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영국의 공자 숭배와 모럴리스트들(하)

도서명:근대 영국의 공자 숭배와 모럴리스트들(하)
저자/출판사:황태연/한국문화사
쪽수:1332쪽
출판일:2023-07-10
ISBN:9791169191319
목차
하권
제3절 청교도혁명의 논객 존 밀턴의 유교적 근대정치사상
3.5. 실낙원의 중국식 에덴동산과 복낙원의 성인군자 ‘인간 예수’
■ 실낙원의 중국식 에덴동산과 중국의 경제적 ㆍ 기술
정치적 중요성
■ 복낙원(1671)의 유교적 낙원회복 전략
제4절 존 웹의 중국 예찬과 국가개혁론
4.1. 중국의 기독교적 해석과 찰스 2세에 대한 웹의 국정개혁 요구
■ 찰스 2세에 대한 헌사와 ‘성군이 되라’는 압력
■ ‘아담의 언어’로서의 한문과 ‘노아의 후손’으로서의 중국인?
4.2. 합리주의적 중국예찬과 영국 정치의식의 성숙
■ 웹의 합리주의적 중국찬양
■ 공자철학의 확산과 영국 정치의식의 변동과 성숙
제5절 리처드 컴벌랜드의 유교적 인애론과 홉스 비판
5.1. ‘인애’원칙과 ‘만인의 만인에 대한 인애 관계’로서의 자연상태
■ 컴벌랜드의 인애 개념의 유교성에 대한 증거들
■ 만인의 만인에 대한 인애
5.2. 홉스의 부당전제에 대한 컴벌랜드의 비판
■ 홉스의 제1 부당전제 : 사회상태의 감정으로서의 ‘명예와 위풍’
■ 홉스의 제2 부당전제 : 자연상태에서의 공동선적 도덕규범의 인정
■ 홉스의 비일관적 이성개
불화원인이자 전쟁탈피 능력으로서의 이성
■ 언어의 본질적 기능으로서의 거짓말?
■ 홉스의 제5 문제 : 사실전도
■ 홉스의 제6 부당논변 : 언어적 계약의 기반으로서의 인애에 대한
■ 인애의 본질성과 선차성
5.3. 컴벌랜드의 반反홉스적 인애론에 대한 맥스웰의 공자주의적 해석
■ 극동의 경천사상과 도덕
■ 스토아주의와 에피쿠리언적 홉스주의에 대한 맥스웰의 유교적 비판
■ 유교철학에 대한 맥스웰의 칭송
제6절 윌리엄 템플의 공자 예찬과 영국의 중국 내각제 도입
6.1. 고대희랍철학의 원천으로서의 공자와 중국
■ ‘지물知物’에서 ‘지인知人’으로의 공자주의적 철학혁명
■ 그리스철학의 중국원류설
6.2. 공자 예찬 : ‘인류를 사랑하는 천재적 애국자이자 세계주의자’
■ 중국 찬양과 공자 예찬
■ ‘실존하는 이상국가’중국과 명 ㆍ 청대 내각제
6.3. 중국내각제에 대한 템플의 분석과 내각제의 도입
■ 중국내각제 분석
■ 1679년 템플과 찰스 2세에 의한 영국내각제 개혁의 추진
6.4. 템플의 중국정원론과 ‘사라와지’조원술
■ 템플의 중국정원론과 사라와지 미감
■ 사라와지와 픽쳐레스크
제7절 아이작 보시어스의 중국이상국가론
7.1. 중국 역사기록에 대한 보시어스의 평가와 성서기록의 상대화
■ 보시어스의 자료출처
■ 중국의 예술ㆍ과학에 대한 예찬
7.2. 철인국가 중국과 롤 모델 공자
■ “철학자의 나라”로서의 중국과 한국
■ 유럽 철학자들의 롤 모델 공자
제3장 공자철학과 명예혁명 전후의 모럴리스트들
제1절 나다나엘 빈센트와 「대학」의 영역
1.1. 나다나엘 빈센트의 궁정설교집의 공간 : 영예의 바른 개념(1685)
1.2. 나다나엘 빈센트의 공자철학과 대학
■ 명예혁명의 사상적 준비
제2절 명예혁명의 이론가 존 로크의 공자주의적 자유ㆍ평등론
2.1. 로크의 공자 언급과 그의 극동정보
■ 로크의 공자ㆍ중국 관련 서적의 독서와 공자의 직접 언급
■ 극동문화에 대한 로크의 논의와 관용론
2.2. 공자의 무위 ㆍ 평등론과 로크의 자유ㆍ평등론 간의 연관
■ 공자의 무위ㆍ자치개념과 로크의 자연적 자유론
■ 유럽적 평등개념의 부재와 공자철학적 평등 이념의 등장
