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투라는 감옥: 우리는 왜 타인에게 휘둘리는가

도서명:질투라는 감옥: 우리는 왜 타인에게 휘둘리는가
저자/출판사:야마모토 케이/북모먼트
쪽수:준비중
출판일:2024-10-16
ISBN:9791193937259
목차
프롤로그 - 질투의 감옥에서 벗어나기
-영화 〈프레스티지〉
-휴가 질투
-질투가 메시지의 의미를 왜곡한다
-질투심을 부추기는 사회
-이용당하는 질투심
-질투에 대한 애착
-질투를 통해 생각해 볼 것들
제1장 질투란 무엇인가
-악명 높은 질투
-질투의 보편성
-양성 질투와 악성 질투
(질투는 왜 인정받지 못했나 | 질투란 무엇인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질투론
(질투는 언제 발생하는가)
-상향 비교와 하향 비교
(상향 질투와 하향 질투)
-상대적 박탈감과 질투
(원숭이를 이용한 실험)
-‘Envy’와 ‘Jealousy’
(결여와 상실 | 채워지지 않는 욕구를 채우기 위해)
-샤덴프로이데 - 남의 불행은 나의 기쁨
(질투의 대상 | 질투를 해부하다)
-질투를 피하는 네 가지 전략
(은닉 / 부인 / 작은 선물 / 공유)
-질투 공포는 끝없이 이어진다
(자신의 질투심을 타인이 알게 되는 공포 | 자신의 질투심을 스스로 인정하는 공포)
-도덕적 질투
-질투의 경제학
(누진세는 질투심의 산물인가)
제2장 질투의 사상사
-질투 감정을 파악하는 방식
-쾌락과 고통의 혼합 - 플라톤
-질투자의 전략 분석 - 이소크라테스
-질투와 미움 - 플루타르코스
-질투와 사랑 - 토마스 아퀴나스
-질투의 효용 - 프랜시스 베이컨
-인간증오의 악덕- 임마누엘 칸트
-교양인의 질투 - 버나드 맨더빌
-열위자를 향한 질투 - 데이비드 흄
-인간 질투 기원론 - 장 자크 루소
-질투의 팀플레이 - 쇼펜하우어
-경쟁과 질투 - 프리드리히 니체
-‘비(非) 질투 정치’의 가능성 - 마사 누스바움
-진정한 악덕 - 후쿠자와 유키치
-질투는 평균을 목표한다 - 미키 기요시
제3장 과시 혹은 자랑에 대해서
-불쾌한 자랑
(르네 지라르 ‘욕망의 삼각형’ | 과시와 자랑에 대한 고찰)
-질투 받지 않으면서 자신을 칭찬하는 방법
(자랑을 피하는 방법 | 선물을 동반하는 과시)
‘통 큰 사람’과 ‘통 작은 사람’ - 아리스토텔레스
(위신을 위한 소비)
-부의 화려한 낭비
(사치에 대해서 | 사치 논쟁 | ‘과시적 여가’와 ‘과시적 소비’)
-과시적 민주화와 과시자의 고독
-현대인을 지배하는 ‘타인 지향적 성격’ - 데이비드 리스먼
(소셜미디어 시대의 과시 | 사적인 일들이 노출되는 시대)
-‘진정성’에 대한 문제
-과시와 자본주의의 관계
제4장 질투·정의·공산주의
-평등 폭탄
(정의의 탈을 쓴 질투심)
-정의와 질투
(롤스의 《정의론》 | ‘원초적 입장’이란 무엇인가)
-원초적 입장에서 배제된 질투
(제80절 질투 문제 / 제81절 질투와 평등)
-‘정의라는 지옥’ - 고자카이 도시아키의 비판
-슬로베니아의 한 농부 이야기 - 슬라보예 지젝의 비판
(격차의 감소가 질투를 부른다 | 질투는 장소를 가리지 않는다)
-공산주의와 질투 - 유리 올레샤의 《질투》
(약자의 정의)
-이스라엘의 키부츠에서 일어난 ‘평등주의 딜레마’
-현대 공산주의론이 간과하는 것
제5장 질투와 민주주의
-질투는 민주주의에 해가 되는가
(민주사회에서 진가를 발휘하는 질투)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질투심 배출구로서의 도편추방)
-아리스티데스의 추방 - 플루타르코스
-질투와 평등
-롤스와 프로이트
(질투를 정의로 위장한다)
-토크빌 《미국의 민주주의》
-이동성을 향한 질투 - 가산 하게
(꽉 막힌 느낌)
-질투와 수평화 - 키르케고르
-인정 욕구 - 프랜시스 후쿠야마의 ‘기개론’
(우월 욕망과 대등 욕망)
-수평화의 미래
(질투의 고향으로서의 민주주의)
에필로그 - 질투 마주하기
나의 질투는 나만의 것
질투로 세상 바로잡기
능력주의의 문제점
질투에 내성 있는 사회를
자신감과 개성 가지기
질투의 출구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