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니체를 읽다

도서명:동북아, 니체를 읽다
저자/출판사:김정현 엮음 · 김현주 , 문준일 , 유지아 , 조성/책세상
쪽수:272쪽
출판일:2023-10-20
ISBN:9791171310449
목차
책을 펴내며
제1부 러시아의 초기 니체 수용
니콜라이 그롯, 〈우리 시대의 도덕적 이상들: 프리드리히 니체와 레프 톨스토이〉(1893)
제2부 일본의 초기 니체 수용
필자 미상, 〈유럽에서 덕의 사상의 두 대표자인 프리드리히 니체 씨와 레오 톨스토이 백작의 견해 비교〉(1893. 12.)
필자 미상, 〈니체 씨와 톨스토이 백작의 덕의 사상을 평하다〉(1894. 1.)
우키타 가즈타미, 《윤리총화》(1909) 68
제3부 중국의 초기 니체 수용
량치차오, 〈진화론 혁명론자 키드의 학설〉(1902. 10. 16.)
왕궈웨이, 〈니체 씨의 교육관〉(1904. 3.)
왕궈웨이, 〈독일문화 대개혁가 니체전〉(1904. 6.)
왕궈웨이, 〈니체 씨의 학설(제10기)〉(1904. 7.)
왕궈웨이, 〈니체 씨의 학설(속 제10기)〉(1904. 7.)
왕궈웨이, 〈쇼펜하우어와 니체〉(1904. 11)
제4부 대한제국과 식민지 시기의 니체
대한제국기의 니체 소개
필자 미상, 〈윤리총화〉, 《서북학회월보》(1909. 4. 1.)
필자 미상, 〈윤리총화 속〉, 《서북학회월보》(1909. 5. 1.)
식민지 조선 시기 《학지광》의 니체 소개
주종건, 〈새해를 맞이하여 유학생 제군에게 드림〉, 《학지광》(1915. 2. 27.)
최승구, 〈너를 혁명하라! “Revolutionize yourself!”〉, 《학지광》(1915. 5. 2.)
최승구, 〈불만과 요구 - 가마쿠라로부터〉, 《학지광》(1915. 7. 23.)
현상윤, 〈강력주의와 조선청년〉, 《학지광》(1915. 7. 23.)
이광수, 〈먼저 짐승이 된 연후에 사람이 되라〉, 《학지광》(1917. 1. 1.)
전영택, 〈전적 생활론〉, 《학지광》(1917. 4. 19.)
찾아보기
옮긴이 소개