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 조종사 비행이론 총정리

도서명:항공기 조종사 비행이론 총정리
저자/출판사:강남규/보민출판사
쪽수:516쪽
출판일:2024-10-08
ISBN:9791169572170
목차
추천사 (1)
추천사 (2)
머리말
Part 0. 조종사가 되기 위한 과정과 조건
0.1. 조종사가 되기 위해 갖추어야 하는 자격과 면허
0.2. 항공기 자격증의 종류와 업무범위
0.3. 항공기의 종류, 등급, 형식
Part 1. 비행이론(Flight theory)
1.1. 항공기가 하늘을 나는 원리
1.1.1. 대기의 구성, 구조, 특성
1.1.1.1. 대기의 구성
1.1.1.2. 대기의 구조
1.1.1.3. 대기의 특성
1.1.2. 공기 밀도의 변화요인 3가지
1.1.2.1. 압력(Pressure)
1.1.2.2. 온도(Temperature)
1.1.2.3. 습도(Humidity)
1.1.3. 공기 밀도와 항공기 성능과의 관계
1.1.3.1. 동력(Power)과 밀도와의 관계
1.1.3.2. 추력(Thrust)과 밀도와의 관계
1.1.3.3. 양력(Lift)과 밀도와의 관계
1.1.4. 날개의 형상과 양력 발생의 원리
1.1.4.1. 뉴턴의 운동법칙(Newton’s Laws of Motion)
1.1.4.2. 베르누이 정리(Bernoulli’s Principle)
1.1.4.3. 에어포일 이론(Airfoil Theory)
1.2. 항공기의 구조
1.2.1. 항공기의 주요 구성
1.2.1.1. 동체(Fuselage)의 형태 및 구조
1.2.1.2. 날개(Wing) 형태 및 구조
1.2.1.3. 꼬리날개(Ampennage) 형태 및 구조
1.2.1.4. 이착륙 장치(Landing gear) 형태 및 구조
1.2.1.5. 동력장치(Power plant) 형태 및 구조
1.2.2. 항공기의 조종장치
1.2.2.1. 1차 조종면(Primary flight control), 또는 주 조종면
1.2.2.2. 2차 조종면(Secondary flight control), 또는 부 조종면
1.2.3. 항공기의 시스템
1.2.3.1. 항공기 엔진의 종류
1.2.3.2. 왕복엔진의 구성
1.2.3.3. 왕복엔진의 4행정
1.2.3.4. 왕복엔진의 흡기계통
1.2.3.5. 왕복엔진의 점화 시스템
1.2.3.6. 왕복엔진의 연료 시스템(Fuel system)
1.2.3.7. 왕복엔진의 오일 시스템(Oil system)
1.2.3.8. 왕복엔진의 냉각 시스템(Engine Cooling system)
1.2.3.9. 왕복엔진의 배기 시스템(Exhaust system)
1.2.3.10. 왕복엔진의 난방 시스템(Heating system)
1.2.3.11. 공기조화 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
1.2.3.12. 유압계통(Hydraulic system)
1.2.3.13. 방빙(Anti-icing), 제빙(De-icing)
1.2.3.14. 왕복엔진의 전기 시스템(Electric system)
1.2.3.15. 프로펠러(Propeller)
1.2.4. 비행 계기
1.2.4.1. 이용 목적에 따른 분류
1.2.4.2. 작동원리에 따른 분류
1.3. 비행원리와 항공역학
1.3.1. 항공기에 작용하는 4가지 힘
1.3.1.1. 추력(Thrust)
1.3.1.2. 항력(Drag)
1.3.1.3. 양력(Lift)
1.3.1.4. 무게(Weight)
1.3.2. 날개 끝 와류
1.3.3. 지면 효과
1.3.4. 항공기의 안정성
1.3.4.1. 정적 안정성과 동적 안정성
1.3.4.2. 세로 안정성, 가로 안정성, 방향 안정성
1.3.4.3. 그 외 항공기 안정성을 위한 디자인
1.3.4.4. 안정성과 관련된 특이한 비행현상
1.3.5. 항공기 기동과 역학적 힘
1.3.5.1. 상승 중에 작용하는 힘
1.3.5.2. 선회 중에 작용하는 힘
1.3.5.3. 강하 중에 작용하는 힘
1.3.5.4. 실속(Stall)
1.3.5.5. Left turning tendency
1.3.5.6. 하중계수(Load factor)
