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해커스공무원 이준모 행정학 기본서 (9급ㆍ7급 공무원)

도서명:2024 해커스공무원 이준모 행정학 기본서 (9급ㆍ7급 공무원)
저자/출판사:이준모/해커스공무원
쪽수:604쪽
출판일:2023-07-07
ISBN:9791169993470
목차
PART 1 행정학 총론
CHAPTER 1 행정의 의의
1 행정(administration)의 개념 12
2 행정학적 행정개념 14
3 정치화 행정 18
4 행정과 경영 20
5 행정의 변수 23
6 행정의 과정 24
CHAPTER 2 현대행정의 이해
1 국가의 변천 26
2 정부의 기능 30
3 시장실패(market failure)와 대응책 32
4 정부실패(government failure)와 대응책 34
5 감축관리 - 작은 정부론 36
6 재화의 유형(E. Savas) 38
7 정부규제 40
CHAPTER 3 공공서비스 공급주체
1 공공서비스 47
2 정부 부문 49
3 책임운영기관(executive agency) 50
4 제3섹터 52
5 공기업(public enterprise) 54
6 민간화(privatization) 56
7 비정부조직(NGO) 62
CHAPTER 4 행정학의 접근방법
1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68
2 전통적 접근방법 71
3 행태론적 접근방법(behavioral approach) 73
4 생태론적 접근방법(ecological approach) 76
5 체제론적 접근방법(systems approach) 79
6 현상학적 접근방법(phenomenological approach) 83
7 공공선택적 접근방법 84
8 신제도적 접근방법 88
CHAPTER 5 행정학의 주요 이론
1 행정학의 전개 과정 93
2 비교행정론 95
3 발전행정론 97
4 신행정론(New public administration) 98
5 신공공관리론 101
6 탈신공공관리론 104
7 뉴거버넌스 - 신국정관리론 105
8 거버넌스의 다양한 모형 107
9 신공공서비스론 108
10 포스트모더니즘 112
CHAPTER 6 행정이 추구하는 가치
1 행정이념의 개관 114
2 행정철학 115
3 공익 117
4 정의(justice) 118
5 사회적 형평성 121
6 능률성과 민주성 123
7 효과성과 생산성 124
8 신뢰성과 투명성 125
9 합리성과 가외성 128
PART 2 정책학
CHAPTER 1 정책학의 의의
1 정책학 개관 134
2 정책의 의의 137
3 정책의 과정 139
CHAPTER 2 정책과정의 주도자
1 다원론과 엘리트론 141
2 정책의 유형 146
3 정책네트워크 150
CHAPTER 3 정책의제론
1 정책의제설정의 의의 156
2 정책의제설정모형 158
3 정책문제정의 161
CHAPTER 4 정책결정론
1 정책결정의 의의 165
2 정책의 목표 167
3 정책의 대****- 정책수단 169
4 정책결과의 예측 171
5 불확실성과 의사결정 175
CHAPTER 5 정책분석론
1 분석의 의의 178
2 주요 분석기법 180
CHAPTER 6 정책결정모형
1 모형의 구분 185
2 주요 모형 187
CHAPTER 7 정책집행론
1 정책집행의 의의 202
2 정책집행의 접근방법 204
3 정책변동 212
4 성공적 정책집행 215
5 순응과 불응 217
CHAPTER 8 정책평가론
1 정책평가의 의의 219
2 정책평가의 유형 220
3 정책평가의 요소 225
4 타당성의 저해 요인 228
5 정책평가의 방법 - 사회실험 230
CHAPTER 9 기획론
1 기획의 의의 233
2 기획의 유형 235
PART 3 조직이론
CHAPTER 1 조직이론의 기초
1 조직의 의의 240
2 조직이론의 전개 244
3 거시조직이론 247
CHAPTER 2 조직의 유형
1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 253
2 위원회 조직 254
