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수아비와 그림자 권력

도서명:허수아비와 그림자 권력
저자/출판사:정상모/백산서당
쪽수:414쪽
출판일:2024-08-10
ISBN:9788973278596
목차
국제적 종속에서 평화주권 확립으로!!!ㆍ3
제1부 위기의 21세기와 신냉전
제1장 혼돈과 위기 15
1. 전후체제의 붕괴와 거버넌스의 실종ㆍ15
가. 위기의 세상과 민족주의ㆍ15
나. 미국 달러 패권체제의 붕괴와 세계화의 종료ㆍ19
다. 평화거버넌스의 붕괴와 유엔의 마비ㆍ23
2. 민족주의의 발흥ㆍ28
가. 미국 민족주의와 패권주의ㆍ28
나, 일본 신민족주의와 역사 부정ㆍ31
다. 중화민족주의와 팽창주의ㆍ36
3. 미국 패권주의와 네오콘ㆍ40
가. 군사적 패권주의와 군산복합체ㆍ40
나. 네오콘과 팍스아메리카나ㆍ46
다. 미국 팽창주의와 사상, 이념ㆍ50
제2장 미국의 동아시아 팽창정책과 한반도 55
1. 강대국들의 각축장이 된 한반도ㆍ55
가. 미국의 동아시아 정책과 가쓰라·태프트 밀약ㆍ55
나. 영국과 러시아의 패권전쟁과 거문도 사건ㆍ60
다. 친미파의 대두와 친일세력의 형성ㆍ63
2. 미국과 신탁통치ㆍ68
가. 카이로선언과 신탁통치ㆍ68
나. 미국의 한반도 점령과 3·8선ㆍ73
다. 미 군정의 친일세력 지원과 극우화ㆍ77
라. 미군 철수와 전쟁의 잉태ㆍ83
3. 미국의 동북아 전략과 일본의 부활ㆍ90
가. 미국의 동북아 전략과 일본 중시정책ㆍ90
나. 동북아 영토분쟁과 역사갈등ㆍ94
다. 샌프란시스코 체제와 영토분쟁의 실태ㆍ98
라. 독도 문제ㆍ101
제3장 냉전에서 신냉전으로 107
1, 한반도 전쟁의 교훈ㆍ107
가. 미국의 냉전 주도ㆍ107
나. 한반도 전쟁과 군산복합체ㆍ113
다. 정전협정체제와 냉전의 완성ㆍ118
라. 정전협정체제와 일본의 부활ㆍ123
2. 신냉전과 한반도 위기ㆍ128
가. 미국의 신냉전 주도ㆍ128
나. 신냉전과 일본의 군사대국화ㆍ133
다. 미국 봉쇄정책의 전개와 전략 목표ㆍ137
라. 나토의 동진과 신냉전 동향ㆍ143
3. 타이완 사태와 한반도ㆍ149
가. 타이완 민족주의ㆍ149
나. 중국과 타이완의 갈등과 딜레마ㆍ156
다. 타이완 사태와 한반도ㆍ162
제2부 미국의 개입
제1장 한미동맹과 한국군 171
1. 한미동맹의 역사와 예속적 구조ㆍ171
가. 한미동맹의 본질ㆍ171
나. 한미동맹과 미국화ㆍ177
다. 한미동맹 재조정과 전진기지화ㆍ183
2. 한국군의 정체성과 종속ㆍ189
가. 한국군의 정체성 혼란과 미국 의식화ㆍ189
나. 방위비분담협정과 분담금 증대ㆍ194
다. 작전통제권 이양과 무능해진 한국군ㆍ199
3. 자주국방의 좌절과 군사주권ㆍ205
가. 자주국방의 등장과 과정ㆍ205
나. 자주국방의 실종과 전시작전권 없는 한국군ㆍ210
다. 전시작전권 환수와 군사주권의 확립ㆍ217
제2장 미국의 대외정책과 CIA 223
1. CIA의 등장ㆍ223
가. CIA의 등장 배경ㆍ223
나. CIA의 개입 사례ㆍ228
다. CIA의 한국 개입 의혹ㆍ234
2. 미국의 한국 정치 개입ㆍ239
가. 이승만의 북****일론과 에버레디 작전ㆍ239
나. 박정희 시해사건과 미국 연루설ㆍ245
다. 12·12 군사쿠데타와 미국 안보이익ㆍ251
라. 전두환의 호헌선언과 미국의 6월항쟁 개입ㆍ256
마. 이명박 정부와 게임플랜ㆍ263
3. 미국의 한일관계 개입ㆍ269
가. 1965년 체제와 미국의 압력ㆍ269
나. 오바마 행정부의 위안부 문제 간섭ㆍ274
다. 윤석열 정권의 제3자 해결 논란ㆍ281
제3장 핵 패권주의와 북한 핵문제 287
1. 핵 패권주의의 등장과 핵 확산ㆍ287
가. 핵 패권주의와 핵확산금지조약ㆍ287
나. 핵비확산체제의 한계와 핵확산ㆍ293
다. 핵의 정치화와 핵 대결시대 ㆍ299
2. 북한 핵문제의 등장과 핵 패권주의ㆍ305
가. 북한 핵문제의 등장 요인과 전개ㆍ305
나. 북한 붕괴론과 제네바 합의 파탄ㆍ311
다. 미국의 적대시 정책과 6자회담의 실종ㆍ316
3. 북핵 악순환과 미국 책임론ㆍ323
가. 미국 책임론과 근거 ㆍ323
나. 미국의 대북압박과 북한의 핵무력 완성ㆍ329
다. 전술핵 개발과 선제타격론의 위험성 ㆍ336
제4장 정전협정체제와 한반도 평화 345
1. 정전협정체제의 남북협력 방해와 유엔사 부활ㆍ345
가. 정전협정체제의 한계와 군사적 긴장 ㆍ345
나. 유엔사 활성화와 일본의 편입 동향ㆍ351
다. 종전선언 좌절과 정전협정체제의 반평화 ㆍ358
2. 한·미·일 동향과 한반도 위기ㆍ365
가. 한·미·일 준동맹과 일본 재무장ㆍ365
나. 일본 군사대국화와 윤석열 정부의 용인ㆍ370
다. 남북 적대적 대결과 한반도 위기ㆍ376
라. 핵 지옥의 실체ㆍ383
3. 한반도 평화의 과제ㆍ392
가. 한반도 위기와 적대적 공생체제의 부활ㆍ392
나. 정전협정체제의 평화체제 전환ㆍ398
다. 평화주권 확립과 피스버스시대의 과제 ㆍ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