Part 2. 비행 운용
2.1. 비행 안전
2.1.1. 충돌 회피
2.1.1.1. Visual scanning
2.1.1.2. Right of way rules
2.1.1.3. 최저안전고도(Minimum safe altitude, MSA)
2.1.1.4. Wire strike avoidance
2.1.1.5. Taxiing in wind
2.1.1.6. Positive exchange of flight control
2.2. 공항시설
2.2.1. Runway layout
2.2.2. Traffic pattern
2.2.3. Airport visual aids
2.2.3.1. Runway markings
2.2.3.2. Taxiway markings
2.2.3.3. Ramp area(Apron)
2.2.3.4. Airport sign
2.2.4. Airport light
2.2.4.1. Beacon lights
2.2.4.2. Glideslope indicator
2.2.4.3. Runway lights
2.2.4.4. Taxiway lights
2.2.4.5. Approach lights
2.2.4.6. Pilot controlled lights
2.2.4.7. Obstruction lights
2.2.5. Runway incursion avoidance
2.3. 항공지도
2.3.1. 경도, 위도, 적도, 대권, 소권, 자오선, 본초자오선, 대권항로, 항정선 항로
2.3.2. 항공 차트
2.3.2.1. 투영법(Projection)
2.3.2.2. Sectional charts
2.4. 공역
2.4.1. Class A airspace
2.4.2. Class B airspace
2.4.3. Class C airspace
2.4.4. Class D airspace
2.4.5. Class E airspace
2.4.6. Class G airspace
2.4.7. Airspace 손가락 암기법
2.4.8. 공역별 VFR Weather minimum
2.4.9. Airspace 총정리
Part 3. 항법
3.1. 재래식 항법
3.1.1. 지문항법
3.1.2. 추측항법
3.1.3. VFR Cruising altitude
3.1.4. VFR Fuel requirements
3.2. VOR Navigation
3.2.1. Frequency
3.2.2. HF, VHF, UHF
3.2.3. VOR이란?
3.2.3.1. VOR ground equipment
3.2.3.2. VOR airborne equipment
3.2.3.3. VOR navigation procedure
3.2.3.4. VOR error
3.2.3.5. Checking VOR accuracy
3.2.3.6. HSI(Horizontal situation indicator)
3.2.3.7. VOR 연습문제
3.3. ADF Navigation
3.2.1. ADF란?
3.3.1.1. ADF ground equipment(NDB)
3.3.1.2. ADF airborne equipment
3.3.1.3. ADF navigation procedure
3.3.1.4. ADF limitations
3.3.1.5. Movable card indicator
3.3.1.6. RMI(Radio magnetic indicator)
3.4. Flight planning 처음부터 끝까지
Part 4. 항공 기상
4.1. 기상 일반
4.1.1. 지구의 대기
4.1.1.1. 대기의 조성(Composition)
4.1.1.2. 대기의 연직 구조
4.1.2. 열과 온도
4.1.2.1. 온도의 종류
4.1.2.2. 온도의 변환
4.1.2.3. 열 전달
4.1.2.4. 비열(Thermal response)
4.1.3. 수증기
4.1.3.1. 물의 순환
4.1.3.2. 물의 상태 변화
4.1.3.3. 상대습도(Relative humidity)
4.1.3.4. 이슬점(Dew point)
4.1.3.5. 온도와 이슬점 간격(Temperature-dew point spread)
4.1.4. 지구 대기의 열적 불균형
4.1.4.1. 지구 대기의 에너지 균형
4.1.4.2. 지구 표면과 대기 사이의 열적 불균형
