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도 새로움

도서명:김홍도 새로움
저자/출판사:정병모/다할미디어
쪽수:536쪽
출판일:2024-01-25
ISBN:9791191656282
목차
프롤로그 왜 새로움인가?
뒷모습에 담긴 진실|조선 회화의 패러다임을 바꾸다|정신이 법도 가운데서 훨훨 날아다니는 경지
∥1부 천재화가 김홍도∥
1. 강세황을 보면, 김홍도가 보인다
안산에서 강세황에게 그림을 배우다|스승과 제자의 아름다운 관계
2. 유례없는 화가들의 풍류 그림
김홍도의 첫 그림|아집의 원래 의미|화가들의 면면
3. 궁중화원으로 입문하다
영조의 망팔을 기념하는 잔치|김홍도 초기 궁중기록화, 〈경현당수작연도〉
∥2부 김홍도 풍속화의 혁신적인 변화∥
4. 천부적인 스토리텔러, 김홍도
손뼉을 치며 신기하다고 부르짖다|김홍도의 풍속화는 복선을 읽어야 한다|길쌈을 두고 벌어진 고부간 갈등|
김홍도 풍속화의 자유와 평등
5. 안산의 추억이 담긴 풍속화들
엄마의 따뜻한 손길|임금님 밥상에 오른 안산의 밴댕이
6. 성호 이익의 개혁사상과 김홍도의 풍속화
김홍도 아이, 강세황 아저씨, 이익 할아버지|성호 이익과 교유한 강세황|풍속화와 실학사상|
지방관리의 부조리|타작마당의 신분차별|조선시대의 교육열
7. 미국에서 돌아온 김홍도의 풍속화
김홍도의 과거장 그림, 안산으로 돌아오다|과거장의 뜨거운 열기
8. 기메동양박물관에 소장된 풍속화 병풍
김홍도 풍속화의 진위 여부|서울의 유흥문화
9. 담졸헌에서 제작한 풍속화
궁중화원의 사설 스튜디오|담졸헌에서 제작한 김홍도 풍속화
10. 풍속화의 확산
해학과 풍자의 ****스|풍속화로 그려낸 선비의 일생
∥3부 다양한 모티브에 개성을 입히다∥
11. 김홍도의 전설적인 해상군선도
신선화는 종교화인가? 길상화인가?|정조시대의 해상군선도
12. 인간세계로 그린 신선세계
군선도, 풍속화 같은 신의 세계|채색화로 그린 군선도
13. 신선과 음악
신선 가운데 사람|봉화의 울음, 소나무로 피어나다
∥4부 사실성에서 서정성까지∥
14. 조선시대 호랑이 그림의 전형
김홍도 호랑이 그림의 뿌리|사실적 묘사와 극적 구성|진짜 호랑이가 부끄러워할 호랑이 그림
15. 화조화에 피어난 서정적 정취
서정적인 그림 화훼화|나비의 가루가 손에 묻은 듯하니|시든 연잎의 미학|자연의 즐거움과 아름다움|
한 그림의 두 의미
16. 문인의 우아한 풍류, 생활 속으로
인간의 맑고 밝은 즐거움, 서원아집|운치 있는 김홍도의 집|여항문인의 시회 모임
∥5부 명승의 감동을 생생하게 풀어내다∥
17. 김응환과 김홍도, 금강산을 가다
여행을 떠나는 김홍도|금강산 여행 열풍|산천의 신령이 좋아할 사실주의
18. 관동팔경을 그리다
『해산도첩』을 찾아서|섬세하게 묘사한 관동팔경
19. 강세황이 합류한 금강산 봉명사경
본격적인 금강산 사경|김홍도와 김응환 그림의 비교|세상에 둘도 없는 경치, 세상에 둘도 없는 명품
20. 대마도 지도를 ‘몰래’ 그리다
김응환의 갑작스러운 죽음|김홍도의 대마도 밀행|일본의 우키요에 화가 샤라쿠가 김홍도라는 주장
21. 대륙의 스케일을 화폭에 담다
김홍도의 새로운 콤비, 이명기|한국인이 그린 최초의 만리장성 그림|청나라 건륭제와 조선의 동지사 사신의 만남|
죽음의 문턱을 넘나든 동지사 연행길
∥6부 정조의 개혁정치, 김홍도의 혁신회화∥
22. 정조의 북학정책, 김홍도의 호렵도와 책거리
정조시대 북학정책과 관련된 그림들|청에 대한 증오와 열망이 엇갈린 호렵도|호렵도를 통해 본 청대의 군사문화|
책거리를 서양화풍으로 그린 이유
23. 불화에 일어난 조용한 반란
성화처럼 그린 불화|부처님을 땅에 엎드리게 한 파격
24. 첫 번째 어진 모사와 사재감 주부
초상화로 만난 정조와의 인연|1773년 영조 80세 어진을 그리다|궁중의 물품을 관리하는 벼슬살이
25. 두 번째 어진 모사와 안기찰방
한종유냐, 김홍도냐?|정조가 바라는 자신의 이미지|안기찰방 시절의 풍류|사군자와 길상화의 만남
26. 세 번째 어진 모사, 정조의 40세 초상화
주관화사가 될 수 있는 기회, 그러나|정조가 이명기와 김홍도의 의견을 묻다|서직수의 불만
27. 연풍현감 시절 얻은 것과 잃은 것
연풍에 남아 있는 김홍도의 흔적|만득자를 얻은 기쁨|파직의 충격
28. 원행을묘 행사로 복귀하다
조선시대 최대의 이벤트를 병풍에 담다|스펙터클한 궁중행사도|정조의 사도세자에 대한 사무침, 〈금계도〉
29. 산수인물화의 보고, 『오륜행실도』 삽화
『오륜행실도』의 작가, 김홍도|사도세자의 명예회복과 『오륜행실도』|안견과 김홍도, 두 천재화가의 다른 표현|
장르마다 다른 화풍|낭만주의 화풍의 전개
∥7부 시로 노래한 삶의 은유∥
30. 자유를 향한 발걸음
제2의 삶을 시작하다|야인의 삶에 관한 각오
31. 연풍을 기억하다
혁신의 시대에서 표현의 시대로|단양팔경의 참모습은 무엇일까?
32. 선종화의 새로운 시대를 열다
깨달음이냐? 삶의 진실이냐?|김홍도가 선종화를 그린 이유는?
33. 시와 공간의 향유
시의도로 자신의 처지를 읊다|여백에 담긴 판타지|선의 운율
34. 주자의 시로 노래한 태평세월
정조의 마지막 회화 프로젝트|주부자시의도의 의미|응집과 여백
∥8부 거대한 통합∥
35. 풍속화와 진경산수화, 하나로 만나다
불탄 명작|200여 년 전 만월대 계회를 되살리다
36. 쓸쓸한 가을 소리를 들으며
극진한 매화 사랑|아! 슬프도다. 이것이 가을 소리로다
에필로그 휴머니즘과 창의성
미주∥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