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의 경계

도서명:한류의 경계
저자/출판사:진달용 , 김경호 , 김학순 , 정백수 , 이하나 ,/역락
쪽수:348쪽
출판일:2024-06-30
ISBN:9791167428486
목차
1부 K–컬처의 혼종성과 인문학적 관점
한류에서 ‘K–’의 사회문화적 담론−초국가적 근접성으로의 전환 / 진달용
Ⅰ. 머리말
Ⅱ. 한류(Korean Wave)에서 K의 의미
Ⅲ. 한류의 성장
Ⅳ. 한류에 K는 있는가
Ⅴ. 한류에서 K의 의미−초국가적 근접성을 중심으로
Ⅵ. 맺음말
일본 내 한류(K–컬처) 현상과 인문학적 관점 / 김경호
Ⅰ. 머리말
Ⅱ. 인문학의 개념과 관점
Ⅲ. 일본 내 한류(K–컬처) 현상
Ⅳ. K–컬처 현상에 대한 인문학적 분석
Ⅴ. 맺음말
전근대 한일 대중문화와 K–인문학 고전 / 김학순
Ⅰ. 한류 콘텐츠로서의 K–고전
Ⅱ. 〈대장금〉의 인기와 K–고전의 출발
Ⅲ. 조선과 에도의 대중문화와 고전소설
Ⅳ. 전근대 한일의 상업 출판문화
Ⅴ. 전근대 한일의 의약 문화
Ⅵ. 일본의 K–고전 수용과 방향성
한국문학의 인문학적 물음과 일본어 번역−이청준의 「소리」를 찾아서 / 정백수
Ⅰ. 「소리」를 찾아서
Ⅱ. 「진정한 말」을 찾아서
2부 K–컬처의 수용과 변용
K–Pop의 대만 진출 과정과 대만 청년세대의 한류(韓流) 인식 / 이하나
Ⅰ. 신(新)한류 시대, 대만에서의 K–Pop 열풍
Ⅱ. ‘한류(韓流)’ 용어의 기원과 K–Pop의 대만 진출 과정
Ⅲ. 대만 청년세대의 한류(韓流) 인식과 K–Pop 수용의 양상
Ⅳ. 한국과 대만의 성숙한 문화 교류를 위하여
K–Pop이 대만 청소년의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양영자
Ⅰ. 머리말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맺음말
K–컬처 세대로서 일본 Z세대의 가능성−한국 X세대와의 비교를 통해 / 조규헌
Ⅰ. 머리말
Ⅱ. J–컬처와 한국 X세대
Ⅲ. K–컬처와 일본 Z세대
Ⅳ. 맺음말
한류 역사드라마의 일본 수용 양상과 탈정치성 / 김욱
Ⅰ. 한일문화교류와 역사 콘텐츠의 월경 가능성
Ⅱ. 일본 역사드라마 장르의 전개 양상과 인식의 변화
Ⅲ. 한국 역사드라마의 수용양상과 ‘퓨전 사극’의 인기
Ⅳ. 한류 역사드라마가 시사하는 콘텐츠로서의 ‘역사’
3부 한류의 확장과 K–컬처의 미디어
미디어를 통한 일본의 한류 붐과 K–여성 문학의 확장 / 이가현
Ⅰ. 머리말
Ⅱ. 일본의 한류 붐−〈겨울연가〉에서 『82년생, 김지영』까지
Ⅲ. 일본의 페미니즘 담론−90년대 여성 작가 붐과 그 이후
Ⅳ. 현대 한국의 여성 문학−일상의 직설적 표현
Ⅴ. 맺음말
미디어의 관점에서 바라본 일본 한류의 역동성 / 이석
Ⅰ. 머리말
Ⅱ. 1차・2차 한류의 미디어
Ⅲ. 일본과 한국의 인스타그램 이용 현황
Ⅳ. 인스타그램과 대중성의 관계
Ⅴ. 3차 한류 팬덤의 정치성
Ⅵ. 맺음말
디지털미디어 환경에서 유럽의 한류 수용과 지속가능성 / 김새미
Ⅰ. 머리말
Ⅱ. 신한류 정책과 유럽에서의 한류 연구
Ⅲ.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의 한류 콘텐츠 생산과 문화생산자의 대응
Ⅳ. 유럽에서의 한류 수용과 확장성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