3 계선(line)과 막료(staff) 255
CHAPTER 3 조직구조론
1 조직구조의 의의 258
2 조직구조의 변수 263
3 기술의 유형 269
4 조직구조의 유형 273
CHAPTER 4 관료제와 탈관료제
1 관료제 279
2 탈관료제 282
CHAPTER 5 개인수준의 조직행동
1 인간관과 관리전략 289
2 동기부여이론 293
CHAPTER 6 집단수준의 조직행동
1 의사전달 305
2 갈등 308
3 권위(authority) 313
4 리더십 315
CHAPTER 7 조직수준의 조직행동
1 조직문화 326
2 조직의 효과성 329
CHAPTER 8 조직혁신론
1 조직혁신의 의의 333
2 과학적 관리법 335
3 인간관계론 337
4 목표관리(MBO) 340
5 조직발전(OD) 342
6 총체적품질관리(TQM) 344
CHAPTER 9 정보체계론
1 지식정보사회의 의의 347
2 전자정부 349
3 지식관리와 학습조직 352
PART 4 인사행정
CHAPTER 1 인사행정의 기초
1 인사행정의 의의 360
2 직업공무원제 361
3 엽관주의 363
4 실적주의 365
5 중앙인사기관 368
6 적극적 인사행정 370
7 대표관료제 372
8 다양성관리 374
CHAPTER 2 공직의 분류
1 경력직 · 특수경력직 376
2 계급제와 직위분류제 379
3 폐쇄형과 개방형 385
4 고위공무원단 387
CHAPTER 3 임용
1 인력계획과 인적자원관리(HRM) 390
2 임용 392
3 신규채용 393
CHAPTER 4 능력발전
1 교육훈련 397
2 근무성적평정 400
3 경력평정 406
4 승진 408
5 배치전환 410
CHAPTER 5 사기앙양
1 사기 412
2 고충처리와 제안제도 413
3 보수 414
4 연금 417
5 신분보장 419
6 공무원단체 424
CHAPTER 6 공무원의 행동규범
1 정치적 중립 426
2 공직윤리 427
3 공직부패 431
PART 5 재무행정
CHAPTER 1 재무행정의 기초
1 정부재정 436
2 재무행정조직 438
3 예산의 의의 439
4 예산의 유형 443
5 정부기금 446
6 통합재정(통합예산) 448
7 예산의 분류 451
CHAPTER 2 예산제도론
1 자본예산 455
2 조세지출예산제도 456
CHAPTER 3 예산결정이론
1 예산의 원칙 458
2 예산결정이론의 유형 - 정치논리와 경제논리 461
3 예산결정의 새로운 규범 465
CHAPTER 4 예산과정론
1 예산과정의 기초 469
2 예산의 편성 470
3 예산의 심의 473
4 예산의 집행 476
5 결산 및 회계검사 486
6 회계검사의 기법 489
7 조달(구매)행정 493
CHAPTER 5 예산개혁론
1 품목별예산(LIBS) 495
2 성과주의예산(PBS) 497
3 계획예산(PPBS) 499
4 영기준예산(ZBB) 502
5 신성과주의예산(NPB) 507
6 최근의 재정개혁 510
PART 6 행정환류
CHAPTER 1 행정책임 516
CHAPTER 2 행정통제 519
CHAPTER 3 행정개혁 522
PART 7 지방행정
CHAPTER 1 지방자치의 기초이론
1 지방행정의 의의 528
2 지방자치 529
3 중앙집권과 지방분권 537
4 신중앙집권 539
5 신지방분권 540
6 광역행정 542
7 중앙통제 546
8 특별지방행정기관 - 일선기관 550
CHAPTER 2 정부 간 관계
1 지역사회의 권력구조 553
2 정부 간 관계론 555
3 분쟁과 조정 557
CHAPTER 3 지방자치의 의의
1 자치권 559
2 지방자치단체 562
CHAPTER 4 지방자치의 구조
1 지방자치단체의 계층 565
2 지방자치단체의 구역 566
3 지방자치단체의 기관 569
4 지방자치단체의 사무 575
5 주민참여 580
CHAPTER 5 지방재정
1 지방재정의 의의 588
2 지방재원의 유형 591
3 지방재원의 조정 595
4 지방행정의 경영화 - 지방공기업 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