■ 로크의 자연적 평등론
2.3. 로크의 신분제적 불평등교육론과 몽테스키외의 귀족주의
■ 로크의 신분제적 차별교육론
■ 로크의 노예제 인정
■ 몽테스키외의 귀족주의적 반동
■ 중국평등사회론의 계속적 확산과 「미국독립선언」
2.4. 중국의 역성혁명론과 로크의 근대적 혁명개념
■ 유럽에서의 혁명개념의 부재
■ 극동의 역성혁명론과 로크의 혁명권(저항권) 이론
■ 「미국독립선언문」과 서경「태서」의 리메이크
제3절 섀프츠베리의 시비감각론적 도덕철학
3.1. 섀프츠베리의 친중국 성향과 피에르 벨과의 우정
■ 네덜란드의 중국열광 속에서의 섀프츠베리의 생활과 친교
■ 피에르 벨과의 우정과 사상의 공유
3.2. 최초의 도덕철학 시론(1699)
■ 홉스의 사회계약론에 대한 섀프츠베리의 비판
■ 로크의 도덕철학의 요지
■ 공맹의 도덕철학에 대한 당시 서구철학자들의 지식정보
■ 로크의 도덕철학에 대한 섀프츠베리의 비판
■ 섀프츠베리의 1699년 도덕철학 시론 덕성에 관한 탐구
3.3. 섀프츠베리의 시비감각론(1713)
■ 덕성 또는 공덕에 관한 탐구의 내용분석
■ 덕성 또는 공덕에 관한 탐구의 국제적 영향
■ 위정척사파(맨드빌, 버클리 등)의 반발
3.4. 허치슨의 섀프츠베리 도덕철학의 계승과 방어
■ 허치슨에게서의 도덕감각론의 계승과 발전
■ 섀프츠베리의 방어
제4절 트렝커드 ㆍ 고든과 틴들의 유교적 이신론
4.1. 영국 이신론과 공자숭배의 절정: “예수보다 위대한 공자”
■ 트렝커드와 고든 : ‘예수신앙’을 능가하는 ‘공자숭배’
■ 영국의 유교적 이신론자들과 무신론자들
4.2. 급진적 휘그주의의 요청: ‘영국과 유럽의 전면적 중국화’
■ 트렝커드와 틴들의 극렬구호 : 영국과 유럽을 ‘중국화’하라!
■ 영국 이신론의 유교화
제5절 데이비드 흄의 공자 흠모와 도덕 ㆍ 정치철학
5.1. 데이비드 흄의 공자 흠모와 중국 예찬
■ 흄의 중국 예찬
■ 공자와 유자들의 ‘자유로운 철학적 삶’에 대한 흄의 선망과 동경
5.2. 흄에 대한 중국과 공자철학의 영향과 그 경로
■ 공자철학에 대한 흄의 접근경로
■ 피에르 벨을 통한 경로
5.3. 흄의 공자주의적 도덕철학
■ 도덕감각의 계승 문제
■ 공맹의 인仁사상과 흄의 보편적 인애 개념
5.4. 공자의 무위이치와 흄의 근대 민주주의론
■ 근대민주국가론의 탄생
■ 제임스 매디슨과 방대한 민주국가 미국의 건국
5.5. 중국의 상공업적 번영과 흄의 자유상공업론
■ 유럽의 상업경시 전통과 흄의 중국 상본주의의 수용
■ 중국의 상공업 발달과 흄의 상업론의 연관성
제6절 아담 스미스의 공자철학적 자유시장론과 도덕감정론
6.1. 아담 스미스의 공맹철학과의 조우
■ 직접독서
■ 흄과의 평생 교우관계와 에딘버러 학술모임
■ 프랑스 계몽철학자들과의 만남
6.2. ‘보이지 않는 손’에 대한 공맹ㆍ사마천의 ‘보이지 않은’영향
■ ‘보이지 않는 손’의 두 가지 의미
■ ‘보이지 않는 손’은 서양 전통의 자연법 ㆍ 섭리론에 근거한 것인가?
■ 논쟁 : ‘보이지 않는 손’은 진짜 ‘중국산’인가?
6.3. 세계에서 가장 잘 살았던 18세기 중국
■ 중국에 대한 스미스의 엄정한 평가
6.4. 케네의 ‘자연의 도’와 스미스의 ‘자연적 자유’
■ 케네의 ‘절대적 중농주의’와 ‘완전한 자유’
■ 중국의 중농정책과 스미스의 ‘상대적 중농주의’
■ 스미스의 ‘자연적 자유의 체계’와 자기모순
6.5. 공자철학과 스미스의 공감적 도덕감정론
■ 공맹철학과 스미스의 도덕감정론의 관계
■ 스미스의 정의제일주의와 자가당착
■ 스미스의 직접적 ‘공자 표절’
■ 데이비스의 반론에 대한 검토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