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프로세스, 관계: 감사란 무엇인가

도서명:사람, 프로세스, 관계: 감사란 무엇인가
저자/출판사:전광춘 , 임보영 , 유석균 , 강민아/아모르문디
쪽수:288쪽
출판일:2024-07-26
ISBN:9791191040395
목차
머리말
이 책을 읽는 방법
1장 감사란 무엇인가? 막막함 그리고 나
1. 이 책의 독자는 누구일까?
2. 공공감사를 바라보는 2가지 프레임
3. 감사인과 감사기구는 무엇으로 버틸까?
4. 이 책은 결국 무엇을 말하려는 것일까?
2장 이해관계자, 감사기구를 비추는 거울
1. ‘이해관계자’는 왜 중요할까?
2. 어떤 이해관계자들이 있는가?
3. 국민 : 감사인 잠재의식 속의 눈, 판단의 원점
4. 의회 : 감사기구에 대한 권력자이자 후원자
5. 대상기관 : 감사기구와 긴장관계, 하지만 같은 목표
6. 언론 : 감사 발전의 계기이자 커뮤니케이션 대상
7. 전문가그룹 : 부담스럽지만 가까이해야 할 파트너
8. 요약 : 이해관계자에 관한 물음은 곧 ‘감사란 무엇이냐’는 물음
3장 사람, 프로세스, 관계
1. 감사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2. ‘좋은 감사’에 관한 물음은 곧 ‘사람-프로세스-관계’에 관한 물음
3. 공공감사의 ‘3요소 모델’
4. ‘3요소 모델’을 통한 이슈 전개
4장 좋은 감사는 좋은 ‘사람’이 한다
1. 왜 ‘사람’이 문제인가?
2. 인사관리, 인적자본 관리, 인적자원 관리
3. 인적자원 ‘구성’과 ‘관리’
4. 인적자원 ‘구성’
5. 인적자원 ‘관리’
6. 인적자원 확충, 역량 강화 모델
7. 요약 : 사람에 관한 물음은 곧 ‘나는 좋은 감사인이냐’는 물음
5장 좋은 감사는 좋은 ‘프로세스’다
1. 공공감사 ‘프로세스’의 얼개
2. 감사계획 수립 또는 감사사항 선정
3. 감사설계 ㆍ 감사준비
4. 현장감사 실시
5. 감사결과 보고 및 처리
6. 사후관리
7. 총체적 감사품질 관리
8. 요약 : ‘프로세스’는 운영과 개선을 위한 기본도구
6장 좋은 감사는 ‘관계’ 속에서 발전한다
1. 감사기구의 ‘공간’과 ‘시간’
2. 공간 : 감사기구의 안과 밖
3. 시간 : 감사기구의 현재와 미래
4. 공공감사의 3요소와 지향점
5. 다시 ‘건강한 판단, 지식의 축적, 성숙한 인격’을 위하여
7장 공공감사의 현재와 미래
1. 공공감사란 무엇이고 왜 필요한가?
2. 공공감사의 ‘정체성’
3. 관료제와 감사
4. 감사와 정부혁신
5. 공공감사의 미래, 존재의의
맺음말 : 좋은 감사를 위하여
1. ‘감사인’이란 어떤 존재인가?
2. 감사의 ‘철학’을 묻다
3. ‘의무’로서의 감사, 새로 시작하는 감사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