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시민교육의 과제

도서명:다문화 시민교육의 과제
저자/출판사:변종헌 , 김민호 , 염미경 , 황석규 , 권상철 ,/한국문화사
쪽수:342쪽
출판일:2024-06-10
ISBN:9791169192217
목차
책머리에
제1장 다문화 시민교육의 배경 - 염미경
1. 글로벌화와 ‘다문화 사회’ 한국
2.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 다문화 정책과 다문화 교육
가. 문화와 다문화 그리고 다문화 사회
나. 다문화 모델 및 사회통합 정책의 문제점
다. 한국 다문화 정책의 특성과 한계
3. 다문화 담론의 전개와 한국 다문화 정책의 특성
가. 문화적 다원주의, 문화상대주의, 다문화주의 그리고 상호문화주의
나. 한국에서 다문화 담론의 전개 과정과 특성
4. 한국 다문화 교육 실행에 대한 성찰
가. 다문화 교육과 소수자 문제
나. 다문화 교육 정책의 방향
5. 논의와 전망
제2장 다문화 시민교육의 내용 1 - 변종헌
1. 다문화주의와 상호문화주의 시민성
가. 문화의 이해와 다문화 사회
나. 다문화 사회와 다문화주의
다. 다문화주의와 상호문화주의
2. 다문화 사회의 상호문화주의
가. 다문화 사회의 상호문화성
나. 상호문화주의의 적용
제3장 다문화 시민교육의 내용 2 - 권상철
1. 글로컬 시민성
가. 글로벌 그리고 혼성적 시민성
나. 로컬과 지역 기반 시민성
2. 지역 시민성 사례: 생태, 공존의 시민성과 능동적 시민성
가. 해녀문화와 세계시민성
나. 제주 이시돌목장의 사회적 연대 경제
다. 지역 공동체 경제와 시민성 교육
라. 시민성 함양 방안으로써의 커뮤니티매핑
마. 지역 기반 시민교육에서 찾는 다문화 교육
제4장 다문화 시민교육의 방법 - 문현식
1. 교과 기반 다문화 시민교육
가. 1학년: 바른 생활, 즐거운 생활, 슬기로운 생활
나. 2학년: 국어, 바른 생활, 즐거운 생활, 슬기로운 생활
다. 3학년: 도덕, 체육, 사회, 과학
라. 4학년: 도덕, 사회
마. 5학년: 국어, 도덕, 미술, 사회
바. 6학년: 도덕 1, 도덕 2
2. 제주 지역화 교과서 매개 다문화 시민교육
가. 삼성 신화
나. 제주 해녀의 노동
다. 제주의 민요
라. 제주의 속담
마. 제주의 전통적 의식주 생활
바. 제주 토착민
제5장 제주 시민단체 다문화 시민성교육 - 황석규
1. 제주지역 시민단체 다문화 시민성교육 현황
가. 전문적 시민단체
나. 복지적 시민단체
다. 외국인 근로자 대상 시민단체
2. 제주 거주 외국인 변화 추이
가. 제주 거주 외국인 현황
나. 합법적 거주 외국인 현황
다. 국제결혼이민자 현황
라. 외국인 근로자 현황
3. 제주 노동시장 외국인근로자 필요성
가. 1차산업
나. 2차산업
다. 3차산업
4. 제주 시민단체 다문화 시민성교육 변화 모색
가. 다문화 시민성교육
나. 제주 다문화 시민성교육
다. 다문화 시민성교육 프로그램과 시민단체의 역할
5. 결론 및 제언
제6장 한국 다문화 교육의 역사와 다문화 시민교육의 과제 - 김민호
1. 한국 다문화 교육의 역사와 현황
가. 한국 다문화 교육의 맥락
나. 한국 다문화 교육 정책의 전개
다. 다문화주의 중심 교육정책의 한계
2. 한국 다문화 시민교육의 과제
가. 다문화 시민성의 의미
나. 다문화 시민성 확장 및 혼성의 시민성(hybrid citizenship) 탐색
3. 한국 다문화 시민교육의 사례 검토
가. 초등학교 도덕과 교과서에 나타난 상호문화교육의 의의와 한계
나. 제주 지역사회 기반 글로컬 시민성 학습 사례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