4.1.4.3. 위도 변화에 따른 열적 불균형
4.1.4.4. 계절의 변화
4.1.4.5. 주 ㆍ 야 온도의 일변화
4.2. 항공 기상
4.2.1. 대기압과 고도
4.2.1.1. 대기압
4.2.1.2. 기압의 변화
4.2.1.3. 밀도의 변화
4.2.2. 바람
4.2.2.1. 풍향
4.2.2.2. 고기압과 저기압
4.2.2.3. 바람에 작용하는 3가지 힘
4.2.2.4. 지상풍, 상층풍, 지균풍
4.2.3. 대기의 순환과 제트기류
4.2.3.1. 회전 지구 순환계(Rotating earth circulation system)
4.2.3.2. 제트기류(Jet stream)
4.2.4. 국지풍
4.2.4.1. 해풍(Sea breeze)
4.2.4.2. 육풍(Land breeze)
4.2.4.3. 호수풍(Lake breeze)
4.2.4.4. 계곡풍(Valley breeze)
4.2.4.5. 산풍(Mountain breeze)
4.2.5. 기단, 전선, 저기압 파동모형, 건조선
4.2.5.1. 기단(Air mass)
4.2.5.2. 전선(Front)
4.2.5.3. 저기압 파동모형(Wave cyclone model)
4.2.5.4. 건조선(Dry line)
4.2.5.5. 그 외 전선
4.2.6. 고도에 따른 온도 변화와 구름 형성
4.2.6.1. 단열 감소율(Adiabatic lapse rate)
4.2.6.2. 연직 운동과 구름의 형성
4.2.6.3. 대기 안정도(완전 안정, 완전 불안정, 조건 불안정)
4.2.7. 구름
4.2.7.1. 적난운(CB, Cumulonimbus)
4.2.7.2. 적운(CU, Cumulus), 타워형 적운(TCu, Towering Cumulus)
4.2.7.3. 층운(Stratus)
4.2.7.4. 층적운(Stratocumulus)
4.2.7.5. 난층운(Nimbostratus)
4.2.7.6. 고층운(Altostratus)
4.2.7.7. 고적운(Altocumulus)
4.2.7.8. 권적운(Cirrocumulus)
4.2.7.9. 권운(Cirrus)
4.2.7.10. 권층운(Cirrostratus)
4.2.7.11. 그 외, 렌즈구름(Lenticular cloud)과 두루마리구름(Rotor cloud)
4.2.8. 강수
4.2.8.1. 강수 형성을 위한 필요 성분
4.2.8.2. 강수의 성장(발달) 과정
4.2.8.3. 강수의 형태
4.2.9. 시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2.9.1. 안개(Fog)
4.2.9.2. 박무(Mist)
4.2.9.3. 연무(Haze)
4.2.9.4. 연기(Smoke)
4.2.9.5. 강수(Precipitation)
4.2.9.6. 먼지폭풍(Dust storm), 모래폭풍(Sand storm)
4.2.9.7. 화산재(Volcanic ash)
4.2.10. 난기류
4.2.10.1. 대류성 난기류(Convective turbulence)
4.2.10.2. 기계적 난기류(Mechanical turbulence)
4.2.10.3. 산악파(Mountain wave)
4.2.10.4. 윈드시어 난기류(Windshear turbulence)
4.2.10.5. 항공기에 의한 난기류(Wake turbulence, Wing tip vortices)
4.2.11. 착빙
4.2.11.1. 과냉각수(Supercooled water droplet)
4.2.11.2. 구조 착빙(Structural icing)의 종류
4.2.11.3. 착빙과 양력계수
4.2.11.4. 전선에서 착빙이 생기는 조건
4.2.11.5. 산악에서 착빙이 생기는 조건
4.2.12. 뇌우
4.2.12.1. 뇌우의 형성조건
4.2.12.2. 뇌우의 일생(발달-성숙-소멸)
4.2.12.3. 뇌우의 종류와 이동
4.2.12.4. 뇌우의 위험 요소 7가지
4.2.13. 열대성 저기압
4.3. 항공 기상정보
4.3.1. METAR
4.3.2. TAF
4.3.3. Winds aloft
4.3.4. AIRMET
4.3.5. SIGM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