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훈구

도서명:이훈구
저자/출판사:유경순/나름북스
쪽수:478쪽
출판일:2023-09-05
ISBN:9791186036792
목차
발간사
들어가는 글
1장 기억하고 싶지 않은 어린 시절
1. 용두동과 상계동에서의 성장 과정
2. 어려운 집안의 ‘귀한 아들’
3. 아주대 공대 입학
2장 아주대 탈춤반 활동과 기청연합팀 활동
1. 아주대 탈춤반 참여
1) 탈춤반 활동
2) 학습과 의식의 전환
3) 1979년 10월 첫 탈춤 공연
4) 1979년 10ㆍ6 사태
2. 기청연합팀: ‘진영’ 활동
1) 1980년 광주민중항쟁 이후 새문안교회 연좌 농성
2) 민주노조에 탈춤반을 만들다
[내가 만난 이훈구] 민경서, 유영란
3장 노동현장 투신과 인천지역 정치서클 활동
1. 노동현장으로의 존재 이전 준비
2. 인천지역의 정치서클 활동
1) 인천지역 정치서클의 형성 과정
2) 「113」문건 작성과 다른 지역 제파PD 그룹의 반응
3) 인천 조직 내부의 분열과 활동 정리
3. 1980년대 활동에 관한 문제의식
4장 운동의 새로운 모색과 휴지기
1. 마산창원지역 현장운동의 시도
2. 전노협 백서 작업 참여와 운동의 단절 시기
5장 노동자의 힘
1. ‘노동자의 힘’ 결성
2. 조직위원장의 활동 1: 투쟁 활동
1) 2001년 대우자동차 노동자들의 구조조정 저지 투쟁
2) 근골격계 투쟁: 노동강도 강화 저지 투쟁
3) 2002~2003년 ‘에바다 비리 재단 퇴진과 정상화’를 위한 투쟁
3. 조직위원장의 활동 2: 조직사업
4. ‘노동자의 힘’ 상근자인 이훈구
1) 상근자들의 활동 조건과 관계
2) 이훈구의 조직 중심성
5. 2003년 11월 9일 전국노동자대회
1) 투쟁의 준비 과정
2) 전국노동자대회, 마지막 폭력투쟁
3) 구속, 수배, 도피 생활
4) 투쟁에 대한 문제의식
6. ‘노동자의 힘’ 활동에 대한 문제의식과 탈퇴
[내가 만난 이훈구] 박성인, 김재광, 전주희
6장 결혼생활과 이훈구
1. 연애와 결혼
2. 인천에서의 결혼생활
3. 수유스낵 운영과 다시 현장으로
4. 생활경제의 의존성
5. 별거 그리고 이혼
6. 부부관계에서의 이훈구, 가부장적인 남성
7. 감정, 부부관계에 관해 새로이 주목하는 이훈구
7장 노동안전보건운동
1절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의 창립과 활동 방향
1. 노동운동에 대한 문제의식과 노동안전보건운동의 참여 계기
2.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의 결성
3. 한노보연의 활동 방향: 현장성ㆍ전문성ㆍ계급성
4. 한노보연 결성 초기 상황: 소장과 사무처장의 도피
2절 한노보연 운영과 문제의식
1. 2004년 ‘교대제’ 현장세미나와 현장 프로젝트 사고
2. 2005년 한노보연 운영 체계의 정비
1) 집단지도 체계로의 운영 체계 전환
2) 2005년 ‘상근자 파동’과 연구소 재정 문제
3) 한노보연 상근자들의 일상 활동
3. 2006년 ‘4대 실천 의제’ 설정과 노동자계급 주체 형성의 문제
4. 2007년 ‘4대 실천 의제’와 네 가지 과제
5. 2009년, 반자본주의 노동안전보건운동과 ‘1회원 1과제 실현’
