까요?
소나무류 잎떨림병(Pine needle cast) 과습(過濕)과 다습(多濕)은 다릅니다.
붉은별무늬병(Cedar apple rust) 아무 데로나 막 튑니다?
철쭉 떡병(Leaf gall) 요즘에는 이런 거 ****물어보십니다.
산수유 두창병(Spot anthracnose) 이렇게 험악한 이름을 붙여야 하나요?
무궁화 검은무늬병(Black leaf spot) 죽지는 않으니 걱정하지 말라고요?
칠엽수 잎마름병(얼룩무늬병)(Leaf blotch) 다짜고짜**** 언제 쳐요?
느티나무 흰별무늬병(Septoria leaf spot) 혼란스러운 잎마름성 병해
중국단풍나무 흰가루병(Powdery mildew) 나무가 죽을 정도로 센 병은 아니래요.
스클레로데리스 가지마름병(Scleroderris canker) 이 병에 주목해야 하는 진짜 이유
은행나무 그을음잎마름병(Margin blight) 태풍이 지나간 이후
호두나무 탄저병(Anthracnose) 매뉴얼이 아쉽습니다.
소나무류 그을음잎마름병(Rhizosphaera needle blight) 원인과 병명, 무엇이 중요한가요?
회화나무 녹병(Gall rust) 나무가 아픔을 견뎌 내는 방식일까요?
생물적 피해: 충해
회양목명나방(Glyphodes perspectalis) 이른 봄부터 배고픈 아이들
매미나방(Lymantria dispar) 해마다 빨리 나타납니다.
솔잎혹파리(Thecodiplosis japonensis)**** 언제 치나요?
소나****(Tomicus piniperda) 작다고 우습게 볼 게 아닙니다.
미국선녀벌레(Metcalfa pruinosa) 이름은 선녀인데 하는 짓은 밉상
벚나무모시나방(Elcysma westwoodi) 일찍 나와서 미안합니다.
복숭아명나방 침엽수형(Conogethes punctiferalis) 헷갈리게 해서 미안합니다.
별박이자나방(Naxa seriaria) 쥐똥나무의 불청객
물푸레면충(Prociphilus (Prociphilus) oriens) 물푸레나무만 골라 귀찮게 합니다.
검은배네줄면충(Tetraneura (Tetraneurella) nigriabdominalis) 누가 만든 벌레혹일까요?
알락굴벌레나방(Zeuzera multistrigata) 엊그제까지만 해도 괜찮았는데.
모감주진사진딧물(Periphyllus koelreuteriae) 천적까지 방제하지는 말았어야지요.
오리나무잎벌레(Agelastica coerulea) 해충일까요? 도우미일까요?
미국흰불나방(Hyphantria cunea) 1년에 3번이나 발생합니다.
뽕나무이(Anomoneura mori) 나무에도 이가 살아요.
호리왕진딧물(Eulachnus thunbergi) 이른 봄에 소나무에 응애?
전나무잎응애(Oligonychus ununguis) 이름도 확실치 않은 소나무응애
오리나****(Xylosandrus germanus) 깨알만 한 게 설마 나무를 죽이겠어요?
벚나무알락나방(Illiberis (Primilliberis) rotundata) 피해는 적습니다.
솔나방(Dendrolimus spectabilis) 송충이 보신 적 있나요?
맺음말 나무를 응원하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