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의 대한제국 1897~1910

도서명:그들의 대한제국 1897~1910
저자/출판사:김태웅/휴머니스트
쪽수:928쪽
출판일:2024-12-02
ISBN:9791170872658
목차
책을 펴내며 / 5인의 이력과 기록물
제1부 아관파천에서 대한제국 수립까지
1. 단발령의 여파와 아관파천
단발령, 조선을 분노케 하다 | 의병 봉기와 러시아 공사관의 움직임 | 아관파천, 어떻게 가능했나 | 아관파천에 대한 여러 평가 | “도적 떼와 다름없는 을미의병” | 친러 세력을 견제하라 | 열강의 이권 쟁탈이 시작되다
2. 고종의 환궁과 명성왕후 국장
고종, 환궁 계획을 세우다 | 명성왕후 국장 준비로 왕권 회복을 꾀하다 | 국장을 둘러싼 비판과 대응 | 환궁, 그러나 구미 열강에 넘어간 이권
3. 대한제국 수립으로 가는 길
《독립신문》 창간과 독립협회 결성 | 불리해지는 국제 정세 | 잇따른 재해에도 희망의 싹이 보이다 | 고종, 대한제국 황제가 되다
제2부 대한제국 수립 이후부터 만민공동회 해산까지
1. 광무정권과 독립협회의 노선 갈등
고종의 측근들을 적대시하는 윤치호 | 대한제국의 도시개조사업 | 정부와 독립협회의 갈등 | 커지는 러시아의 영향력 | 갑신개화파의 뒷모습과 윤치호의 딜레마 | 마침내 갈라서는 정부와 독립협회 | 열강 사이에서 이권을 챙기는 인사들
2. 광무정권과 만민공동회의 충돌
정부와 만민공동회의 힘겨루기 | 서재필 출국을 둘러싼 갈등 | 이른바 탕평 정국으로 | 독립협회의 분화와 만민공동회의 도전 | 정부와 독립협회, 타협의 기로에서 | 연좌제와 노륙법의 부활 | 극적 타협점, ‘헌의 6조’ | 타협이 다시 물거품의 위기로
3. 정국의 파탄
독립협회의 분열과 소용돌이치는 정국 | 만민공동회와 황국협회의 충돌 | 높아지는 불신의 장벽 | 또 하나의 분기점, 김덕구 장례 | 근왕 세력의 반격 | 만민공동회의 도전과 내분 | 고종의 최후통첩과 만민공동회 강제 해산
제3부 만민공동회 해산 이후부터 러일전쟁 전야까지
1. 불안한 정국
제국의 불안한 재기 | 윤치호의 평온치 않은 원산 살이 | 천주교의 적극적 선교와 교****| 재판에 집요하게 관여하는 뮈텔 | 식산흥업과 도시개조사업의 빛과 그늘
2. 주권국가로 가는 험난한 길
대한제국 헌법의 탄생 | 불안한 정국과 보복의 악순환 | 중국 의화단운동의 불똥 | 본격적인 도시개조사업
3. 재난과 전쟁의 암운
지방관의 수탈과 일본 상인의 농간 | 제주 민란이 일어나다 | 재난과 민란이 정국을 흔들다 | 한 교사에게서 희망의 싹을 보다 | 계속되는 뮈텔의 정치적 행보 | 콜레라가 창궐하다 | 이용익을 둘러싼 논란 | 나날이 쪼그라드는 천주교 교세 | 용암포 사건과 러일전쟁 전야
제4부 러일전쟁 발발에서 을사늑약 체결까지
1. 인천 앞바다에서 러일전쟁이 발발하다
누가 전쟁을 일으켰는가 | 러일전쟁의 진짜 피해자
2. 러일전쟁의 후폭풍과 일본군의 침탈
이용익 압송 사건과 한일의정서 체결 | 이토 히로부미의 등장과 경운궁 화재 | 일본의 황무지 개간권 탈취 시도와 반대 운동 | 일본의 철도 역부 징발
3. 고문정치와 전쟁의 귀결
고문정치가 시작되다 | 일진회의 탄생과 성장 | 최익현의 상소 투쟁 | 일본의 승리와 포츠머스 조약 | 미국 대통령 딸의 한국 방문
4. 을사늑약을 둘러싼 저항과 탄압
보호국화 저지 운동 | 을사늑약이 새벽 1시 30분에 체결되다 | 을사늑약 무효 투쟁 | 잇따른 순절 | 고종의 국권 수호 운동 | 을사늑약에 대한 각계의 반응
제5부 이용익 저격 사건에서 군대 해산까지
1. 제국의 황혼
이용익 저격의 미스터리 | 손병희의 입국 | 고종의 왼팔을 자르는 일진회 | 국채보상운동으로 새해를 열다
2. 국권 수호 운동이 좌절되다
의병을 일으키고 친일파를 응징하다 | 을사 5적 처단 운동 | 헤이그 특사 사건 | 고종의 강제 퇴위 | 정미조약 체결 | 일제가 한국군을 해산하다
제6부 의병전쟁에서 강제 병합까지
1. 침략자의 야만과 민중의 갈림길
친일파의 추문과 탐욕 | 의병전쟁과 일본군의 만행 | 의병과 일본군 사이에서 | 호남 의병과 남한대토벌작전
2. 안중근이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하다
의열의 시대가 열리다 | 안중근의 이토 저격 | 요란한 조문 정국과 뮈텔의 안중근 부정 | 안중근의 재판 투쟁 | 이완용의 가슴을 찌른 이재명
3. 일제의 수탈과 문화 침략
일제의 황실 비자금 문서 탈취 | 일제의 수탈과 민중의 경제 투쟁 | 일제의 문화 침략
4. 병합으로 가는 길
사법권과 경찰권마저 일제의 손에 | 일진회와 이완용의 친일 대결 | 그래도 새벽은 온다
이미지 출처 및 소장처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