1) 경제 위기와 ‘노동시간 단축 및 생활임금 쟁취’ 주장
2) ‘1회원 1과제 실현’: 회원을 주체로, 회원들의 ‘필요’에 기초한 운동
6. 2011년 ‘중장기 전망모임’
7. 2013년 사회화 방****모색과 2018년 ‘열린 조직’의 지향
[내가 만난 이훈구] 김정수, 공유정옥, 손진우
3절 현장 프로젝트
1. 초기 근골격계 투쟁
1) 대우조선 집단 요양 투쟁과 근골격계 문제의 사회화
2) 신자유주의에 맞선 노동운동으로서 근골격계 투쟁이 가능했던 이유와 의미
2. 현장 프로젝트의 방향과 개별화된 노동자들
1) 현장 프로젝트 방향: 노동자를 주체로
2) 총자본의 대응과 개별화된 노동자들
3. 현대자동차 노조 프로젝트
1) 2004년 주간연속 2교대제 연구
2) 2005년 현대자동차 노동강도 평가와 대****마련 연구
4. 두원정공 노조 프로젝트
1) 근골격계 프로젝트
2) 주간연속 2교대와 ‘3무 원칙’
5. 사례 확산을 위한 실천 방향 찾기
1) 2008~09년 다양한 업종의 사업장 프로젝트와 현장 프로젝트의 방향 모색
2) 2016년 실천 사례를 만드는 새로운 모색
[내가 만난 이훈구] 권영국, 이기만
4절 지역 활동
1. 부산연구소에서 부산사무소로의 변화
2. 경기지역 사무실 개설과 지역 연대 활동
1) 경기지역 연대 활동의 의미
2) 수원 촛불과 수원지역 운동포럼
3. 충남노동건강인권센터 새움터의 결성
1) 2014년 동희오토 산재 인정 투쟁의 결합
2) ‘행복한 서산을 꿈꾸는 노동자 모임’과 노동자 건강권 모임
3) 충남노동건강인권센터 새움터의 결성
[내가 만난 이훈구] 이숙견, 최진일
5절 연대 활동
1. 한노보연의 공동투쟁·공동활동 모색과 실천
1) 의제에 따른 전국 공동투쟁의 시도
2) 2006년 노동안전네트워크 구성과 활동
3) 2011년 노동자 건강권 실현을 위한 공동행동(준)과 2013년 이후 노동안전보건 단체 간담회
4) 최근 연대운동 방식에 대한 문제의식
2. 하이텍알씨디코리아 투쟁과 공동대책위원회: 공동논의, 공동실천, 공동책임의 모범
3. 반올림 투쟁: 노동안전보건운동의 새로운 전형 만들기
1) 반도체 노동자의 건강과 인권 지킴이 ‘반올림’ 활동
2) 반올림의 큰 그림을 그리며, ‘신명’ 나게 투쟁하는 이훈구
3) 정세 속에서 투쟁 방향을 찾도록 이끈 이훈구
[내가 만난 이훈구] 이종란
8장 이훈구의 돌아보기: “삶을 사는 사람들의 운동”을 꿈꾸며
1. 처음 맞은 안식년, 그리고 개인의 특성
1) 안식년 보내기: 경전 읽기와 연찬 프로그램
2) 싫어하는 것과 좋아하는 것
3) 혁명가의 꿈과 아쉬움으로 남은 것
2. 노동안전보건운동에 관한 소회
1) 20여 년, 가장 많이 변한 것과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
2) 현장 중심성에 대한 평가
3) 다양한 운동과의 교류와 섞임, 그리고 다수화 전략
4) ‘계급성·전문성·현장성’을 새롭게 쓸 필요
5) 향후 노동안전보건운동에서 주목해야 할 것
3. 하고 싶었던 일, 했으면 하는 일
4. 활동의 개인적 의미
1) 활동의 동력
2) 한노보연 활동의 개인적 의미
3) 한노보연에서의 이훈구
5. 운동의 삶으로의 확장, 삶을 사는 사람들의 운동
이훈구 연혁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